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인간의 마음이 작동하는 과정을 과학적으로 알게 되면 윤리와 도덕에 대해서 더 잘 알 수 있을까? ‘인지 서사 윤리학’은 인지신경과학과 윤리학, 그리고 서사학의 세 분야가 합류하는 새로운 서사 윤리학을 구상하기 위해 제안하는 용어이다. 이 논문은 인지과학, 신경과학과 진화 이론 등 과학 연구와 문학 이론의 대화를 추구하는 생물문화적 접근(biocultural approach)의 초학제적 연구이다.

진화윤리학, 신경윤리학, 인지과학과 윤리학은 경험 과학의 근거를 통해 윤리학을 이해하려는 새로운 학문들이다. 이러한 자연주의 윤리학들은 기존 윤리학적 관점의 문제와 오류를 이해하고 “경험적으로 책임 있는 윤리학(empirically responsible ethics)”을 추구하도록 돕는다. 그리하여 서사 윤리학은 다음과 같이 인지신경과학의 윤리학적 함의를 참조할 수 있다. 첫째, 인간의 윤리는 몸에 기반하여 사회문화적 담론의 상호관계 속에서 역동적으로 구성되며 수행된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인간의 도덕적 직관은 주로 감성에 의한 것으로, 이성과 감성의 협력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도덕적 이해와 추론의 문제는 은유와 서사 등 다양한 상상력에 의존한다. 셋째, 마음은 단지 뇌 안에 갇힌 컴퓨터 프로그램이 아니라 뇌-몸-환경이 상호 역동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므로, 생태대화적 맥락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서사는 언제나 타자의 존재를 상정하지 않고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서사 심리학에 의하면, 서사는 타인의 마음을 구체적인 맥락과 함께 이해하기 위한 실천적 수행이다. 바로 그 점에서 서사 현상은 공동체적 삶을 위한 윤리적 기초를 제공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종말론자 김중혁의 소설 속에 창안되는 이야기 공동체 = The Community of Stories Invented by Novels of Eschatologist, Kim Joong-Hyeok 김정아 pp.281-312

조선 유학생과 1930~31년, 東京의 수치 = Chosun Students in Japan from 1930~31 and The Shame of Tokyo : Focusing on Park Tae-won's 'Half Year' : 박태원의「반년간」을 중심으로 우미영 pp.313-341

최상규 소설과 문장 = Choi Sang-gyu's fiction and sentence : focused on short story Sumbaggokjil by Choi Sang-gyu : 최상규의 단편「숨바꼭질」을 중심으로 최순종 pp.395-415

이상 시의 시적 자아와 인식 대상으로서 '여성'의 형상화 연구 = The Representation of 'Woman' in Yi Sang Poetry as the Subject of Poetic-Self and Perception 박소영 pp.229-255

운명과 자유 = Destiny and Freedom : A Study on a Raoul story : 최인훈의「라울전」론 조경덕 pp.367-394

웹소설의 전용과 재매개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Aspect of Diversion and Remediation of Web Fiction : focus on the process of converting a web fiction『Moonlight Drawn by Clouds』into drama : 『구르미 그린 달빛』의 드라마화 과정을 중심으로 김경애 pp.417-439

시 감상 과정의 인지시학적 분석과 교육적 모색 = Cognitive poetic Analysis of Appreciation of Poems And Educational Trial 노철 pp.107-133

수사구조 분석을 통한 교육담론 고찰 = Analysis of Text Structure in the Education Discourse : with focus on「The Charter of National Education」and「Our Education Orientation」 : 「국민교육헌장」과「우리의 교육지표」를 중심으로 남기택, 최승기 pp.55-76

김수영 시집『달나라의 장난』연구 = A Study on Play in the Moon Country, the volume of poetry by Kim, Soo-Young : Focusing on Poems between 1953 and 1956 : 1953~1956년 시편을 대상으로 김종훈 pp.199-227

구비문학의 관점에서 본 문화콘텐츠 교육 방향 = A Direction of Cultural Conten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Oral Literature : 구비설화와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오세정 pp.5-29

