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구경 소장본, 「주생전」. | 미소장 |
2 | 권 필 저(문선규 역), 「화사 주생전 서대주전」, 통문관, 1961. | 미소장 |
3 | 권 필 저(이상구 역주),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2003. | 미소장 |
4 | 김기동, 「이조시대소설의 연구」, 성문각, 1974. | 미소장 |
5 | 김현룡, 「한중소설설화비교연구-「태평광기」의 영향을 중심으로」, 일지사, 1976. | 미소장 |
6 | 르네 지라르 저(김치수 외 옮김),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한길사, 2007. | 미소장 |
7 | 박일용, 「주생전」,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0. | 미소장 |
8 | 신재홍, 「「주생전」 연구사」, 「고소설연구사」, 월인, 2002. | 미소장 |
9 | 이명선, 「조선문학사」, 조선문학사, 1948. | 미소장 |
10 | 지그문트 프로이트 저(김정일 옮김), 「성욕에 관한 세편의 에세이」, 열린책들, 2007. | 미소장 |
11 | 콜레트 다울링 저(이호민 역), 「신데렐라 콤플렉스」, 나라원, 1987. | 미소장 |
12 | 김경미,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과 닫힌 미학을 넘어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 한국구전여성문학회, 2010. | 미소장 |
13 | Generic dyanmics of the love affair classics in the 17th century | 소장 |
14 | 김미령, 「서사작품에 나타난 애정모티프의 변화 양상과 현실대응방식-「수삽석남」·「이생규장전」·「주생전」을 대상으로」, 「한국어문학」 60, 한국어문학회, 2007. | 미소장 |
15 | The Structure of Conflicts in the < Joosangjun > | 소장 |
16 | The narrative Aesthetics in < Joosangjun > | 소장 |
17 | 주생전 소고 | 소장 |
18 | 김재수, 「「주생전」 연구-서술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21, 한국언어문학회, 1982. | 미소장 |
19 | The Desire of Jusaeng- Jeon through Delineation Study | 소장 |
20 | The Fantasy and the Social·Sexul Desires of Main Characters in < Joo Saeng jeon > | 소장 |
21 | Gap between Norm and Desire -Sexuality in the Novel in Joseon Period | 소장 |
22 | 소재영, 「석주권필소론」, 「숭전대 논문집」 6, 숭전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76. | 미소장 |
23 | 「周生傳」의 創作 背景 | 소장 |
24 | 17세기 전기소설에 나타난 남녀 관계의 변모 양상 : <위생전>·<주생전>의 남녀주인공을 중심으로 | 소장 |
25 | 「周生傳」의 서사구조와 性모랄 | 소장 |
26 | 왕숙의, 「주생전의 비교문학적 연구-곽소옥전 앵앵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986. | 미소장 |
27 | 醉鄕과 現實逸脫의 꿈 : <周生傳>의 문학적 감염장치 | 소장 |
28 |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어학연구」 11, 순천대학교 어학연구소, 2000. | 미소장 |
29 | The Relativ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Chinese Romantic Novels ![]() |
미소장 |
30 | <周生傳>의 미학과 그 의미 | 소장 |
31 | Women's customs and women's beauty sense in genr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 |
미소장 |
32 | Literature : A Study on the Attitudes of a Desire for Love in the Novels in the 17th Century ![]() |
미소장 |
33 | <周生傳>의 인물 연구 : 상호적 관계성을 중심으로 | 소장 |
34 | < 주생전 > 의 창작 기층과 문학적 성격 ![]() |
미소장 |
35 | <周生傳>과 <韋敬天傳>의 比較 考察 | 소장 |
36 | <주생전>과 16세기 말 소외양반의 意識 變化와 기녀의 自意識 表出의 시대적 의미 | 소장 |
37 | <주생전>의 현실지향과 미학적 특질 | 소장 |
38 | 일반논문 : <주생전>의 배도 연구 ![]() |
미소장 |
39 | 황윤실, 「17세기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욕망발현 양상」,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200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