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데카르트와 동물 자의식 = Descartes and Animal Self-consciousness 김성환 p.81-104
깨달음과 초연함 = Erwachen und Gelassenheit 문동규 p.167-189
칸트철학에서 타자의 얼굴 = The figure of the Others in Kant's Philosophy 김영례 p.105-131
알키비아데스의 실패와 아테네 민주주의 = Alcibiades' Failure & the Athenian Democracy 조흥만 p.55-80
헤이안시대 화엄종에 보이는 신라불교사상의 역할 = The role of Silla buddhist thoughts in the Japanese kegon school during Heian period 김천학 p.1-29
四象醫學의 未來 = A futu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崔大羽 p.31-54
하이데거 상상력의 위상 변천 = The topological Transition of Heidegger's Imagination : The conditional Return of the Imagination : 상상력의 조건부 귀환 김동규 p.133-166
전문분야들의 융합적 작업에서 철학의 몫 = Role of Philosophy in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 : Case of the Discussion concerning Agency of Intelligent Artificial Beings : 지능을 가진 인공물의 지위에 대한 토론이라는 사례 고인석 p.191-214
가능세계 이론들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ories of Possible Worlds 손병홍 p.215-246
분석철학과 자연주의 = Analytic Philosophy and Naturalism : van Inwagen's 'Analytic Philosophy without Naturalism' : 반 인와겐의 '자연주의 없는 분석철학' 한상기 p.247-273
재산 소유적 민주주의의 이념 = The Idea of Property-Owning Democracy : A Comparison between Meade and Rawls : 미드와 롤즈의 비교 홍성우 p.275-314
비판으로서 도덕 = Moral als Kritik : Zur moralischen Erfahrung als Motivation der Wut und des Widerstands : 분노와 저항의 동인으로서 도덕적 경험에 관하여 김기성 p.315-340
자기충실성과 의미 있는 삶에 관한 후랭크후르트(Harry Frankfurt)의 견해 비판 = A critique of Frankfurt's view of integrity and a meaningful life 한곽희 p.341-365
현대인권론과 공리주의의 대립 비판 = Contemporary Theory of Human Rights and Utilitarianism 임정아 p.367-390
마이클 왈쩌의 '다원적 정의'와 현대 사회 비판 = Michel Walzer's Concept of Complex Justice and Social Critique 문성훈 p.391-421
드워킨과 코헨 간 비싼 기호 논쟁에 관한 소고 = A Note on the Expensive Taste Debate between Dworkin and Cohen 김정훈 p.423-456
민주주의와 한국의 민주주의 = Democracy and South Korean Democracy :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철학적 성찰 이충한 p.457-486
이미지 수용의 변화 = Die Veränderung von Rezeptionen der Bilder : von den lesbaren Bildern zu den wahrnehmbaren Bildern : 읽는 이미지에서 지각하는 이미지로 심혜련 p.487-513
들뢰즈의 그림론 = Deleuze's study of painting : painting as a passive synthesis of sensibility : 감성에서의 수동적 종합으로서 회화 : 마니에리슴에서 베이컨까지 서동욱 p.515-537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태완 엮고 지음, 간화선 창시자의 선 上 ,침묵의 향기,2011. 미소장
2 고형곤, 선의 세계 ,운주사,1995. 미소장
3 마르틴 하이데거 지음,신상희 옮김, 사유의 경험으로부터 ,길,2012. 미소장
4 깨달음과 이상적인 삶 : 벽송지엄의 『벽송당야로송(碧松堂야老頌)』을 중심으로 소장
5 '깨달음의 세계; 본래적인 실존의 세계' : 벽송 지엄과 마르틴 하이데거의 만남 소장
6 Die Gelassenheit in Seinsdenken M. Heideggers 소장
7 박찬국, 원효와 하이데거의 비교연구 ,서강대학교출판부,2010. 미소장
8 성 본,「선의 실천사상과 깨달음(自覺)의 문제」, 보조사상 (제29집),보조사상연구원,2008. 미소장
9 전동진, 창조적 존재와 초연한 인간 ,서광사,2002. 미소장
10 존 스태프니 외,김종욱 옮김, 서양철학과 선 ,민족사,1993. 미소장
11 碧松 智嚴의「碧松堂埜老頌」 네이버 미소장
12 지관 편저, 가산불교대사림 권9 ,가산불교문화원,2007. 미소장
13 지엄, 「벽송당야로송」, 한국불교전서 제7책, 동국대학교, 1984. 미소장
14 최경호, 간화선의 철학적 정립 ―선에 밝혀지는 존재론― ,경서원,2007. 미소장
15 황갑연 외 편저, 지리산권 불교문헌해제 , 심미안, 2009. 미소장
16 Heidegger, M., Gelassenheit, Zweite, unveränderte Auflage, GünterNeske, Pfullingen, 196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