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스파이크 존즈의 〈그녀〉에 나타난 과학기술 시대의 사랑과 종교 = Love and Religion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pike Jonze's her / 한금윤 ; 김용성 1

I. 서론 1

II. 과학기술 시대의 또 하나의 사랑 3

III. 과학기술 시대와 아날로그 인간 감성 9

IV. 과학기술 시대의 종교적 성찰 13

V. 결론 19

Works Cited 21

Abstract 25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맥베스』를 통해 본 켈트문화와 동북아시아 유목문화 비교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eltic Culture and North-Eastern Asian Nomadic Culture through Macbeth : In the Perspective of Shamanism :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강준수 p.7-35

보기
폴란드와 한국의 속담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Polish and Korean Proverbs : Focusing on Proverbs Regarding Money and Wealth : 돈·재물과 관련된 속담을 중심으로 최성은 p.127-158

보기
인공지능과 이어 밀리언 시대의 인간의 조건이란 무엇인가? = What is the Human Condition of Year Million? : Focusing on Karel Capek's Robot and the British TV Drama, Humans : 카렐 차페크의『로봇』과 영국 드라마『휴먼스』를 중심으로 김은혜 p.61-79

보기
스파이크 존즈의 <그녀>에 나타난 과학기술 시대의 사랑과 종교 = Love and Religion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pike Jonze's her 한금윤, 김용성 p.181-206

보기
창발과 임계현상의 복잡적응계로서 닐 버거의 ≪리미트리스≫ = Neil Burger's Limitless as a Complex Adaptive System of Emergence and Critical Phenomenon 김성규 p.37-59

보기
영미시 연구자의 눈으로 읽은 보들레르와 서정주 = Charles Baudelaire and Seo Jung-joo : from the View Point of English Poetry Scholar 신원철 p.81-99

보기
GMO 시대의 바디, 트랜스바디, 포스트바디 = Body, Transbody, Postbody in the GMO Era : Eileen Gunn's "Stable Strategy for Middle Management" : 에일린 건의「중간 관리자를 위한 안정화 전략」 주기화 p.101-125

보기
「죽음에 관한 명상」에 나타난 브라이언트의 죽음에 대한 견해 = Bryant's View on Death in "Thanatopsis" 최희섭 p.159-179

보기
김수영과 독일 시인 게오르크 트라클의 언어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Language in Su-Young Kim' and Georg Trakl's Poetries through Heidegger's Being Concept : 하이데거의 존재 개념을 매개로 홍순희 p.207-233

