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95년 WTO 출범 이후, 세계 경제에서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과 관세동맹(Custom Union)을 포함하는 지역무역협정(Regional Trade Agreement)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전체 FTA협상에서 서비스무역의 비중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에 중국은 최근 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실제 서비스산업에서의 매출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중 FTA 서비스분야의 시장 개방은 서비스 수출 증대의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2015년 한·중 FTA 발효에도 불구하고 한·중 관계는 사드문제라는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급속히 냉각되어 왔다. 이후 각종 무역규제와 더불어 한·중 FTA 협정문 합의 조항인 관광서비스가 큰 타격을 입었을 뿐만 아니라, 한·중 FTA 문화협력으로 대표되는 한·중 간의 문화교류가 제한되었다. 또한 한국산 제품의 수입·통관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사유를 들어 수입 금지조치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작년 12월 한·중 FTA 서비스·투자 분야 후속 협상이 개시되었다. 2단계 협상은 네거티브 방식으로 진행되고 주요 쟁점 사항은 중국의 분야별 서비스 개방 수준이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중국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이상적인 타협안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중국의 서비스시장 개방 정책과 그에 관한 법적 근거 및 서비스분야에서 시행하고 있는 보이지 않는 무역장벽인 다양한 규제제도들을 발굴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 중국이 각종 서비스분야에서 시행하고 있는 차별적인 규제절차, 비공식적인 시장접근 제한, 자격·허가 요건, 기타 서비스 분야의 위장된 무역제한 수단을 고찰하고 진행 중인 후속협상에서 우리 측 요구사항에 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일부 언론에서는 한·중 FTA 서비스 후속협상을 통해 FDI 확대와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하는 장밋빛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국가 간의 협상에서 지나친 낙관론은 금물이다. 특히 FTA 협상에서 개방의 의미는 상호개방을 뜻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서비스 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와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의 서비스산업 기반이 갖춰지지 않는다면 중국서비스 시장의 개방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이룰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산·관·학이 긴밀하게 협력하여 각자의 분야에서 비교우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서비스무역의 지속적인 성장 발전 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토대로 후속협상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Since the launch of the WTO in 1995, the Regional Trade Agreement which includes the Free Trade Agreement and the Custom Union has continued to capture an increasing share of the world economy, and the percentage of trade in services is also growing in FTA negotiations. Considering that China is recently stepping up its political efforts to boost service industries, and the sales in service industries are actually increasing, opening up the services market in the Korea-China FTA is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to increase exports of services.

The Seoul-Beijing relations, however, has rapidly cooled due to the political reason like the THAAD issue even though the Korea-China FTA officially came into effect in 2015. Since then, together with various trade restrictions, the deteriorating relationship not only caused severe damage to the tourism services that is the provision in the Korea-China FTA agreement but also limited the interac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s exemplified by the cultural cooperation under the Korea-China FTA. Moreover, China imposed an import ban on Korean products for any reason they chose. At this point the two nations began the subsequent negotiations on services and investment of the Korea-China FTA in December last year. The second round of FTA negotiations was carried on using the negative listings and the main issue was the openness level of services in each sector of China. Therefore, Korea needs to discover diverse restrictions which are the ongoing invisible trade barriers on the services sector and China's current open-door policy on the services market with its legal basis, in order to establish an ideal middle ground in an advantageous position for the negotiations with Chin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scriminatory regulation procedures, informal restraints on market access, requirements and conditions for permission, and many other disguised measures for trade restrictions which are now being implemented in many service sectors of China; and to propose the requirements Korea would make in the subsequent negotiations that are in progress. Some news reports are presenting a favorable prospect that the subsequent negotiations on services in the Korea-China FTA will extend FDI and bring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Still, excessive optimism is bad in the negotiations between nations. The openness, especially in the FTA negotiations, means mutual openness. Accordingly, if service industries in Korea dose not secure global competitiveness and a solid foundation as the future growth engine, it would be difficult for the opening of China's services market to achieve more than expected. Consequently, industry, government, and academy are advised to analyze comparative advantages in each field in a close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and work out measures for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services trade in the nation so that Korea could enter into the subsequent negotiations based on thes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 개인정보보호법제 고찰 = 论中国个人信息保护法制 손한기 pp.75-101

병행수입업자의 광고에 대한 판례의 경향 = Study on the precedents of the advertisements by parallel importers : 지식재산권과 부정경쟁방지법 사이의 경쟁관계 정진근 pp.749-783

가상화폐 또는 암호화폐에 의한 금융의 변화 및 법적 시사점 = Change of Financial Systems by Virtual Currency or Cryptocurrency and its Legal Implications 육태우 pp.225-270

사법 불신과 법원 개혁 = Judicial Distrust and Court Reform : Reflection of court reform after democratization in 1987 : 1987년 민주화 이후 법원개혁의 성찰 한상규 pp.423-457

