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상황에 따른 자기인식 흐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Govern과 Marsch(2001)가 개발한 Situational Self-Awareness Scale을 한국판 척도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SAS 원 문항에 대한 번역․역번역 과정을 거쳐 한국판 상황적 자기인식척도(K-SSAS)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고, 대학생 265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 실시 결과, 원척도와 동일하게 3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양호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나타내었다. 각 하위요인은 원척도와 동일하게 사적 자기인식, 공적 자기인식, 환경적 자기인식으로 명명하였다. 새로운 표본인 대학생 31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정 수준의 적합도를 보여 K-SSAS의 3요인 모형이 지지되었다. 또한, K-SSAS가 상황적 자기인식의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는지 확인하고자 척도개발 당시 Govern과 Marsch(2001)가 실시했던 실험과 유사하게 두 차례의 준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SSAS가 실험조건에 따라 상황적 자기인식의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된 K-SSAS가 상담 및 교육현장에서의 전문적 개입을 통해 일어나는 참여자들의 자기인식 변화를 측정하고, 나아가 이와 관련된 심리적 기제를 밝히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교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연민과 회복탄력성의 이중 매개효과 =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school counselor 차시연, 김윤희 p.265-286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i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 분노억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남순임 p.221-241

한국판 상황적 자기인식척도(K-SSAS)의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ituational Self-Awareness Scale 박홍석, 이정미 p.177-196

한국판 대학생 진로타협 경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Willingness to Career Compromise Scale for College Students 박기라, 김소은, 양은주 p.155-175

정신건강 2요인 모델에 따른 완전정신건강 선별검사 = Complete Mental Health Screening based on a Dual-Factor Model of Mental Health : Differences among Mental Health Groups and Implications on Intervention : 정신건강 유형 간 차이와 개입 시사점 이승연, 안소현 p.197-219

인문계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 Mediation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김슬기, 이동귀 p.243-264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최인영, 김은하, 신희천 p.133-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