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 1 | 권상철 역, 2008, 정치생태학 비판적 개론, 서울: 한울 아카데미(=Robbins, P., 2004, Political ecology: A critical introductio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 미소장 |
| 2 | Neoliberalizing Water: Commodification Debate and their Making in Korea | 소장 |
| 3 | 권상철, 2016, 지역 정치생태학, 서울: 푸른길. | 미소장 |
| 4 | Articles : An investigation of procedures of creating the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s an ecotourism resource, its successful factors, and evaluation ![]() |
미소장 |
| 5 | Comparative Analysis of 2005-2006 MUJU Firefly Festival's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 |
미소장 |
| 6 |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Namdae Stream, Yangyang, Korea | 소장 |
| 7 | 박규택, 1998, “정치생태학(political ecology)에 의한 자연환경과 사회의 관계 이해,” 地理學硏究 (18), pp. 60-75. | 미소장 |
| 8 | 변화근·최재석·최준길, 1996, “양양남대천의 어류상과 소하성 어류의 분포 특성,” 생태와 환경 29(3), pp. 159-166. | 미소장 |
| 9 | 환경단서가 축제방문객의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강원도 산천어축제를 대상으로 | 소장 |
| 10 | 양양연어축제의 참가동기가 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 11 | 양양문화원, 2010, 양양군지(상), 양양: 양양문화원. | 미소장 |
| 12 | 반(反)광산 지역운동과 다중 스케일적 연대 : 필리핀 라푸라푸 프로젝트의 정치생태학 | 소장 |
| 13 | Political Ecology of Palm Oil: Focusing the Role of the States in Southeast Asia Region | 소장 |
| 14 | The Study of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Festival Visitors' Experience Motivations - The Case of 2009 Hwacheon Mountain Trout Festival | 소장 |
| 15 | 이상헌, 2001, 물 이용을 둘러싼 환경갈등의 담론 분석: 위천국가산업단지 조성과 관련된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계획학과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 16 | 이승훈 역, 2017, 물민영화를 넘어서, 대구: 경북대학교 출판부(=Bakker, K., 2010, Privatizing water: governance failure and the world’s urban water crisis,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 17 | 지역축제에 있어서 메인프로그램 서비스품질이 축제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무주반딧불축제를 중심으로 | 소장 |
| 18 | Articles : Tourist Behaviour o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 Case of the Butterfly Festival 2002 | 소장 |
| 19 | The Geography of Community Festivals as a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The Case of South Korea | 소장 |
| 20 | 이채성·성기백·이철호, 2007, “연어방류사업의 역사와 현황,” 한국해양학회지 12(2), pp.73-80. | 미소장 |
| 21 | A study on the multi-scalar processes of nature's neoliberalization in South Korea : the case of controversies over Mt. Seorak cable-cars in Yangyang County, Gangwon Province | 소장 |
| 22 | 장한별, 2018, 생태관광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고찰 - 양양연어축제를 사례로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 23 | 장한별·부백, 2017, “한국과 일본의 연어축제 비교 연구,”일본사상 (33), pp.57-81. | 미소장 |
| 24 | 주강현, 2006, 관해기, 파주: 웅진지식하우스. | 미소장 |
| 25 | 최병두, 2009,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마르크스주의 연구6(1), pp.10-56. | 미소장 |
| 26 | Research Note : The Role of Local Governance on Ecotourism | 소장 |
| 27 |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내수면생명자원센터, 2017, 「연어자연산란장 적지·타당성 조사 및 실시설계」 제안요청서. | 미소장 |
| 28 | Water Governance in Canada: Innovation and Fragmentation ![]() |
미소장 |
| 29 | Neoliberalizing Nature? Market Environmentalism in Water Supply in England and Wales ![]() |
미소장 |
| 30 | The limits of `neoliberal natures': Debating green neoliberalism ![]() |
미소장 |
| 31 | Neoliberal Versus Postneoliberal Water: Geographies of Privatization and Resistance ![]() |
미소장 |
| 32 | Blaikie, P. and Brookfield, H., 1987, Land degradation and society,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 33 | Blaikie, P., 1985, The political economy of soil erosion in developing countries,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 34 | Campbell, L. M., Gray, N. J. and Meletis, Z. A., 2008, Political ecology perspectives on ecotourism to parks and protected areas, Hanna, K. S., Clark, D. A. and Slocombe, D. S. (Eds.), Transforming parks and protected areas: Policy and governance in a changing world, London: Routledge, pp.200-221. | 미소장 |
| 35 | The Nature of Produced Nature: Materiality and Knowledge Construction in Marxism ![]() |
미소장 |
| 36 | Neoliberalising Nature: The Logics of Deregulation and Reregulation ![]() |
미소장 |
| 37 | Neoliberalising Nature: Processes, Effects, and Evaluations ![]() |
미소장 |
