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蘇洵의 문학이 조선조 문인에게 끼친 영향을 고찰하여, ‘조선조 문인이 각기 소순의 문학을 수용하면서 어떠한 창조나 변용이 있었는가’, 그리고 ‘그것이 우리 문학에 어떤 발전이나 변화를 줄 수 있었는가’를 도출해내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소순이 ‘25세에 독서를 알게 되어 27세가 되어서야 크게 발분하여 독서한 것’이 만학성취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2. 조선조 족보에서는 소순의 족보를 하나의 전형으로 삼았으며, 나아가 그것을 창조적으로 변용하는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3. 소순이 「辨奸論」에서 王安石을 비판한 것은, ‘선견지명’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조선조 문인이 어떤 인물을 소인이나 奸人으로 비난하는데 있어 하나의 상징적인 표준이 되었다.

이렇듯 조선조 문인은 소순 및 그의 문학에서 영향을 받았고, 동시에 자국문학의 발전을 목표로 하여 문학적으로 재창조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세기 언양지역에서의 집성촌의 추이와 인구동학 = Trend of Cognate Villages and Population Dynamics in Eonyang-eup, 1910~1975 朴二澤 p.379-408

강노향의 생애와 노신과의 관련 고찰 = Discussion on the Life of No-hyang Kang and Relation with Lu Xun 姜玉 p.463-485

알랭 로브그리예(1922~2008)의 번역 수용과 누보 로망(Nouveau Roman) = The translation acceptance of Alain Robbe-Grillet(1922~2008) and Nouveau Roman : Lee EoRyong, Park Imun, Kim Hyun, Kim Chisu, Ha ilji : 이어령, 박이문, 김현, 김치수, 하일지 李烆宣 p.519-556

윌리엄 포크너의 일본 방문(1955)과 문학·문화적 교류 = William Faulkner's Visit to Japan (1955) and Literature and Cultural Exchange 楊아람 p.487-518

廟數 규정 제도의 始原에 대한 一考 =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System to Regulate the Number of Zōng-miàos that Each Class Could Own'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n the System Regulating the Number of Zōng-miàos in Han Dynasty and Warring State Period : 漢代와 戰國期의 廟數制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徐政嬅 p.159-184

文圖學 = Text and Image Studies : The New Vision of East Asian Classics Studies : 동양 고전학 연구의 새로운 시각 衣若芬 p.9-40

조선조 문인에게 끼친 蘇洵의 영향 = Su Xun's Influence on the Literati in the Chosŏn Dynasty 曹圭百 p.247-273

北魏末 '尒朱榮政權'의 출현과 그 영향 = The Erzhu Rong's Government in the Last Period of BeiWei and It's Influence of Polictics in period of Beichao Dynasties : The Paradigm Change of the BeiWei's Collapse from the Rebellion of Liuzhen to The Erzhu Rong's Rising and Government : 六鎭의 난 과대 평가와 尒朱榮政權의 재평가를 중심으로 崔珍烈 p.185-246

意蘊의 미학 = Aesthetics of Implication : An Analysis of the Third Level in Kang-ahm's Bamboo Paintings : 剛菴 竹畵의 第三層面 분석 林泰勝 p.409-433

『新式婦人治家法』의 번역과 한중일 한자어의 교섭 양상 = A Study on Translation of Sinsikbuinchigabeop and Aspects of Negotiation Pattern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hinese Characters 李準煥 p.337-377

근대일본 농업교육과 사회계급의 분화 = Yokoi Tokiyoshi's Education Project and the Class Stratification of Rural Japan : 요코이 도키요시(橫井時敬)의 동경농업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崔子明 p.435-462

주자학적 독법에서 본 최한기 철학의 특징 = The Characteristics of Ch'oe Han-gi's Philosophy as Viewed through a Neo-Confucian Reading 白敏禎 p.109-157

朝鮮時代 金石文 자료의 정리에 대하여 = A Study on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Inscription Materials in the Chosŏn Dynasty Period 朴徹庠 p.81-107

戶籍과 族譜의 자료적 특성과 연구방법 = Data Features and Research Method of Household Registers and Genealogies by Tracking Hapcheon Lee Family Members in Tanseong in the 17-20th Centuries : 17C~20C 초 丹城地域 培養洞 陜川李氏들을 추적하며 孫炳圭 p.41-79

근대동아시아 규율권력의 지방침투와 제국의 관변단체 = Local Penetration of Rule Power and Imperial Subsidiaries in Modern East Asia : Focusing on Local Improvement Movement(1900~1918) of Meiji Japan : 日本의 地方改良運動(1900~1918)을 중심으로 鄭勝振 p.275-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