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정치와 시장의 등장은 직업공무원이 중심이 되었던 관료제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그렇다면 둘 가운데 행정에 더 큰 영향력을 끼치는 것은 무엇인가? 공무원에 대한 사회적 비난이나 공무원들의 위기와 관련된 언론특집기사의 담론 분석 결과는 공무원들이 시장보다는 정치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 논문은 그에 대한 배경으로 첫째, 시장이 국가와 대립되지 않고 국가 안에서 관리되어 왔던 대륙법계의 전통, 둘째, 정당을 장악한 인물이 의회와 행정부까지 장악해 왔던 제왕적 통치 관행, 셋째, 여전히 강하게 작동되고 있는 개발연대 행정의 유산을 제시했다. 세 가지 이유를 통해 이 논문에서 강조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관료제는 개발 연대부터 지금까지 통치집단의 이념을 충실하게 실현하는 집행관료제의 성격을 벗어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정치-행정 이원론과 공무원의 정치척 중립의 원칙은 집행관료(제)를 뒷받침하는 규범적 토대를 제공해왔다.
이들 이론이 계급제에 뿌리를 둔 우리나라의 관료제에 무비판적으로 적용되면서 공무원들을 정치권력에 예속시키고 관료제의 집행적 성격을 정당화시켜왔다. 고위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문제 해결을 잘 하는 유능한 공무원 보다는 문제에 대해 성찰하는 공직자가 필요한 시점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한국의 관료제와 민주주의 : 어떻게 관료를 통제할 것인가 | 소장 |
2 | The Change of Political Power and the Administrative Elites in Korea | 소장 |
3 | 한국의 행정 개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
미소장 |
4 | 권혁주 (2018). 민주화 이후 한국 국정운영의 패러다임 분석과 새로운 방향 모색. 성공하는 정부를 위한 국정운영: 민주적 공화주의 관점. 권혁주(편). 서울: 박영사, 25-54. | 미소장 |
5 | 김동춘・조효제・이대훈 (2004). 시민단체 활동여건 개선을 위한 비영리민간단체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발전방안 연구. 행정자치부 정부용역보고서. | 미소장 |
6 | 김두래 (2017). 한국행정관료의 정치적 독립성-가능한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책&지식포럼 873회(2017년 5월 2일). | 미소장 |
7 | 産業化의 脈絡에서 본 韓國政府 官僚制의 行房 ![]() |
미소장 |
8 | 김영평・최병선(편) (1993).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점진적 개혁의 지혜. 서울: 나남. | 미소장 |
9 | 김정신・정용덕 (2006). 한국 의회의 제도화, 1948-2006: 행정부와 대비한 위상변화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4(4): 92-129. | 미소장 |
10 | 내무부 (1973). 새마을 운동: 시작에서 오늘까지. 내무부. | 미소장 |
11 | 류석진 (2014). 노무현 정부의 출범 및 정부 소개. 행정연구원편, 대한민국 역대 정부 주요 정책과 조직 개편-노무현 정부. 서울: 대영문화사: 26-33. | 미소장 |
12 | repetitive pattern and reality of government reorganization | 소장 |
13 | Comparative Study on Decision-making Proces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Large-scale and Small-scale Reorganization | 소장 |
14 | Three Traditions of the State Bureaucracy in South Korea | 소장 |
15 | 민주화 및 신자유주의-신공공관리 이후 한국의 국가 관료제 : 변화와 지속 | 소장 |
16 | The State Bureaucracy's Policy Implementation and Bureaucratic Governance : Focusing on the consolidation case of Cheong-ju and Cheong-won | 소장 |
17 | Executive-Legislative Relations in Korea ![]() |
미소장 |
18 | A Critical Review of Government Reorganizations in Korea | 소장 |
19 |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의미와 인식 | 소장 |
20 |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 정부관료제의 책임과 통제 확보를 통한 조화의 모색 | 소장 |
21 | 배병인 (2018). 국정시스템 진단과 평가-정당.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책&지식포럼 913회 (2018년 4월23일). | 미소장 |
22 | 선명수 (2010). 공무원 ‘정치적 중립성’, 어떻게 봐야 하나 - 수면 위로 떠오른 공무원의 ‘정치적 기본권’. 프레시안. 인터넷자료. (2월 25일). http://www. pressian.com/news/article.html?no=2503. | 미소장 |
23 | "자유주의 정권" 10년의 정치(2): 권력 분립과 정당정치를 중심으로 | 소장 |
24 | 안병영 (2017). 교육정책 결정과정에서 정치와 행정의 역할과 조화. 인터넷자료. (12월 4일). http://hyungang. tistory.com/456?category=147797. | 미소장 |
25 | 이른바 '帝王的 大統領' 論議에 관한 小考 | 소장 |
26 | The Limitations and New Agendas for the New Managerial Reform Initiatives in Korean Local Governments | 소장 |
27 | Presidentialism , dual democratic legitimacy , and the control by the executive branch over the legislature in Korea : Implications for the Korean Administrative State | 소장 |
28 | 정권교체와 관료제의 정치적 통제에 관한 연구: 국민의 정부를 중심으로 | 소장 |
29 | Developmentalism after Development: The Growth, Crisis, and Future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 소장 |
30 | 오원철 (2010).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서울: 동서문화사. | 미소장 |
31 | 한국행정학의 영역 찾기 ![]() |
미소장 |
32 | The Origins of Korean Administrative Culture: Jari Culture | 소장 |
33 | The Difficulty of Decision-Making and the Dilemma of Public Officials | 소장 |
34 | The State Bureaucracy's Policy Implementation during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 The Enlightenment Administration | 소장 |
35 | A Study on the Identity of the Civil Service in South Korea: Narrative Analysis of the Perceived “Lack of Soul” of Civil Servants | 소장 |
36 | 윤견수・박규성 (2018). 한국관료제 권위주의에 대한 성찰: 개발연대 브리핑행정을 중심으로. 성공하는 정부를 위한 국정운영: 민주적 공화주의 관점. 권혁주(편). 서울: 박영사, 115-143. | 미소장 |
37 | Policy Implementation in Times of State Development : With a Focus on Bureaucratic Governance | 소장 |
38 | 정치적 중립의 경험적 범주에 대한 연구 : 지방자치단체 중하위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 소장 |
