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고찰은 다솔사(경남, 사천)와 불교계 항일 비밀결사로 알려진 卍黨과의 상관성을 정리한 글이다. 다솔사는 1,500년 역사를 갖고 있는 고찰이지만, 근대기에 와서는 불교 독립운동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대상이 되었다. 그는 최범술이 주지로 있으면서 전개된 역사이다.
최범술은 다솔사가 위치한 사천 출신으로 3·1운동 참가, 해인사 주지, 제헌국회 의원, 불교 총무원장, 해인대(현, 경남대) 설립자 등 다양한 행보를 간 인물이다. 그는 일제하에는 한용운을 추종하면서 불교청년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조선불교청년총동맹의 집행위원장과 만당의 당원이었다. 그런데 만당은 내분으로 1933년 자진 해소되었다.
그러나 만당 당원들은 최범술이 주지로 있었던 다솔사에 왕래를 하면서 민족의식을 유지하였다. 당원이었던 김법린, 허영호가 다솔사에 머물기도 했다. 그리고 1930년대 중반 다솔사는 불교전문 강원과 광명학원을 설립하여 학승과 지역 어린이를 교육시켰다. 강원에는 동양학자인 김범부가 있었고, 광명학원에는 김범부의 동생인 소설가 김동리가 교사로 있었다.
그리고 다솔사는 애국지사, 독립운동가, 문학인, 지식인, 승려 등이 왕래하는 경남지방의 명소가 되었다. 즉, 민족의식을 창출하고, 민족운동을 추진하는 거점이었다. 그래서 일제 경찰은 늘 감시를 하였다. 이런 전제하에서 다솔사는 민족운동, 항일의 역사가 짙게 배어 있다.
본 고찰은 이런 역사와 문화를 자료, 증언에 의지하여 정리한 글이다. 이 글이 한용운, 최범술, 김범부, 김동리를 비롯한 근대기 지식인 연구와 다솔사의 근대사 정리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법린의 민족운동과 대중불교운동 | 소장 |
2 | 금정중(2006), 금정중 백년사, 부산 : 금정중백년사 편찬위원회. | 미소장 |
3 | 김광식(1996), 朝鮮佛敎靑年總同盟과 卍黨, 한국근대불교사연구,서울: 민족사. | 미소장 |
4 | 김광식(2000), 일제하 불교계의 보성고보 경영 , 근현대 불교의재조명, 서울: 민족사. | 미소장 |
5 | 김광식(2010), 만해와 최범술, 그리고 다솔사 , 우리가 만난한용운, 서울: 참글세상. | 미소장 |
6 | 김광식(2007), 卍黨과 최범술 , 민족불교의 이상과 현실, 안성:도피안사. | 미소장 |
7 | 김광식(2015), 한용운, 천안: 독립기념관. | 미소장 |
8 | 박영희의 독립운동과 민족불교 | 소장 |
9 | 조종현의 불교 사상과 한용운 | 소장 |
10 | The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 of the Reverend Baek Yongseong's the Assembled Society for the Ten-Thousand-Day Meditation | 소장 |
11 | 김광식(2017b), 『한용운 전집』발간과 만해사상의 계승 , 만해학보 17. 만해학회. | 미소장 |
12 | 김동리(1986), 해인사 시절의 어느날 , 어떻게 살 것인가, 서울:불교사상출판부. | 미소장 |
13 | 김동리전집 편집위원회(1997),『김동리 문학전집』8권(나를 찾아서),서울: 민음사. | 미소장 |
14 | 김상현(2013), 曉堂崔凡述의 생애와 사상 , 효당 최범술문집 3권,서울: 민족사. | 미소장 |
15 | 차례 : 일제강점기 잡지 『佛敎』의 간행과 그 성격 ![]() |
미소장 |
16 | 김동리와 다솔사 체험 | 소장 |
17 | 김정숙(1996), 김동리의 삶과 문학, 서울: 집문당. | 미소장 |
18 | 동산문도회(2016), 동산사상의 재조명, 고양: 인북스. | 미소장 |
19 | 박노준․인권환(1960), 만해 한용운연구, 서울: 통문관. | 미소장 |
20 | 박설산(1994), 박설산회고록 ; 뚜껑없는 朝鮮역사 책, 서울: 삼장. | 미소장 |
21 | 부산일보 특별취재팀(1988), 백산의 동지들, 부산: 부산일보사. | 미소장 |
22 | 오제봉(1988), 나의 회고록, 대구: 물레출판사. | 미소장 |
23 | 원 택(2012), 성철스님 행장, 서울: 글씨미디어. | 미소장 |
24 | 이동언(2010), 안희제, 천안: 독립기념관. | 미소장 |
25 | 이동순(2015), 조종현 전집 1권, 서울: 소명출판. | 미소장 |
26 | 이지관(1992), 해인사 성지를 오염시킨 倭政走狗, 해인사지,서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미소장 |
27 | 이지관(2000), 한국고승비문총집, 서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미소장 |
28 | 조종현(1971), 불교인으로서의 만해 , 나라사랑 2집, 서울: 외솔회. | 미소장 |
29 | 정다운(2010), 범부 김정설의 풍류사상, 서울: 선인. | 미소장 |
30 | 조동걸(2013), 백산 안희제 연보 , 백산 안희제의 생애와독립운동, 서울: 선인. | 미소장 |
31 | 제점숙(2015), 일제시대 허영호의 국내외 동향과 현실인식 , 만해학보 14·15, 만해학회 | 미소장 |
32 | 申炯魯(1993), 내가 만난 凡父선생과 曉堂스님 , 季刊茶心 창간호,다심사. | 미소장 |
33 | 효당사상연구회(2013), 효당 최범술문집 1권, 서울: 민족사. | 미소장 |
34 | 효당(孝堂)과 다솔사(多率寺)의 김범부(金凡父) | 소장 |
35 | 최범술(1970), 萬海韓龍雲, 신동아 75호. | 미소장 |
36 | 최범술(1971), 만해 한용운선생 해적이 , 나라사랑 2집, 서울:외솔회. | 미소장 |
37 | 황인규(2015), 허영호의 1930·1940년대 불교계 활동과 동국대 , 만해학보 14·15, 만해학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