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년층과 노년층을 대상으로 ERP 실험을 진행하여 동음이의어 처리 시 맥락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청년층 22명과 노년층 20명을 대상으로 문장판단과제를 실시하여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동시에 뇌전도를 녹화하였다. 동음이의어 전후에 관형어 및 동사구 맥락이 포함된 문장을 사용하였으며, 각 맥락유형은 의미 편향성에 따라 ‘주요의미 맥락’과 ‘부가의미 맥락’으로 나누었다. 결과: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에서 청년층에 비해 노년층의 정반응률이 더 낮고, 반응시간도 더 느렸다. ERP 데이터 분석 결과, 300-500 ms 구간에서 노년층의 경우,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진폭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경우 주요의미 관형어 맥락유형에서 동사구 맥락유형이 이와 일치하지 않을 때 N400과 P600 성분이 관찰되었으며, 부가의미 관형어 맥락유형에서 동사구 맥락유형이 이와 일치하지 않을 때는 N400과 지속된 부적 성분(sustained negativity)이 관찰되었다. 반면, 노년층의 경우 관형어 맥락유형과 상관없이 500-800 ms 구간에서 지연된 부적 성분이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청년층에서 주요의미 관형어 맥락유형에서 관찰된 N400과 P600은 각각 선행 맥락에 의해 활성화된 동음이의어의 의미가 전체 문장의 의미에 부합하지 않은 경우 발생하는 어휘적 예측의 실패와 이후 의미 통합의 실패로 인한 재분석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부가의미 관형어 맥락에서 관찰된 N400이 어휘적 예측의 실패를 반영하는 점은 동일하나 이후 관찰된 지속된 부적 성분은 선행 맥락에 관계없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음이의어의 주요의미를 억제하는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노년층에서 관찰된 지연된 부적 성분은 노화에 따라 동음이의어 처리에 대해 약화와 처리속도 저하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ge-related differences in Event-Related Potentials (ERP) components associated with processing of homonyms according to the context type of adnominal and verb phrases. Methods: A total of 42 participants (young 22, elderly 20)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imuli were Korean sentences containing homonyms. Each sentence had adnominal and verb phrase context, and each context was biased toward dominant meaning or subdominant meaning. The target sentenc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onditions depending on these contexts. Results: The elderl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and slower reaction time than the younger group. ERP results revealed that the N400 and P600 components emerged in the dominant meaning of the adnominal phrase context for the younger group, whereas the sustained negativity component emerged in the subdominant meaning of the adnominal phrase context. In contrast, the elderly group demonstrated delayed negativity in both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meanings of the adnominal phrase context. Conclusion: N400 and P600 components in the younger group reflect difficulties in integrating lexical expectancy and monitoring process which trigger reanalysis when integration fails. Sustained negativity in the subdominant meaning of the adnominal phrase context from the young group seems to be associated with additional processing costs of inhibiting the dominant meaning of homonyms, which is more frequently activated than the subdominant meaning. The delayed negativity in the elderly group can likely be attributed to slowed cognitive-linguistic processing in interpreting the homonym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야기 유도 과제에 따른 학령기 일반아동의 이야기 대형구조 특성 = Narrative Macrostructure of School-Aged Children under Different Picture Tasks 김정미, 황성은, 김효선 p.255-269

후기 아동기에서 청소년기까지의 대화발달 = Development of Conversational Skills from Late Children to Adolescent 양예원, 이윤경, 최지은, 윤지혜 p.270-278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과 언어장애 동반 말소리장애 아동의 시각 및 청각 지속주의 특성 = Visual and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and without Comorbid Language Disorders 주미진, 하지완 p.279-287
초등학교 3-4학년 읽기이해부진아동의 합성어 의미 처리 특성 = Comprehension of Compound Words in 3-4 Grade School-Aged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심지, 이은주 p.288-297
시청각 담화과제(KOPLAC)를 통한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화용언어 특성 =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Audio-Visual Discourse Tasks (KOPLAC) 김현희, 김영태, 김정아, 송승하 p.298-312

초등 저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철자쓰기 특성 = Spelling Characteristics of Early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한송이, 정경희 p.313-326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Socioeconomic Background with Vocabulary Development = 아동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어휘발달의 관계 탐색 : 한국아동 3세, 7세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Children at 3 and 7 Years of Age Jeesun Kim, Soo-Jin Kim, Nam Hee Do p.327-336
의미역 유형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동사 및 의미역 처리 능력과 중증도 간의 관계 = Verbs and Their Thematic Role Processing Abilities for People with Aphasia 정귀현, 성지은 p.337-346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과 읽기유창성, 철자쓰기 간의 상관관계 = Correlation among Morphological Awareness, Reading Fluency and Spelling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in Third to Fourth Grades 한효정, 김미배 p.347-359
관형어 및 동사구 맥락유형에 따라 동음이의어 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청년층 및 노년층 간 ERP 성분 비교 = Age-Related Differences in ERP Components Associated with Processing Homonyms Depending on the Context Type of Adnominal and Verb Phrases 조은하, 성지은 p.360-377