<거짓말 이야기> 설화의 웃음 생성방식 연구 = Humor Formation Strategy of 'Lying' Oral Narratives 이채은 pp.441-462

한·중 문화텍스트를 통한 도시문화비교융합연구 = A Study of Urban Culture Comparative Amalgamation Study through Korean & Chinese Literature Texts : a focus of the Others' Spaces and Desire's Presentation about Chae, ManSick·Jo, JeongRae·Wang, AnYi·Zhzng, AiLing's texts : 채만식, 조정래, 왕안이, 장애령의 작품에 나타난 타자공간과 욕망의 표상을 중심으로 전영의 pp.343-366

이중언어/다언어상황과 조선어 시쓰기의 문제 = The Problem of Poetry-Writing in Korean(Joseon) Language under Diglossic/Heteroglossic Situation : Focusing on the Poems of Dong-Joo Yoon : 윤동주 시를 중심으로 김신정 pp.159-198

인지신경과학과 서사 윤리학 = Cognitive Neuroscience and Narrative Ethics 노대원 pp.77-105

윤동주 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A study on intertextuality of Yun Dong Ju's poetry : focusing on 'Sick Rose', 'Turgenev's Hill' : 「薔薇病들어」,「츠르게네프의 언덕」을 중심으로 성은혜 pp.257-280

대학 교양국어교육의 고전문학 텍스트 활용 연구 = Korean Classical texts Reading in Academic Writing Education Course : With Focus on the Curriculum of Critical Writing : 비평적 글쓰기를 위한 모형 구축을 중심으로 황인순, 김보현 pp.31-54