| 38 | Choi, M. A., 2016, “Governing deceleration: the natures, times, and spaces of ecotourism in South Korea,”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xford. | 미소장 |
| 39 | Cole, S., 2012, “A political ecology of water equity and tourism: A case study from Bali,” Annals of tourism Research 39(2), pp.1221-1241. | 미소장 |
| 40 | What's political ecology got to do with tourism? ![]() |
미소장 |
| 41 | Neoliberalising Nature: Global Networks and Ecotourism Development in Madagasgar ![]() |
미소장 |
| 42 | Interactive elephants: Nature, tourism and neoliberalism ![]() |
미소장 |
| 43 | Nature-based tourism and neoliberalism: concealing contradictions ![]() |
미소장 |
| 44 | Escobar, A., 1996, “Construction nature: Elements for a post-structuralist political ecology,” Futures 28(4), pp.325-343. | 미소장 |
| 45 | Contradictions in Tourism: The Promise and Pitfalls of Ecotourism as a Manifold Capitalist Fix ![]() |
미소장 |
| 46 | Forsyth, T., 2004, Critical political ecology: the politics of environmental science,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 47 | Gregory, D., Johnston, R., Pratt, G., Watts, M. and Whatmore, S. (Eds.), 2011,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New Jersey: John Wiley & Sons. | 미소장 |
| 48 | Tourism neoliberalism and the swamp as enterprise ![]() |
미소장 |
| 49 |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in Mexico: Nature, Neoliberalism, Social Movements, and the State ![]() |
미소장 |
| 50 | River temperature drives salmon survivorship: is it determined prior to ocean entry? ![]() |
미소장 |
| 51 | Critical engagements with nature: tourism, political economy of nature and political ecology ![]() |
미소장 |
| 52 | Mosedale, J., 2016, Neoliberalism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tourism,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 53 | Mostafanezhad, M., Norum, R., Shelton, E. J. and Thompson-Carr, A. (Eds.), 2016, Political ecology of tourism: community, power and the environment,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 54 | Nepal, S. and Saarinen, J. (Eds.), 2016, Political ecology and tourism,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 55 | Green pretexts: Ecotourism, neoliberal conservation and land grabbing in Tayrona National Natural Park, Colombia ![]() |
미소장 |
| 56 | Locating the Political in Political Ecology: An Introduction ![]() |
미소장 |
| 57 | Neoliberalizing Space ![]() |
미소장 |
| 58 | The nature that capital can see: science, state, and market in the commod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 |
미소장 |
| 59 | Political ecology in the key of policy: From chains of explanation to webs of relation ![]() |
미소장 |
| 60 | Smith, N., 2008, Uneven Development: Nature, Capital, and the Production of Space, Georgia: Th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 미소장 |
| 61 | Political ecology of tourism ![]() |
미소장 |
| 62 | POLITICAL ECOLOGY: WHERE IS THE ECOLOGY? ![]() |
미소장 |
| 63 | Watts, M. J., 2015, The origins of political ecology and the rebirth of adaptation as a form of thought, Perreault, T., Bridge, G. and McCarthy, J. (Eds.), The Routledge handbook of political ecology,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 64 | 《강원도민일보》 2010. 07. 09. “양양 냉수성어류연구센터 민영화 추진 반발” | 미소장 |
| 65 | 《강원도민일보》 2015. 03. 20. “양수발전소 남대천 오염 피해 보상해야” | 미소장 |
| 66 | 《뉴스1》 2017. 02. 14. “양양군, 양양남대천 어도시설 정비” | 미소장 |
| 67 | 《동아일보》 1997. 10. 23. “양양 양수발전소 『적법』 … 서울고법, 주민청구 기각” | 미소장 |
| 68 | 《설악신문》 2006. 09. 11. “양수발전소 방류수 남대천 오염문제” | 미소장 |
| 69 | 《설악신문》 2014. 06. 23. “남대천 생태어도 정비 시급” | 미소장 |
| 70 | 《연합뉴스》 2010. 07. 08. “양양군, 냉수성어류연구센터 군이관 추진 ‘논란’” | 미소장 |
| 71 | 《연합뉴스》 2017. 02. 14. “‘연어의 강’ 양양 남대천…자연성 회복위해 어도 정비” | 미소장 |
| 72 | 《월간조선》 2012. 05. “단골시위꾼들의 국책사업 반대, 그후 - ③ 강원도 양양 양수댐 건설 그 후” | 미소장 |
| 73 | 《중앙일보》 2015. 08. 16. “양양군 남대천 생태환경 복원‘보·어도 개선’ 추진” | 미소장 |
| 74 | http://www.npafc.org/new/science_statistics.html (최종열람일: 2018년 4월 20일). | 미소장 |
| 75 | http://www.fira.or.kr/fira/fira_060301_1.jsp (최종열람일: 2018년 4월 23일). | 미소장 |
| 76 | http://100.daum.net/book/222/list (최종열람일: 2018년 04월 03일) | 미소장 |
| 77 | http://infish.ndsl.kr/ (최종열람일: 2018년 4월 23일). | 미소장 |
| 78 | https://www.youtube.com/watch?v=1N9ILpAGpoY (최종열람일: 2018년 4월 22일). | 미소장 |
| 79 | http://www.fishway.go.kr/home/mainPage.do (최종열람일: 2018년 4월 23일).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