전자민주주의에 관한 헌법적 논의 = Verfassungsrechtliche Erörterung über Elektronische Demokratie 홍일선 pp.193-223

소송행위의 추인이 소송상 형성권 행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that Ratification of Litigation Act Has On Exercising the Right of Formation 서창원 pp.569-602

중국의 해양공간관리계획에 대한 법적 고찰 = A Legal Consideration on Chinese Marine Spatial Management Plan 김은환 pp.271-309

게임산업법상 사행성게임물 제도의 문제점에 관한 소고(小考) = On the Problems of the Korean Regulation on Gambling Games based on the Game Industry Act 김종일 pp.459-498

중국의「네트워크안전법」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n Cyber Security Law of China 박용숙 pp.39-73

변호사의 성공보수약정의 효력과 규제 방향에 대한 소고 = Review on a Effectiveness of Contingency Fee Agreement of lawyer : 대법원 2015. 7. 23. 선고 2015다200111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평석 이윤정 pp.379-421

미국 반려동물 보호법제와 시사점 = A Study on the Pet Protection Laws of USA : Based on the Pet Trust Laws of USA : 미국 반려동물신탁 제도를 중심으로 조성자 pp.351-378

Annulment of ICSID Awards = ICSID 중재판정의 취소에 대한 고찰 : Tidewater 중재판정의 취소결정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Annulment of the Tidewater Award Jung Won Jun pp.661-699

자치법규에 대한 인권영향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uman Rights Impact Assessment Relating to Autonomous Legislation : Focusing on experience of Suwon City : 수원시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충은, 박동일 pp.545-568

Comparative Study on Business Judgement Rule and Duty of Care in Korea and the U.S. = 경영판단의 원칙과 이사의 주의의무에 관한 비교 연구 Bo Hyuk Kim pp.639-660

전자담배를 포함한 담배제품 규제 개선 방안 = What should the Tobacco business Act and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of Korea Consider to regulate the tobacco products and e-cigarette? : FCTC의 담배제품성분 정보공개의무와 관련하여 이비안 pp.311-349

중국 집체토지소유권(集體土地所有權)의 법적 성질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Legal Nature of 'Collective Land Ownership' in China : Concept, History and Comparison with Korea : 개념, 역사, 한국과의 비교 등 강광문 pp.1-37

도로교통법 위반 운전자 등에 대한 범칙금·벌점 및 과태료 부과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imposition of penalty, demerit points and administrative fine on the drivers who violated Road Traffic Act 이일세 pp.499-543

이른바 '추가 법정수당 청구권'의 인정 가부 = The Possibility of Recognition for the Claim to Additional Statutory Allowance : The Possibility of Exclusion recording to the Principle venire contra factum proprium : 「모순행위금지원칙」에 의한 배척 가능성 김희성, 성대규 pp.701-747

한·중 FTA 효율성 제고를 위한 중국의 서비스무역 장벽에 관한 법적 고찰 = A Legal Study on China's Services Trade Barriers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he Korea-China FTA 장은정 pp.155-192

명의대여로 빚어진 외관에 대한 신뢰의 보호 = Protection of Trust in the Appearance Made by Lending Trade Names : Regarding the Business of Authorized Agent of Total Home Furnishing Companies : 종합가구회사 대리점의 영업과 관련하여 이채진 pp.603-638

중국의 특허쟁송 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고찰 = Study o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Patent Lawsuit System in China 정태호 pp.103-153

