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 마르틴 슈타트펠트 : 식상함을 뛰어넘는 반전
|
글: 김주영
|
pp.42-43
|
|
|
|
레 벙 프랑세 : 관악기 스타들의 앙상블
|
글: 송현민
|
pp.44-45
|
|
|
|
메조소프라노 막달레나 코제나 : 지적인 바로크를 만나다 [인터뷰]
|
[인터뷰이]: 막달레나 코제나 ; 글: 한정호
|
pp.48-50
|
|
|
|
봄빛의 리릭, 꿈꾸며 날다 : 소프라노 황수미 [인터뷰]
|
[인터뷰이]: 황수미 ; 글: 이미라 ; 사진: 심규태
|
pp.52-61
|
|
|
|
서른, 흔들리며 피는 꽃 :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조진주 [인터뷰]
|
[인터뷰이]: 신지아, 조진주 ; 글: 국지연
|
pp.62-66
|
|
|
|
넓이와 깊이를 향한 도전 : 피아니스트 김규연
|
글: 국지연 ; 사진: 심규태
|
pp.68-70
|
|
|
|
젊고 푸른 브람스의 영혼 : 클라리네티스트 조성호 [인터뷰]
|
[인터뷰이]: 조성호 ; 글: 국지연
|
pp.72-73
|
|
|
|
시간을 사로잡는 목소리 : 소리꾼 박애리 [인터뷰]
|
[인터뷰이]: 박애리 ; 글: 정원
|
pp.74-76
|
|
|
|
후원으로 꽃피는 예술 : 피아니스트 이형민
|
글: 국지연 ; 사진: 박진호
|
pp.78-79
|
|
|
|
인간적인 음악이 주는 감동 : 성악가 폴 포츠 [인터뷰]
|
[인터뷰이]: 폴 포츠 ; 글: 이미라
|
pp.82-83
|
|
|
|
거장의 생애가 내리운 큰 그림자 : 작곡가 사무엘 아들러 [인터뷰]
|
[인터뷰이]: 사무엘 아들러 ; 글: 김동민
|
pp.84-87
|
|
|
|
성공적인 뮤지컬의 표본을 만든 대부, 앤드루 로이드 웨버
|
글: 김호경
|
pp.88-91
|
|
|
|
악의 연대를 끊어낼 시간 : '공연예술계 성폭력 문제'의 원인과 대책
|
객석컴퍼니
|
pp.106-107
|
|
|
|
흔들리며 균형을 맞춰나간다 : '페미니즘 리부트' 시대의 공연예술
|
객석컴퍼니
|
pp.108-109
|
|
|
|
예술을 바라보는 윤리적 시선 : 윤리적 논란에 휩싸인 예술가와 작품,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
객석컴퍼니
|
pp.110-111
|
|
|
|
하나의 첼로에서 듣는 드넓은 음악 세계 : 에마뉘엘 베르트랑 & 루트비히 크반트
|
글: 송주호
|
pp.122-123
|
|
|
|
사물놀이에 대하여
|
객석컴퍼니
|
pp.136-137
|
|
|
|
사물놀이 탄생, 그 후
|
객석컴터니
|
pp.138-141
|
|
|
|
변화하는 사물놀이, 나아가는 젊은 국악
|
글: 정원
|
pp.142-143
|
|
|
|
앙리 비외탕 : 시대의 거장들이 극찬한 진정한 시대의 거장
|
글: 송주호
|
pp.150-152
|
|
|
|
브람스의 클라리넷 : 만년의 동반자
|
글: 송현민
|
pp.166-170
|
|
|
|
요나스 카우프만, 자신의 '미투' 경험을 이야기하다
|
글: 노먼 레브레히트 ; 번역: 글씨
|
pp.146-14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