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80~90년대 한국 '도시시'의 미적 비판 방법론 연구 = Study on Aesthetic Criticism Method of 'Urban poetry' in 1980s~90s 김청우 pp.141-173
김내성의『청춘극장』에 나타난 공간 경험과 식민지 기억의 재현 = Space Experience and Representation of Colonial Memory appeared in『The Theater of the youth』written by Kim Nae-Sung 류경동 pp.201-226
문제제기 중심의 현대시 교수·학습 모형 제안을 위한 이론적 검토 = Theoretical Approach for Problem Presenting Learning for Modern Poetry Education 민재원 pp.325-360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자기서사적 글쓰기'의 위상과 방향성 연구 =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self' related writing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김정숙, 백윤경 pp.397-426
1950년대 전반기 전주 지역 동인지 연구 = A Study on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Jeon-ju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1950s : Focused on the "Nampung", "Yeonbi", "Pungto", "PungtoYesul" : 『남풍』,『연비』,『풍토』,『풍토예술』을 중심으로 하채현, 황태묵 pp.291-324
시조 '3장 6구'와 '종장 첫 구'의 공서(共棲)와 시조 연구의 과제 = The Symbiosis and Problem of 'Three Jang Six Gu' and the 'First Gu of Jongjang' in Sijo : Investigating the Form and the Meter of Sijo : 시조 형식론과 율격론을 다시 살피다 최홍원 pp.109-140
현대시에 나타나는 도시 이미지의 반영 의식 = A Study on Reflection Consciousness of City Image in Contemporary Poetry : Focusing on Poetry Since the 90s & Grotesque Poetics : 1990년대 이후의 시와 그로테스크 시학을 중심으로 김홍진 pp.175-199
심훈 문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Tasks of Research of Simhun Literature : 2000년대 이후 새로운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정은경 pp.227-255
구봉 송익필 전설의 서사유형과 설화적 의미 = The type of narrative and Faction historical meaning of Song-gubong legend 이정훈 pp.45-71

<신작 사랑가> 연구 = A Study of the New Love Song 최동현 pp.73-107
영화 교육 내용 비교 연구 = A study comparing contents of film education : Focused on Korea and Canada (Ontario) Curriculum : 한국과 캐나다(온타리오 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기범 pp.361-396
소설의 영화화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 The Filming of Novel and Trans-media Storytelling : Focusing on the Story World of 'Memoir of a Murderer' : '살인자의 기억법'을 중심으로 정혜경 pp.257-289
한국수어(KSL) 전문용어사전의 구축 방법론 연구 = A Study on Methodology of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 of Terminology : With Terminology of bowling and soccer : 볼링과 축구 용어를 중심으로 윤석민, 채규현 pp.5-44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은숙, 「서정주의 『질마재 神話』에 나타나는 그로테스크 연구」,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2004. 미소장
2 강경희, 「1930년대 현대시의 그로테스크 미학 연구」, 숭실대 박사학위논문, 2005. 미소장
3 극렬 詩學의 세계-李箱論 (中) 소장
4 남진우, 「묵시록적 시대의 글쓰기」, 『신성한 숲』, 민음사, 1995. 미소장
5 몸문화연구소, 『그로테스크의 몸』, 쿠북, 2010. 미소장
6 박슬기, 「한국 전후시의 그로테스크 시학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4. 미소장
7 서준섭, 「한국현대시와 자본주의」, 『감각의 뒤편』, 문학과지성사, 1995. 미소장
8 이윤숙, 「이상 시의 변형세계 연구」, 국민대 박사학위 논문, 2003. 미소장
9 이창우, 『그로테스크의 정치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미소장
10 전영주, 「한국 현대시의 그로테스크 미학 연구」,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2002. 미소장
11 조용복, 「공포체험의 시적 변용과 그로테스크의 시」, 남송우‧하상일 편, 『고석규 문학의 재조명』, 세종출판사, 2000. 미소장
12 H. 르페브르, 박정자 역, 『현대세계의 일상성』, 세계일보사, 1990. 미소장
13 J. 보드리야르, 이상율 옮김, 『소비의 사회』, 문예출판사, 1991. 미소장
14 J. 칠더스,·G. 헨치, 황종연 역, 『현대문학•문화비평 용어사전』, 문학동네, 1998. 미소장
15 K. 로젠크란츠, 조경식 역, 『추의 미학』, 나남, 2008. 미소장
16 M. 바흐찐, 이덕형•최건형 역, 『프랑수와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2004. 미소장
17 P. 톰슨, 김영무 역, 『그로테스크』, 서울대출판부, 1986. 미소장
18 T. 아도르노, 홍승용 역, 『미학이론』, 문학과지성사, 1994. 미소장
19 V. 쁘로쁘, 정막래 옮김, 『희극성과 웃음』, 나남, 2010. 미소장
20 W. 카이저, 이지혜 역, 『그로테스크』, 아모르문디, 2011. 미소장
21 W. 벤야민, 이태동 역, 「보들레르의 몇 가지 모티브에 대하여」, 『문예비평과 이론』, 문예출판사, 198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