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21세기 중화불교권의 임종관회조념단(臨終關會助念團) = Buddhist-society for helping Buddha-invocation in the 21st-century Buddhism of the greater China / 김성순 1

[Title] 1

요약문 2

I. 서론 4

II. 임종조념(臨終助念)의 기원과 배경 6

III. 현대의 임종관회(臨終關懷) 활동과 조념단(助念團) 11

IV. 21세기 중화불교권 임종관회 조념단의 사례 15

1. 대만 법고산사와 자제공덕회의 조념단 15

2. 싱가폴 정종학회(淨宗學會)의 임종관회 조념단 19

3. 상해 대불사(大佛寺)의 임종관회조념단 22

V. 현대의 임종관회 활동에 대해 생각해 볼 문제 25

1. 임종인의 '안녕권(安寧權)'에 대한 논의 25

2. 카톨릭의 임종 케어 활동과 포교 28

3. 소셜 네트워크 임종조념단 32

VI. 결론 34

참고문헌 36

[요약] 3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붓다와 초기불교의 신행혁신 = Innovation of faith and practice of Buddha and early Buddhism 김재성 pp.13-79

보기
대승불교운동과 신행혁신운동 = Mahāyāna Buddhism movement and practice innovation : ink spreads over ticker : 먹물은 짙어지면서 번진다 신상환 pp.81-110

보기
불교의 신행 혁신을 위해 중국 선종에서 배울 점 = What we should learn from the tradition of Chinese Zen Buddhism for the innovation of today's Buddhist practice 신규탁 pp.111-155

보기
21세기 중화불교권의 임종관회조념단(臨終關會助念團) = Buddhist-society for helping Buddha-invocation in the 21st-century Buddhism of the greater China 김성순 pp.157-197

보기
불교가 사랑받는 길 : '사회적 생활신행'의 실천 정경일 pp.199-207

보기
근대 중국불교의 신행혁신 운동 김영진 pp.209-216

보기
현대 인도의 재가불교 현황과 전망 = Lay Buddhist movement in modern India : present condition and future prospect 산토쉬 굽타 pp.221-247

보기
중국 재가불교의 역사와 현황 =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Lay-Buddhism 곽뢰 pp.249-295

보기
일본 재가불교의 현황과 미래 =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of Japanese Lay Buddhism 사토 아츠시 pp.297-325

보기
대만 재가불교의 활동과 미래 = Taiwan home Buddhism's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왕즈칭 pp.327-362

보기
한국 재가자불교의 현황과 방향성 = The present and future of Lay Buddhist activities in Korea : focused on Lay Buddhist organizations : 재가자 불교단체를 중심으로 김종인 pp.363-406

보기
대한불교조계종 재가불자들을 위한 종단과 재가불자의 역할 백남석 pp.407-427

보기
세상의 모든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 근현대 아시아 불교의 흐름과 21세기 행복의 조건 정헌열 pp.431-457

보기
2017년 개정판『불교입문』어떤 특징을 담고 있나? 고명석 pp.459-476

보기
한국불교의 물줄기를 돌려놓은 대선지식 : 불광운동 구술사 구술자: 흥교 ; 영상촬영: 최동순 ; 정리 및 윤문: 서재영 pp.481-526

보기
빛을 향하는 곳에 성취와 행복이 있다 : 불광운동 구술사 구술자: 송석구 ; 영상촬영: 최동순 ; 정리 및 윤문: 서재영 pp.527-561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