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여종과 유모 = Maid and Nanny : From the Elite-Literati's Writing during the 17th~19th Century's Chosǒn–For Re-reflecting of Ethics about 'Everyday life·Labor·Relation' : 17~19세기 사대부의 기록으로부터 : '일상·노동·관계'와 윤리 재성찰을 위하여 / 최기숙 1
국문초록 1
1. '문자화'된 여성과 '부수적' 존재들 2
2. 사대부가 여성의 '일상/노동'과 여종 6
2.1. 여종의 모범, 사대부가 여성 7
2.2. 여종의 관리/교육과 윤리 12
2.3. 여종의 업무와 감정 노동: 감정의 전이·투사와 위계화 18
2.4. 도둑질하는 여종들: 재현 방식 20
3. '여종/유모'와 '지성적/인격적' 관계 맺기 26
3.1. 인격적 관계와 유사 가족: 인정·공감·대화 26
3.2. 상전을 판단하고 평가하는 여종들: 기억·증언·역사화 33
3.3. 여종/유모에게 배우다: 분절화된 '몸/지성/인격'을 가로지르는 주체-관계 37
4. 17세기~19세기, 역사화된 '여종'과 '유모' 담론의 추이 43
5. 결론: 노동하는 여성 주체와 당대성 성찰 52
참고문헌 55
[요약] 57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17세기 여성생활사자료집』 1~4, 정형지 외 옮김, 보고사, 2006. | 미소장 |
2 | 『18세기 여성생활사자료집』 1~8, 황수연 외 옮김, 보고사, 2010. | 미소장 |
3 | 『19세기ㆍ20세기초 여성생활사자료집』 1~9, 홍학희 외 옮김, 보고사, 2013. | 미소장 |
4 | 한국고전종합DB사이트: http://db.itkc.or.kr | 미소장 |
5 | 유재건, 『이향견문록』, 실시학사고전문학연구외 옮김, 민음사, 1997. | 미소장 |
6 | A Study on the Presence of Nobi in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s | 소장 |
7 | 김종갑, 『혐오, 감정의 정치학』, 은행나무, 2017. | 미소장 |
8 | 박영민, 『19세기 문예사와 기생의 한시』,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1. | 미소장 |
9 | 박형민, 『자살, 차악의 선택』, 이학사, 2010. | 미소장 |
10 | 소영현, 「1920~1930년대 ‘하녀’의 ‘노동’과 ‘감정’: 감정의 위계와 여성 하위주체의 감정규율」, 『민족문학사연구』 50, 2012: 309~336쪽. | 미소장 |
11 | 손혜리, 『연경재 성해응 문학 연구』, 소명출판, 2011. | 미소장 |
12 | Early Chidhood Education of Joseon Royal Family | 소장 |
13 | 윤보라 외, 『여성 혐오가 어쨌다구?』, 현실문화 2015. | 미소장 |
14 | 惠寰‧無名子‧沆瀣의 비평적 글쓰기를 통해 본 ‘人-文’의 경계와 글쓰기의 형이상학 | 소장 |
15 | The Hidden Side of Enlightenment, Affective Politics of Ignorance and Aversion: The Context of Imigification of 'Joseon' and its Affective Rhetorics written in Articles of Hanseong Sinbo ![]() |
미소장 |
16 | Craig Lambert, 『그림자 노동의 역습』, 이현주 옮김, 민음사, 2016. | 미소장 |
17 | Giorgio Agamben, 『말할 수 없는 소녀』, 지은현 옮김, 꾸리에, 2017. | 미소장 |
18 | Hannah Arendt, 『인간의 조건』, 이진우ㆍ태정호 옮김, 한길사, 1996. | 미소장 |
19 | Michel Foucault, 『감시와 처벌』, 오생근 옮김, 나남출판, 2003. | 미소장 |
20 | Maurizio Lazzarato, 『기호와 기계』, 신병현ㆍ심성보 옮김, 갈무리, 2017. | 미소장 |
21 | Pierre Bordieu, 『구별짓기』 상ㆍ하, 최종철 옮김, 새물결, 2005. | 미소장 |
22 | 나카마사 마사키(仲正昌樹),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을 읽는 시간』, 김경원 옮김, 아르테, 2017. | 미소장 |
23 | 우에노 치즈코(上野 千鶴子), 『여성혐오를 혐오한다』, 나일등 옮김, 은행나무, 201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