'가르치고-배우기'로서의 시 읽기의 가능성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Reading Poetry as 'Teaching-Learning' Dialogue : Through examination of Poetry as dialogue, speaker and subject : 대화로서의 시, 화자와 주체 개념의 검토를 통하여 윤지영 pp.135-157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석기, 「사촌이 땅 사면 정말 배 아픈 이유」, 『과학동아』 2009년 4월호. (http://science. dongascience.com) 미소장
2 김가희, 「이야기와 윤리적 수행」, . (http://ledebat.or.kr/xe/literature/ 16157) 미소장
3 김희선, 『무한의 책』, 현대문학, 2017. 미소장
4 노대원, 「‘마음의 신체화’ 양상에 관한 인지 서사학적 연구 – 1960~70년대 질병-치유 서사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논문, 2015. 미소장
5 Narrative Characters and "Theory of Mind" -Character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소장
6 노대원, 「우리가 이야기를 즐기는 ‘과학적’ 이유는?」, <제주의소리>, 2017.02.27. (http://www.jejusori.net/?mod=news&act=articleView&idxno=187897) 미소장
7 노대원, 「털 없는 원숭이들의 코믹 액션 리얼리즘 극장」, 『자음과모음』 2015년 가을호. 미소장
8 노대원, 「호모 사피엔스, 이야기하기 위해 진화하다」, <제주의소리>, 2017.01.02. (http://www.jejusori.net/?mod=news&act=articleView&idxno=185963) 미소장
9 Dostoevsky's Underground Man and the Neuroscientist: On the Dilemma of Free Will 네이버 미소장
10 이성, 정서, 느낌의 관계 :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신체화된 마음" 이론을 중심으로 소장
11 Mirror neuron and Principle of Lyricism. -Focusing on Intercorporeality 소장
12 Cognitive Science and Literature 소장
13 이수형, 서평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윤리적 노하우』, 유권종ㆍ박충식 옮김, 갈무리, 2010」, 『문학과사회』 2010년 봄호. 미소장
14 이정모, 『인지과학: 학문 간 융합의 원리와 응용』,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미소장
15 『천변풍경』의 서사공간과 인지소 네이버 미소장
16 Insitinct of Literature and Principle of Mind -Concerning the Instinct of Imitation 소장
17 최종덕, 「8장 진화윤리학」, 『생물철학』, 생각의힘, 2014. 미소장
18 Cognitive Narratological Approach on the Travel Narratives(1) -Focusing on Concepts and Methods 네이버 미소장
19 H. 포터 애벗, 우찬제 외 공역, 『서사학 강의』, 문학과지성사, 2010. 미소장
20 Ethical Literary Criticism: Basic Theory and Terminology 소장
21 a criticism of literature ethics 소장
22 닐 레비, 신경인문학 연구회 역, 『신경윤리학이란 무엇인가: 뇌과학, 인간 윤리의 무게를 재다』, 바다출판사, 2011. 미소장
23 래리 메이·매럴린 프리드먼·앤디 클라크, 송영민 역, 『마음과 도덕: 윤리학과 인지과학』, 울력, 2013. 미소장
24 마이클 가자니가, 김효은 역, 『윤리적 뇌: 뇌과학으로 푸는 인간 본성과 생명윤리의 딜레마』, 바다출판사, 2009. 미소장
25 마크 존슨, 김동환·최영호 역, 『몸의 의미: 인간 이해의 미학』, 東文選, 2012. 미소장
26 마크 존슨, 노양진 역, 『도덕적 상상력: 체험주의 윤리학의 새로운 도전』, 서광사, 2008. 미소장
27 브라이언 보이드, 남경태 역, 『이야기의 기원』, 휴머니스트, 2013. 미소장
28 살마 로벨, 오공훈 역, 『센세이션』, 시공사, 2015. 미소장
29 숀 갤러거·단 자하비, 박인성 역, 『현상학적 마음: 심리철학과 인지과학 입문』, 도서출판 b, 2013. 미소장
30 에드워드 슬링거랜드, 김동환·최영호 역, 『과학과 인문학: 몸과 문화의 통합』, 지호, 2015. 미소장
31 제임스 펠란, 「서사이론, 1966~2006: 하나의 서사」, 로버트 숄즈·로버트 켈로그·제임스 펠란, 임병권 역, 『서사문학의 본질』(수정증보판), 예림기획, 2007. 미소장
32 조너선 갓셜, 노승영 역, 『스토리텔링 애니멀』, 민음사, 2014. 미소장
33 존 브록만 편, 스티븐 핑커 외, 이한음 역, 『마음의 과학』, 와이즈베리, 2012. 미소장
34 주네트 외, 석경징 외 편역, 『현대 서술 이론의 흐름』, 솔, 1997. 미소장
35 폴 새가드, 김미선 역, 『뇌와 삶의 의미』, 필로소픽, 2011. / Paul Thagard, The Brain and the Meaning of Lif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미소장
36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유권종·박충식 역, 『윤리적 노하우: 윤리의 본질에 관한 인지과학적 성찰』, 갈무리, 2009. 미소장
37 프란시스코 바렐라·에반 톰슨·엘리노어 로쉬, 석봉래 역, 『몸의 인지과학』, 김영사, 2013. 미소장
38 피터 싱어, 최정규 역, 『변하지 않는 인간의 본성은 있는가?』, 이음, 2007. 미소장
39 David Herman, “STORYWORLD,” David Herman et al. (eds.), Routledge Encyclopedia of Narrative Theory, Routledge, 2010. 미소장
40 Isabel Jaén Portillo, “Literary Consciousness: Fictional Minds, Real Implications,”, The 22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d Psychology Conference, (Córdoba, Spain), 2005. (http://www.clas.ufl.edu/ipsa/2005/proc/ portillo.pdf) 미소장
41 Introduction: What is the “Second Generation?” 네이버 미소장
42 Liesbeth Korthals Altes, “Ethical Turn,” David Herman et al. (eds.), Routledge Encyclopedia of Narrative Theory, Routledge, 2005. 미소장
43 Mark Turner, The Literary Mind: The Origins of Thought and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미소장
44 Peter Hühn et al. (eds.), the living handbook of narratology, Hamburg University Press. (http://www.lhn.uni-hamburg.d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