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피해경험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ing Workplace Violence and Burnout in Social Workers : In Case of Metropolitan City Incheon :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장소현 ; 최승훈 ; 이용갑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피해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4

1.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피해 연구 4

2. 사회복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6

III. 연구방법 8

1. 연구대상자 8

2. 분석 변수 및 분석 방법 10

IV. 연구결과 11

1.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피해 실태 11

2. 폭력피해경험-직무스트레스-소진간 관계 분석 13

V. 결론 및 한계 15

참고문헌 18

abstract 2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은퇴와 건강 = The Effect of Retirement on Health Behaviors,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 건강생활습관과 정신건강을 중심으로 이정택, 김주연 pp.5-29

보기
임금근로자의 근로조건과 우울의 관련성 = The Association between Working Condition with Depression among Wage Workers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박보현, 오연재 pp.31-56

보기
미충족의료와 소득의 상호작용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효과 = Interaction Effects of Income and Unmet Healthcare Needs to Subjective Health Status : Using the Korea Health Panel, 2009-2014 : 한국의료패널 2009-2014년도 자료의 분석 박유경, 김창엽, 황승식 pp.57-83

보기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피해경험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ing Workplace Violence and Burnout in Social Workers : In Case of Metropolitan City Incheon :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장소현, 최승현, 이용갑 pp.85-106

보기
한국적 맥락을 고려한 환자만족도 조사도구의 이해 = A Qualitative Insight into Patient Satisfaction Survey in Korean Context : Focusing on Understanding and Searching Patient Experience : 환자경험의 탐색을 중심으로 이수경, 조병희 pp.107-148

보기

참고문헌 (6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기복지재단. 2014.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민원인 폭력실태 및 대응방안 연구. 경기복지재단. 미소장
2 A study on the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 Focusing on senior welfare social workers - 소장
3 국가인권위원회. 2013. 사회복지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미소장
4 권현진, 이용갑. 2017. 사회복지사의 인권침해 및 불이익 영향요인 연구. 사회연구, 31, 57-81. 미소장
5 Client Violence Toward Social Workers and Its Impa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소장
6 A Study on the Social Worker’s Experience in Coping with the Harm Caused by Client Violence 소장
7 김나진. 2008. 사례관리자에 대한 폭력노출위험에 대한 연구: 서울시, 경기도 지역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서울. 미소장
8 김미영. 2010. 클라이언트 폭력이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경북. 미소장
9 The Relationship of Client Viol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소장
10 The effects of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the People Engaged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An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소장
11 김제선, 유재윤. 2014. 사회복지사의 인적자원 특성과 향후 연구방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65-189. 미소장
12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experience and stress among elderly social workers 소장
13 A Study on the Effect of Client Violence on the Burnout of Social Workers in Homeless Assistance Organizations: The Moderate Variable Effects of Institutional Interventions 소장
14 남기룡. 2013. 클라이언트 폭력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클라이언트 폭력 대응조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미소장
15 대전복지재단. 2015. 대전광역시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이용자 폭력실태 및 대응방안연구. 대전복지재단. 미소장
16 (The)Effects of Client Violence on the Emotional Exhaustion of Social Workers :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소장
17 민승희. 2015. 장기요양기관의 클라이언트에 의한 폭력경험이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 논문). 광운대학교, 서울. 미소장
18 Experience on Client-Perpetrated Violence of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소장
19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Client Violence toward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소장
20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2.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실태 및 안전방안 연구.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사협회. 미소장
21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7. 사회복지종사자 폭력예방 매뉴얼.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사협회. 미소장
22 부산복지개발원. 2016. 사회복지종사자 위험 실태분석 및 위험관리 방안 연구. 부산복지개발원. 미소장
23 서울복지재단. 2005. 복지시설 종사자 위험관리 실태조사. 서울복지재단. 미소장
24 Studies on Clients` Violence in a Social Welfare Facility for the elderly and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It 소장
25 Articles : Effects of the Violence Experience on Burnou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among Police Officers 네이버 미소장
26 A Study on Client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in the Field of Child Protection Services 소장
27 Client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소장
28 The Effect of Experienced Client Violence Damage on the PTSD of Social Workers 소장
29 서비스 대상에 의한 폭력과 직무 스트레스 : 요양원 및 전문요양원 종사자의 경험 소장
30 The Effects of Citizens' Verbal and Physical Assaults on Psychological Stress Symptoms of Frontline Police Officers 소장
31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직무만족, 이직의도, Burnout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32 Burnout Process Model of Social Workers: Analysis of the Paths from the Job-related Stressors, Job-stress and Professional Self-efficacy to Burnout 소장
33 우리나라 사회사업가들의 소진(BURNOUT)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34 A study on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s` stress,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소장
35 A Qualitative Case Study on Examined of the Client Violence in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xperience and Recover Effort of Trauma 소장
36 인천발전연구원. 2017.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폭력예방 및 안전보호실태조사. 인천발전연구원. 미소장
37 직장 내 언어폭력의 심리적 영향 소장
38 정은미. 2008. 클라이언트 폭력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광주. 미소장
39 The Effects of Client Violence on the Burnout of Social Workers Working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confrontation system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 - 소장
40 Influence of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with client violence on child protection workers' emotional reactions and attitudes to the violence 소장
41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2.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피해 실태 및 안전방안 연구.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미소장
42 홍영욱. 2008. 클라이언트 폭력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스트레스 매개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미소장
43 A Study on the Risk Factors of the Client Violence Experiences of Care Workers Working in Nursing Homes 소장
44 Barling, J., Rogers, A. G., Kelloway, E. K.. 2001. Behind closed doors: In-home workers'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workplace violence,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6(3), 255. 미소장
45 Budd, J. W., Arvey, R. D., Lawless, P. 1996.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workplace violence.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2), 197. 미소장
46 Cherniss, C. 1980). Staff burnout: Job stress in the human service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47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네이버 미소장
48 Dillon, S. 1992. Social Workers: Targets in Violence Society, New York Times, Al, C18. 미소장
49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social issues, 30(1), 159-165. 미소장
50 Horwitz, Mark J. 2006. Work-related Trauma Effects in Child Protection Social Workers. Social Service Research, 32(3), 1-18. 미소장
51 A National Survey of Violence in the Practice of Social Work 네이버 미소장
52 Jayaratne, S., Vinokur-Kaplan, D., Nagda, B. A., Chess, W. A. 1996. A national study on violence and harassment of social workers by clients. Journal of Applied Social Sciences, 20(1), 1-14. 미소장
53 Kadushin, A. 1992. Supervision in social work (3rd Ed.).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54 Lazarus, R. S., Folkman, S. 1984. Coping and adaptation.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282-325. 미소장
55 Predictors and outcomes of workplace violence and aggression. 네이버 미소장
56 The Stresses Arising from Violence, Threats and Aggression Against Child Protection Social Workers 네이버 미소장
57 Reporting Client Violence 네이버 미소장
58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네이버 미소장
59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Client Violence toward Social Workers 네이버 미소장
60 Client violence toward children and youth services social workers 네이버 미소장
61 Client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네이버 미소장
62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63 Direct-Service Providers and Burnout 네이버 미소장
64 Is the Field a Hard Hat Area? A Study of Violence in Field Placements 네이버 미소장
65 Weinger, S. 2001. Security Risk: Preventing Client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Wshington, DC: NASW.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