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주생전周生傳」에 등장하는 남녀 주인공들이 애정적인 요소보다는 욕망적인 요소를 추구하면서 서로의 관계를 진척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이들이 삼각관계라는 구도 속에서 저마다 욕망을 지향하는 목적이 다르게 나타나는 과정과 그러한 욕망이 좌절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 논의의 목적을 둔다. 남녀의 애정관계와 성은 인간의 욕망에 의해 발현되지만 대상을 향한 주체의 욕망은 성취하려는 정도에 따라 그 양상도 달라진다. 기존의 전기소설에서 남녀의 애정이 서로에게 절대적이고 변함없는 특징을 보였다면 「주생전」에서 그려지는 남녀지간은 서로에게 상대적․의존적인가 하면 욕망의 대상이 전이되기도 한다. 이는 작품에서 구현되는 삼각관계 구도가 기존의 소설들과 다르게 주인공들 간에 애정적인 요소만으로 구성되지 않은 점을 입증한다. 주인공의 경우, 배도俳桃는 ‘신분회복’, 선화仙花는 ‘현실초월’, 주생周生은 ‘성적 향락’이라는 지향 요소를 갖고 있으며 세 사람은 개별적으로 욕망 실현을 통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특히 주생이 욕망의 대상을 전이시킴으로써 욕망의 좌절을 야기함에 따라 서사의 전개에 갈등을 일으키는 양상과 그 여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주생전」이 인간의 다양한 심리를 등장인물 간에 얽힌 욕망의 문제를 통해 사실적으로 전달하는 점에서 서사의 가치를 드러나는 것을 파악하고 나아가 등장인물들의 삼각관계 구도 속에서 드러나는 각각의 욕망의 성격을 사회상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문학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홍범연의(洪範衍義)』를 통해 본 존재(存齋)·갈암(葛庵)의 학문 = The Learning of Jonjae and Galam Viewed through Hongbeomyeonui 최영성 pp.9-41

『홍범연의(洪範衍義)』의 개혁사상 = Reformation Ideology in The Expatiation of The Great Political Law 김낙진 pp.43-75

『홍범연의(洪範衍義)』에 보이는 국가제사 = Research Of The National Sacrificial rites in Hong BumYeonUi 한형주 pp.77-113

『홍범연의(洪範衍義)』와 제왕학(帝王學) = Hongbeom Yeoneui(洪範衍義) and Studies of the King(帝王學) 정재훈 pp.115-151

풍산류씨 가문의 학문 전통과 가학 계승 = A Study on the Academic Tradition and Succession of Study in Poongsan Ryu Family : 류중영과 그 후손들의 학문 안병걸 pp.155-188

『주생전」에 나타난 욕망 지향과 좌절 = Desire Pursuit and Frustration in「Jusaeng-Jun」 장교운 pp.189-221

남구만『약천집』「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of Poems in "Yakcheonjip" (collection of poetries and proses) by Nam Gu-man. 2 . 2 이황진 pp.223-256

17세기 무성서원(武城書院)의 건립과 운영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useong Seowon (武城書院) in 17th century : 제향인물과 사액과정을 중심으로 임선빈 pp.257-293

조성당(操省堂) 김택룡(金澤龍)의 예안(禮安) 생활과 시조(時調) 창작 = A Study on Kim Taek-ryong (金澤龍)'s Life in Ye-an (禮安) and Creation of Sijo 조지형 pp.295-331

19~20세기 풍산김씨 일기를 통해본 의례생활 = Ritual Life through the Diaries of Kim family of Poongsan in the 19th~20th century 김미영 pp.333-372

영주지역 생원·진사 입격자와 사회적 지위 = The Classics and Literary Licentiate Examination Candidates and Their Social Status in Young-Ju Area 김의환 pp.373-416

조선시대 기행일기의 범주에 대한 논의 = Discussion of the Category of Joseon-era Travel Diaries 김미선 pp.417-450