참고문헌 (5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중국 온라인 게임 산업 관련 법제 분석 및 한·중 FTA 발효 이후 對중국 진출 방안 소장
2 Legal Issues on Trade in Cultural Products with China 소장
3 “外國人投資產業指導目錄”對韓中FTA 協商的啟示 소장
4 율촌, “중국 자유무역시험구에 대한 새로운 네거티브 목록 반포와 우리나라 기업에 대한 시사점”, 중국 Legal Update, 2017.6 미소장
5 Legal Issues and Task of Korea-China FTA Service Trade Negotiations : Focused on the Cultural Content Services Industry 소장
6 정상철, 이해춘, “중국 시청각서비스분야 통상장벽 분석과 진출 전략: AHP 와 Fuzzy신뢰도 지수를 이용하여”, 문화경제연구 제17권 제2호, 2017 미소장
7 정혜선, “한․중 FTA서비스․투자후속협상,중국문화콘텐츠유통규제철폐가 관건”, TRADE BRIEF 제17권, 2016. 미소장
8 최창열, :중국 온라인 게임시장의 판호와 ASO정책에 대한 연구“, 한국비즈 니스리뷰 제10권1호, 2017 미소장
9 A Brief Review of the Chinese Negative List System for Foreign Capital Entry 소장
10 한재진, 천용찬, “최근 한·중 상호간 경제손실 점검과 대응방안”, 현안과 과제 17-10호, 2017.5.2 미소장
11 현대경제연구원, “중국의 서비스 부문 기체결 FTA의 비교와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한반도 르네상스 구현을 위한 VIP리포트 통권 670호 2016.11.14 미소장
12 KIEP, “한·중 FTA 발효 1년의 평가와 시사점”,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016.12.20 미소장
13 한·중 FTA 협정문 미소장
14 WTO 중국 서비스분야 양허안 미소장
15 冯毅, 石瀚文, “我国文化服务贸易发展现状、问题与对策”,国际贸易, 2017年06期 미소장
16 刘庆林, 白洁, “中国服务贸易壁垒测度:基于频度分析的方法”, 财贸经济 ,2014年01期 미소장
17 孟雪, 陈靓, 徐丽青,“服务贸易开放水平的量化研究——基于韩国对中国、澳大利亚承诺的对比分析”, 国际商务, 第1 期, 2017年 미소장
18 孙蕊,齐俊妍, “中国区域服务贸易开放广度与深度”, 国际经贸探索,第33卷第4期,2017年4月 미소장
19 张皞,“中国区域服务贸易协定开放度的特征事实———基于频度指数的方法”国 际经贸探索,第33卷 第7期,2017年7月 미소장
20 周念利,郭辛捷, “中国参与区域服务贸易自由化机制与对策研究”, 国际经贸探索, 2012年 미소장
21 汪艳, 黄荣芳, 周宝玉, "GATS与中国服务贸易开放:后过渡期——基于中国入 世服务贸易承诺",国际商贸, 2014年4月 미소장
22 王建文, 张莉莉, “论中国(上海)自由贸易试验区金融创新的法律规制”, 法商研 究, 4期, 2014年 미소장
23 “关于我国扩大投资开放方面的研究”, 环球市场信息导报, 2017 미소장
24 “北京服务业扩大开放"6+1+5”架构图解”, 领导决策信息, 2015年38期 미소장
25 “中国服务贸易2016秋季报告:对外贸易地位不断提升”, 服务外包, 第11期, 2016年 미소장
26 网络游戏管理暂行办法 미소장
27 软件产品管理办法 미소장
28 互联网信息服务管理办法 미소장
29 网络出版服务管理规定 미소장
30 计算机软件保护条例 미소장
31 旅行社条例 미소장
32 关于文化领域引进外资的若干意见 미소장
33 国务院关于扩大对外开放积极利用外资若干措施的通知 미소장
34 国家新闻出版广电总局关于进一步落实网上境外影视剧管理有关规定的通知 미소장
35 北京市服务业扩大开放综合试点实施方案 미소장
36 关于同意开展服务贸易创新发展试点的批复 미소장
37 服务贸易创新发展试点方案 미소장
38 外商投资产业指导目录(2017年修订)外商投资准入特别管理措施(外商投资 准入负面清单) 미소장
39 国务院办公厅关于印发自由贸易试验区 外商投资准入特别管理措施(负面清单) 미소장
40 http://www.sedaily.com/NewsView/1RUB73INIH/GE01, 한·중 FTA 후속협상 공청회, 검색일: 2018.1.14 미소장
41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27928, '사드보복' 한파 끝나나…다시 한국 찾는 유커들, 검색일: 2018. 1.18 미소장
42 http://www.ytn.co.kr/_ln/0102_201712310516187910, 사드 보복 해제 '감감 '...국내 업계 '속앓이’, 검색일: 2018. 1.18 미소장
43 http://www.segye.com/newsView/20171113003348, 12월 한·중 관계 복원 가속화… 사드보복 해제되나, 검색일: 2018. 1.18 미소장
4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13/0200000000AKR20171213168200003.HTML?input=1195m, 한·중FTA 서비스투자 협상 개시…1조달러 '황금어장' 활짝, 검색일: 2018.1.13 미소장
45 http://paper.people.com.cn/rmrb/html/2017-05/29/nw.D110000renmrb_20170529_3-01.htm(我国服务贸易总额达到6575亿美元(砥砺奋进的五年) 规模居世界第二位), 검색일: 2018.1.14 미소장
46 http://www.globalwindow.org/(KOTRA 해외비즈니스정보포털) 미소장
47 http://www.stats.gov.cn/(中国统计局) 미소장
48 http://www.china-shftz.gov.cn/(中国(上海)自由贸易试验区) 미소장
49 http://www.fta.go.kr/cn/main/(한 중 FTA 홈페이지) 미소장
50 http://www.pkulaw.cn/(法律法规北大法宝) 미소장
51 http://www.gov.cn/(中国政府网) 미소장
52 http://www.beijing.gov.cn/(北京市政务门户网站) 미소장
53 http://www.ndrc.gov.cn/(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