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장원, 「한국의 베스트 SF작가 열전」, <사이언스타임즈>, 2012 연재.(www.sciencetimes.co.kr) | 미소장 |
2 | 고장원,『SF란 무엇인가?』, 부크크, 2015. | 미소장 |
3 | Korean Child and Youth Science Fiction Literatures, and Scientific Imagination ![]() |
미소장 |
4 | 김건우, 「포스트휴먼의 개념적, 규범학적 의의」, 한국포스트휴먼학회 ․ 포스트휴먼연구소 편,『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 아카넷, 2016. | 미소장 |
5 | 김보영 외,『SF 크로스 미래과학』, 우리학교, 2017. | 미소장 |
6 | 김상훈, 「현대 SF의 진화 — 포스트고딕에서 슬립스트림으로」,『HAPPY SF』창간호, 행복한책읽기, 2004. | 미소장 |
7 | 노대원, 「대체 역사 SF의 젠더 정치학 ― 복거일 소설『비명을 찾아서』의 비판적 독해」,『탈경계인문학 TRANS-HUMANITIES』23집,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7, 47~70쪽. | 미소장 |
8 | Narrative Characters and "Theory of Mind" -Character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 소장 |
9 | 노대원, 「한국 문학의 포스트휴먼적 상상력 — 2000년대 이후 사이언스 픽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Comparative Korean Studies』23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333~360쪽. | 미소장 |
10 | 마정미,『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미소장 |
11 | A Road to the Posthuman: Toward the Coevolution of Human and Machine | 소장 |
12 | 복거일,『벗어남으로서의 과학』, 문학과지성사, 2007. | 미소장 |
13 | The Star of Robots and Posthuman Imagination ![]() |
미소장 |
14 | 포스트휴먼 시대의 포스트휴먼 담론들 :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 소장 |
15 | 이수진,『사이언스픽션, 인간과 기술의 가능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 미소장 |
16 | 임석원,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기획: 배타적인 인간중심주의의 극복」, 이화인문과학원 편,『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3. | 미소장 |
17 | 정명훈·송지민·김민혜·김승수·강민석·김동영(제주과학고), 지도교사 양원, 지도교수 노대원, 「한국 과학소설의 진화비평적 연구 — 복거일의 「꿈꾸는 지놈의 노래」와 듀나의 「기생(寄生)」을 중심으로」,『고등학생이 바라본 학교, 지역사회, 제주인: 2016 인문 ․ 사회 과제연구(R&E) 학술논문집』,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 미소장 |
18 | 게르트 레온하르트,『신이 되려는 기술: 위기의 휴머니티』, 전병근 역, 틔움, 2018. | 미소장 |
19 | 도미니크 바뱅,『포스트휴먼과의 만남: Post-human 1세대를 위한 안내서』, 양영란역, 궁리, 2007. | 미소장 |
20 | 마크 존슨,『몸의 의미: 인간 이해의 미학』, 김동환 · 최영호 역, 東文選, 2012. | 미소장 |
21 | 슈테판 헤어브레히터,『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이후의 인간에 관한 문화철학적 담론』, 김연순 ․ 김응준, 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 미소장 |
22 | 에드워드 슬링거랜드,『과학과 인문학: 몸과 문화의 통합』, 김동환 ‧ 최영호 역, 지호, 2015. | 미소장 |
23 | 조너선 갓셜,『스토리텔링 애니멀』, 노승영 역, 민음사, 2014. | 미소장 |
24 | 캐서린 헤일스,『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사이버네틱스와 문학, 정보 과학의 신체들』, 허진 역, 플래닛, 2013. / N. Katherine Hayles, How we became posthuman: Virtual Bodies in Cybernetics, Literature, and Informat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 미소장 |
25 | 테드 창, 「인류 과학의 진화」,『당신 인생의 이야기』, 김상훈 역, 행복한책읽기, 2004. | 미소장 |
26 | 호세 코르데이로, 「인간의 경계: 휴머니즘에서 트랜스휴머니즘까지」,『제1회 세계인문학포럼 발표자료집』, 2011. | 미소장 |
27 | Bruce ClarkeㆍManuela Rossini (eds.), “PREFACE: Literature, Posthumanism, and the Posthuman,” The Cambridge Companion to Literature and the Posthum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 미소장 |
28 | Lisa Yaszek ‧ Jason W. Ellis, “Science Fiction,” Bruce Clarke ‧ Manuela Rossini (eds.), The Cambridge Companion to Literature and the Posthum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 미소장 |
29 | Manuela Rossini, “Science/fiction: Imagineering posthuman bodies,” Gender and Power in the New Europe, the 5th European Feminist Research Conference, August 2003, pp.1~13. | 미소장 |
30 | Rosi Braidotti, Maria Hlavajova (eds.), Posthuman Glossary, Bloomsbury, 2018. | 미소장 |
31 | Sherryl Vint, “Science Fiction and Posthumanism,”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