애정변심계「춘향전」근원설화의 변동단계와「춘향전」프로토타입으로의 이행과정 = Changing stage and transferring process to「Chunhyangcheon」prototype of love changing affiliated「Chunhyangcheon」core tale 권도경 pp.451-494

1940년대 식민지 조선영화 속 일본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Japanese in Korean Film in the 1940s : Focusing on Feature Films : 극영화를 중심으로 함충범 pp.495-533

임권택 영화에서의 여성 주체의 근대성에 대하여 = On the Modernity of the Female Subjects in the Im Kwon Taek's Films : A General Study : 총론적 고찰 신양섭 pp.535-571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구경 소장본, 「주생전」. 미소장
2 권 필 저(문선규 역), 「화사 주생전 서대주전」, 통문관, 1961. 미소장
3 권 필 저(이상구 역주),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2003. 미소장
4 김기동, 「이조시대소설의 연구」, 성문각, 1974. 미소장
5 김현룡, 「한중소설설화비교연구-「태평광기」의 영향을 중심으로」, 일지사, 1976. 미소장
6 르네 지라르 저(김치수 외 옮김),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한길사, 2007. 미소장
7 박일용, 「주생전」,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0. 미소장
8 신재홍, 「「주생전」 연구사」, 「고소설연구사」, 월인, 2002. 미소장
9 이명선, 「조선문학사」, 조선문학사, 1948. 미소장
10 지그문트 프로이트 저(김정일 옮김), 「성욕에 관한 세편의 에세이」, 열린책들, 2007. 미소장
11 콜레트 다울링 저(이호민 역), 「신데렐라 콤플렉스」, 나라원, 1987. 미소장
12 김경미,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과 닫힌 미학을 넘어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 한국구전여성문학회, 2010. 미소장
13 Generic dyanmics of the love affair classics in the 17th century 소장
14 김미령, 「서사작품에 나타난 애정모티프의 변화 양상과 현실대응방식-「수삽석남」·「이생규장전」·「주생전」을 대상으로」, 「한국어문학」 60, 한국어문학회, 2007. 미소장
15 The Structure of Conflicts in the < Joosangjun > 소장
16 The narrative Aesthetics in < Joosangjun > 소장
17 주생전 소고 소장
18 김재수, 「「주생전」 연구-서술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21, 한국언어문학회, 1982. 미소장
19 The Desire of Jusaeng- Jeon through Delineation Study 소장
20 The Fantasy and the Social·Sexul Desires of Main Characters in < Joo Saeng jeon > 소장
21 Gap between Norm and Desire -Sexuality in the Novel in Joseon Period 소장
22 소재영, 「석주권필소론」, 「숭전대 논문집」 6, 숭전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76. 미소장
23 「周生傳」의 創作 背景 소장
24 17세기 전기소설에 나타난 남녀 관계의 변모 양상 : <위생전>·<주생전>의 남녀주인공을 중심으로 소장
25 「周生傳」의 서사구조와 性모랄 소장
26 왕숙의, 「주생전의 비교문학적 연구-곽소옥전 앵앵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986. 미소장
27 醉鄕과 現實逸脫의 꿈 : <周生傳>의 문학적 감염장치 소장
28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어학연구」 11, 순천대학교 어학연구소, 2000. 미소장
29 The Relativ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Chinese Romantic Novels 네이버 미소장
30 <周生傳>의 미학과 그 의미 소장
31 Women's customs and women's beauty sense in genr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네이버 미소장
32 Literature : A Study on the Attitudes of a Desire for Love in the Novels in the 17th Century 네이버 미소장
33 <周生傳>의 인물 연구 : 상호적 관계성을 중심으로 소장
34 < 주생전 > 의 창작 기층과 문학적 성격 네이버 미소장
35 <周生傳>과 <韋敬天傳>의 比較 考察 소장
36 <주생전>과 16세기 말 소외양반의 意識 變化와 기녀의 自意識 表出의 시대적 의미 소장
37 <주생전>의 현실지향과 미학적 특질 소장
38 일반논문 : <주생전>의 배도 연구 네이버 미소장
39 황윤실, 「17세기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욕망발현 양상」,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200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