39 | Research Trends on Administrative Ethics in Korea, 1967-2011 | 소장 |
40 | 제왕적 대통령의 기원 | 소장 |
41 | 이문영 (1991). 자전적 행정학. 서울: 실천문학사. | 미소장 |
42 | 이문영 (1996). 논어맹자와 행정학. 서울: 나남. | 미소장 |
43 | 이문영 (2011). 3・1 운동에서 본 행정학.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44 | 이종범 (1986). 국민과 정부관료제.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45 | A Study on the Context of Politics-administration Relations in Korean Political System | 소장 |
46 | 이창길 (2018). 성공정부를 위한 정부조직 개편: 원칙과 방향. 성공하는 정부를 위한 국정운영: 민주적 공화주의 관점. 권혁주(편). 서울: 박영사, 171-200. | 미소장 |
47 | Bureaucracy, Democracy and Market | 소장 |
48 | 임도빈 (2016). 권력론적 시각에서 본 한국 중앙행정조직: 문제점과 처방. 한국조직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미소장 |
49 | 임성호 (2018). 국정시스템 진단과 평가-국회.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책&지식포럼 907회 (2018년 3월26일). | 미소장 |
50 | From Submissiveness to Public Service : Administrative Values for the 21st Century in Korea | 소장 |
51 | 정성호 (2009). 공무원과 정치: 정치적 중립과 정치 참여. 이민호・윤수재・채종헌 (편). 한국의 행정이념과실용행정. 파주: 법문사. 669-696. | 미소장 |
52 | Eine Uberlegung uber die Geschichte und Bedeutung der Unterscheidung von offentlichem Recht und Privatrecht ![]() |
미소장 |
53 | 국가법인설의 기원과 전개 과정 : 독일에서의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 소장 |
54 | 조석준・임도빈 (2010). 한국행정조직론. 파주: 법문사. | 미소장 |
55 | 최성욱 (2017). 정부조직개편의 논리와 수사: 능률신화를 넘어서. 정부학연구, 18(3): 125-152. | 미소장 |
56 | 국가의 이념과 국가행정의 변천 | 소장 |
57 | 관료제와 행정민주주의 : 한국적 맥락에서의 공공가치의 실현을 위한 제도적 설계 | 소장 |
58 | 한승연 (2008). 협력적 행정과 행정지도. 춘계한국행정학회발표논문집. | 미소장 |
59 | 행정개혁에 대한 공무원의 정서적 대응 : Q방법론의 적용 | 소장 |
60 | 한승주 (2018). 정권교체와 관료제의 정치적 중립. 성공하는 정부를 위한 국정운영: 민주적 공화주의 관점. 권혁주(편). 서울: 박영사, 55-86. | 미소장 |
61 | A Study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enior Civil Service in USA and UK | 소장 |
62 | Professional Work: The Emergence of Collaborative Community ![]() |
미소장 |
63 | Boje. David M (2001). Narrative Methods for Organizational and Communication Research. CA: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64 | Charmaz, Kathy (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CA: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65 | Czarniawska, Barbara (1998). A Narrative Approach to Organization Studies. CA: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66 | Etzioni-Halevy, Eva (1983). Bureaucracy and Democracy: A Political Dilemma. NY: Routledge. | 미소장 |
67 | Bureaucracy and Growth: A Cross-Nation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Weberian" State Structures on Economic Growth ![]() |
미소장 |
68 | Goodsell, Charles T (2004). The Case for Bureaucracy: A Public Administration Polemic. Washington D.C.: CQ Press. | 미소장 |
69 | Haggard, Stephan (1990). Pathways from the Periphery: The Politics of Growth in th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NY: Cornell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70 | Johnson, Chalmers A (1982). MITI and the Japanese Miracle.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71 | Lindblom, Charles (1977). Politics and Markets: The World’s Political Economic. Basic Books. | 미소장 |
72 | Marx, Fritz Morstein 저 (1961). The Administrative State: An Introduction to Bureaucracy, Chicago, Illionoi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73 | 안해균역. (1995). 행정국가와 관료제.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74 | Osborne, David and Peter Plastirik (1997). Banishing Bureaucracy: the five strategies for reinventing governmen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 미소장 |
75 |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Organizational Control Mechanisms ![]() |
미소장 |
76 | Markets, Bureaucracies, and Clans ![]() |
미소장 |
77 | Powell, Walter W (1990). Neither Market nor Hierarchy: Network Forms of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2: 295-336. | 미소장 |
78 | Redford, Emmette S (1969). Democracy in the Administrative State. NY: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79 | Riessman, Catherine K (1993). Narrative Analysis. CA: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80 | Rourke, Francis E (1965). Bureaucratic Power in National Politics.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 미소장 |
81 | What is wrong with the new public management? ![]() |
미소장 |
82 | Strauss, Anselm and Juliet Corbin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2nd ed.) CA: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83 | Wilson, Woodrow (1987). The Study of Administration. Political Science Quarterly, 2(2): 197-22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