보기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azi, Andre. What Is Cinema? Trans. Sangkyu Park. Seoul: Samunnangeok, 2013. Print. [바쟁, 앙드레. 『영화란 무엇인가?』. 박상규 옮김. 서울: 사문난적, 2013.] 미소장
2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ificial emotions - Is an emotion robot realizable? - 소장
3 Han, Byungchul. Agony of Eros. Trans. Taehwan Kim. Seoul: Moonji, 2015. Print. [한병철. 『에로스의 종말』. 김태환 옮김.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5.] 미소장
4 Han, Keumyoun. Korean Culture of Sexuality. Seoul: Sotong, 2009. Print. [한금윤. 『현대사회의 성과 문화적 재현』. 서울: 소통, 2009.] 미소장
5 Character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and Religion : Focusing on KIM Sara's The Moon of Maya 소장
6 Hong, Sungook. “Preface: The Mir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ir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ngook Hong, et. al. Seoul:Humanist, 2017. 5-7. Print. [홍성욱. 「머리말: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신기루」. 『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 김소영 외. 서울: 휴머니스트, 2017. 5-7.] 미소장
7 hooks, bell. All about Love. Trans. Youngki Lee. Seoul: Books on Wednesday, 2012. Print. [훅스, 벨. 『올 어바웃 러브』. 이영기 옮김. 서울: 책읽는수요일, 2012.] 미소장
8 her. Dir. Spike Jonze. Perf. Joaquin Phoenix, Amy Adams, and Scarlett Johansson. Annapurna Pictures, 2013. Film. 미소장
9 Depersonalized Intimacy: The Cases of Sherry Turkle and Spike Jonze 네이버 미소장
10 Jollimore, Troy. “This Endless Space between the Words: The Limits of Love in Spike Jonze’s Her.” Journal of Social Philosophy 39 (2015): 120-43. Print. 미소장
11 Jung, Youngkwon. Understanding Film Genre. Seoul: Amormundi, 2017. Print. [정영권. 『영화장르의 이해』. 서울: 아모르문디. 2017.] 미소장
12 Meaning of Co-existing with A.I. and Human in the Movie 소장
13 Reconsidering The Matrix through Paul Tillich’s Theology of Culture 소장
14 Kim, Yongsung. “Religious Significance in Herman Melville’s ‘Bartleby, The Scrivener:A Story of Wall Street’.” Literature and Religion 19.4 (2015): 45-66. Print. [김용성. 「허먼 멜빌의 필경사 바틀비 에 나타난 종교적 의미」. 『문학과종교』 19.4 (2014): 45-66. [ 허먼 멜빌 로 표기] 미소장
15 The Eschatological Vision of Parousia in Samuel Beckett’s Endgame. 소장
16 Lee, Jeonghwa. “Posthumanism and the Expansion of Posthuman Relations in the 21st Hollywood SF Films: Focus on Her (2013).” Journal of American Studies 49.1 (2017): 125-45. Print. [이정화. 「21세기 할리우드 SF 영화에 반영된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먼 관계의 확장: Her(2013)를 중심으로」. 『미국학논집』 49.1 (2017):125-45.] 미소장
17 Lee, Jongseung. Mise-en-scène: Understanding the Logic for Creating a Film. Seoul: Amormundi, 2016. Print. [이종승. 『미장센: 영화 창작 논리의 해부』. 서울: 아모르문디, 2016.] 미소장
18 Lefebvre, Henri. Elements of Rhythmanalysis. Trans. Kiheon Jeong. Seoul:Galmuri, 2013. Print. [르페브르, 앙리. 『리듬분석』. 정기헌 옮김. 서울: 갈무리, 2013.] 미소장
19 The Madwoman and the Ghost : Comparative Study on The Woman in White and The Woman in Black 소장
20 기술시대와 사랑의 윤리학 : 후설, 하이데거, 프롬의 사랑론을 중심으로 소장
21 Park, Sanghyun. “Phenominological Humanit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lm: Focused on the Film ‘Transcendence’ and ‘Her’.”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55 (2016): 192-20. Print. [박상현. 「영화 속 인공지능의 현상학적 인간성—영화 “트랜센터스”와 “그 녀”를 중심으로」. 『커뮤니테이션 디자인학연구』 55 (2016): 192-20.] 미소장
22 Sax, David. The Revenge of Analog. Trans. Sanghyun Park and Seungyun Lee. Seoul: Across, 2017. Print. [색스, 데이비드. 『아날로그 반격』. 박상현·이승연 옮김. 서울: 어크로스, 2017.] 미소장
23 Shin, Sangkyu. The Future of Homo Sapience. Seoul: Acanet, 2014. Print. [신상규. 『호모사피엔스의 미래』. 서울: 아카넷, 2014.] 미소장
24 The New Possibility of Relations between Human and Non-human Others in Posthuman Era in the Film Her 소장
25 Lampolski, Mikhail. Film and Quest for Meaning. Trans. Soohwan Kim, et. al. Paju: Nanam, 2017. Print. [얌폴스키, 미하일. 『영화와 의미의 탐구 1』. 김수환 외 옮김. 파주: 나남, 2017.] 미소장
26 A Study on Accessory-application as a Narrative Tool -Focusing on - 소장
27 Yun, Jonguk. An Introduction to Film Analysis. Seoul: CommunicationBooks, 2017. Print. [윤종욱. 『영화분석의 기초개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