한국 언어재활사들의 음성문제와 음성건강을 위한 자가관리현황 = Voice Problems and Self-Care Practice for Vocal Health : Current Status of Korea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김지성, 최성희 p.414-424
장노년층에서 난청과 인지기능 간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 =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Impairment and Cognitive Fun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A Meta-Analysis 이수정 p.378-391
작업기억과 노출횟수가 AAC 그림상징을 이용한 문장구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Working Memory and Exposure to the Symbols on Sentence Construction using AAC Graphic Symbols 신상은, 박희영 p.392-403
구개열 아동의 초기 표현언어지연 동반 여부에 따른 음운 및 언어 발달 = Early and Later Phonological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피민경, 하승희 p.404-413
청각적, 시각적 자극제시 및 반응방법과 음절 위치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인식 능력 = Phonological Awareness in Terms of Stimulus Presentation and Syllable Posi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최유미, 하승희 p.425-435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School-Ag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박희영, 박혜연, 원동란, 김혜원, 송승하, 심현섭 p.436-450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비언어 정보 처리용량, 처리속도 그리고 어휘능력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Nonlinguistic Visual Processing Capacity, Speed, and Vocabulary Ability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임동선, 양윤희 p.451-461
증강현실 기반 언어치료를 위한 플랫폼의 개발 = Development of a Platform for Augmented Reality-Based Speech Language Therapy 배인호, 이주아, 박희준, 권순복 p.462-476

언어적 지식과 한국어 음소배열확률이 비단어 따라말하기 및 빠른의미연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inguistic Knowledge and Korean Phonotactic Probability on Nonword Repetition and Fast Mapping Ability 배경란, 임동선 p.477-495
증강현실 기반 언어중재가 표현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동사 표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Language Interven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Verbal Expression in Children with Expressive Language Delay 이명진, 황보명 p.496-505

전국 언어재활사 구직 및 구인 현황 = Job Searching and Postings for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in Korea 장선아, 김효정, 김향희, 최성희, 황보명, 박희준, 박현린, 김재옥 p.506-518
초등 1-4학년 아동의 읽기이해능력에서 어휘지식의 양과 깊이의 역할 = The Role of Vocabulary Breadth and Depth on Reading Comprehension in Grade 1–4 윤효진, 배소영, 정부자 p.519-527
인공와우이식 선천성 농 성인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in Prelingually Deafened Adults with Cochlear Implant 이슬기, 정상임, 탁평곤, 이수복, 이영미 p.528-538
한국판 표준화를 위한 'CSBS DP 행동샘플평가'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A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SBS DP Behavior Sample in Korean Toddlers 이윤경, 이효주, 최지은 p.539-548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rouwer, H., Fitz, H., & Hoeks, J. (2012). Getting real about semantic illusions: rethinking the functional role of the P600 in language comprehension. Brain Research, 1446, 127-143. 미소장
2 Lexical ambiguity and fixation times in reading 네이버 미소장
3 Dunn, B. R., Dunn, D. A., Languis, M., & Andrews, D. (1998). The relation of ERP components to complex memory processing. Brain and Cognition, 36, 355-376. 미소장
4 Eum, T. W., & Kim, E. S. (2004). EEG-based brain computer interface technology.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22, 5-19. 미소장
5 Aging in context: Age‐related changes in context use during language comprehension 네이버 미소장
6 Terminating and exhaustive search in lexical access. 네이버 미소장
7 Distinct Neurophysiological Patterns Reflecting Aspects of Syntactic Complexity and Syntactic Repair 네이버 미소장
8 Context can constrain lexical access: Implications for models of language comprehension. 네이버 미소장
9 The ten-twenty electrod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네이버 미소장
10 The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polysemy aNd homoNym NouNs iN KoreaN seNteNce compreheNsioN: aN ERP study 네이버 미소장
11 The P600 as an index of syntactic integration difficulty 네이버 미소장
12 Kang, B. M. (2005). Aspects of the use of homonyms. Language Research, 41, 1-29. 미소장
13 Kang, Y. (2006). A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5, 1-12. 미소장
14 Kang, Y., & Na, D. L. (2003).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eoul: Human Brain Research & Consulting Co. 미소장
15 Kim, B. W. (2009). Improvement of teaching lexical meaning on the Korean education. The International Academic For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27-44. 미소장
16 Klepousniotou, E., Pike, G. B., Steinhauer, K., & Gracco, V. (2012). Not all ambiguous words are created equal: an EEG investigation of homonymy and polysemy. Brain and Language, 123, 11-21. 미소장
17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to grammatical errors and semantic anomalies. 네이버 미소장
18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ERPs) elicited by novel stimuli during sentence processing. 네이버 미소장
19 The Event-related Potential Evidence of Phonological Activation in Hangul Homophone Reading 소장
20 Ambiguity's aftermath: How age differences in resolving lexical ambiguity affect subsequent comprehension 네이버 미소장
21 Memory and aging: four hypotheses in search of data. 네이버 미소장
22 Frequency Effects on the Processing of Ambiguous Words in Sentence Contexts 네이버 미소장
23 Luck, S. J. (2014). An introduction to the event-related potential technique. Cambridge, MA: MIT Press. 미소장
24 Na, Y. H. (2014). Behavioral and ERP correlates of Korean homographs in visual word recognitio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미소장
25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00). The 21st Sejong Project: modern Korean balanced corpus. Seoul: Author. 미소장
26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05). Frequent use in modern Korean research. Seoul: Author. 미소장
27 Patients with MCI and N400 or P600 abnormalities are at very high risk for conversion to dementia. 네이버 미소장
28 Accessing lexical ambiguities during sentence comprehension: Effects of frequency of meaning and contextual bias 네이버 미소장
29 Exceptions and anomalies: An ERP study on context sensitivity in autism 네이버 미소장
30 The origin, structure,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botulinum toxin. 네이버 미소장
31 Neurophysiological Manifestations of Recollective Experience during Recognition Memory Judgments. 네이버 미소장
32 Understanding words in sentence contexts: The time course of ambiguity resolution 네이버 미소장
33 Lexical access during sentence comprehension: (Re)consideration of context effects 네이버 미소장
34 Comprehension of lexical ambiguity in healthy ag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Alzheimer's disease 네이버 미소장
35 Yoon, M. R. (2015). Age-related differences in ERP components associated with Korean passive sentence processing between young and elderly group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