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가정 외 보호유형에 따른 보호제공자와의 유대관계가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aregiver-child relationship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among children of different out-of-home care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장혜진 ; 최은희 ; 윤혜미 1

[요약]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4

1. 가정 외 보호(out-of-home care) 4

2. 가정 외 보호아동의 자아존중감, 우울 및 공격성 7

3. 보호제공자와의 유대관계, 자존감, 우울 및 공격성의 관계 9

III. 조사 방법 10

1. 조사대상자 10

2. 측정도구 11

3. 자료분석 11

IV. 연구결과 및 분석 12

1.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12

2. 변수들의 집단 간 평균비교 13

3.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14

4. 보호제공자와의 유대관계와 우울 및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14

V. 논의 및 결론 18

참고문헌 22

Abstract 2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모의 학대와 자녀의 공격성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 between child abuse and aggression : using ful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by poverty status : 빈곤 및 비빈곤 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박현선, 박지명, 김정은 p.1-24

보기
가정 외 보호유형에 따른 보호제공자와의 유대관계가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aregiver-child relationship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among children of different out-of-home care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장혜진, 최은희, 윤혜미 p.25-50

보기
초등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생 핵심역량 관계에서 학교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A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student key competencies in elementary school 김규태, 최경민 p.51-72

보기
청소년기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llied experience in adolescents and social anxiety 정문경 p.73-93

보기
중학생이 지각한 아동학대의 경험 수준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child abuse on mobile phone addiction : testing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김경호 p.95-121

보기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과정의 단계별 특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 stud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ocial work program design and practice phases 임경선, 권세원, 전민경 p.123-151

보기
빈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 궤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trajectories of school adaptation among adolescents in poverty 김수린, 유조안 p.153-175

보기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주관적 인식 유형 =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on volunteer activities 신근화, 옥수선 p.177-203

보기
기숙사 거주 여대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경험 = The college life adaptation experience of female freshmen in dormitory : focused on the daily emotions : 일상감정을 중심으로 정수진 p.205-236

보기
학업 스트레스가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children's depress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미숙, 심우찬 p.237-261

보기
중도입국 아동·청소년의 차별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 =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children and youth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teachers : 교사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유신, 김한성 p.263-282

보기
학교사회복지 실습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A sstudy[i.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social work field practicum program : 서울학교사회복지사협회의 공동실습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임, 이종익 p.283-308

보기
초등학교 학교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실천경험 = Elementary school social workers' practice experiences of case management in Gyeonggi Province :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이희연 p.309-341

보기
학교 현장 사회복지 슈퍼바이저 양성 교육과정 개발 및 효과분석 = A study on the school field social work supervisor training curriculum development 안정선, 엄경남, 방진희, 홍순혜, 조성심 p.343-374

보기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진로선택몰입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in the relationship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김형수, 방희명 p.375-397

보기
아동성폭력 피해자 가족치료 개입경험 분석 =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of family therapy for sexually abused children : 어려움과 긍정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인영, 구혜완, 문현주 p.399-431

보기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적 관여가 자녀의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Mother's educational involvement impact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bonding : 부모자녀 유대감의 매개효과 이엄지, 이채원 p.433-455

보기
고등학생의 농촌성과 정주 의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cognition of rurality and settlement consciousness in secondary students 진혜경 p.457-482

보기
초등학생의 사이버언어폭력에 대한 혼합연구 = The mixed methods research on cyber verbal bullying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신민정, 강명주, 정익중 p.483-510

보기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 공격성, 유해매체몰입의 관계 =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child abuse and aggression on harmful media overuse : mediating effect of aggresssion :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좌현숙 p.511-533

보기
여학생의 이성교제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A grounded theory analysis on the female students' experience of a romantic relationship with a boyfriend : focusing on mother's attitudes : 어머니의 태도를 중심으로 이은주 p.535-559

보기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학생이 인식한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petence for social work professional practice among social work interns 도향선, 조인주 p.561-583

보기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children's ego-resili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 focused on 4th,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초등학교 4,5,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기민희, 김미숙 p.585-612

보기
대안교육 종사자들이 인식한 공교육 학업중단청소년의 대안교육 모색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loring alternative educational experience of public school dropouts recognized by alternative educators : stars breaking away from the orbit, seeking a rudder toward happiness : 궤도를 이탈한 별들, 행복을 향한 방향키 찾기 이선희 p.613-638

보기
청소년의 학교폭력 극복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vercoming experience of the school violence among adolescents 고경은 p.639-669

보기
원예·숲 통합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저소득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ombined program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forest therapy on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and life respect of low-income family children at community children's center 최수정, 고윤순 p.671-698

보기
스마트 시대의 청소년 시민역량 함양 프로그램개발 =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for youth' civic capability cultivation in smart era 김세광 p.699-717

보기

참고문헌 (6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relation between traumatic life events and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in out-of home care: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소장
2 The Influence of Attachment, 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n Adolescent Depressions 소장
3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우울간 경로분석 소장
4 Longitudinal efects of scial spport, rsilience and psycho-social adaptation of group home children 소장
5 Factors relating group home family affecting psycho-social adaptation of group home children 소장
6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aptation by Developmental Stages and Types of Foster Care among Foster Care Children: Focusing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소장
7 육아시설 아동의 생활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소장
8 A Structural Analysis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Influencing Middle School Students' Levels of Depression 소장
9 Relationship of Stability and Level of Self-Esteem with Aggression among Korean Adolescents 소장
10 보건복지부. 2013.『2013 보건복지통계연보』 미소장
11 보건복지부. 2012.『2012 보건복지통계연보』 미소장
12 보건복지부. 2011.『2011 보건복지통계연보』 미소장
13 보건복지부. 2010.『2010 보건복지통계연보』 미소장
14 보건복지부. 2009.『2009 보건복지통계연보』 미소장
15 보건복지부. 2008.『2008 보건복지통계연보』 미소장
16 보건복지부․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2012.『2011 가정위탁보호 현황보고서』 미소장
17 보건복지부․충북대학교산학협력단. 2013.『가정위탁아동 가정보호실태조사』 미소장
18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소장
19 목재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위축과 우울/불안에 미치는 효과 소장
20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Parental Bonding Instrument);신뢰도 및 타당도검증 소장
21 Characteristics of Family Foster Care Types and Factors of the Adjustability for the Foster Children 소장
22 유재현․최종훈. 2011. “시설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신건강 수준에 관한 비교연구.”『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제36회 보건학종합학술대회: 33-34. 미소장
23 윤혜신. 2008. “시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4 A Systematic Review of Children's and Juveniles' Self-Esteem 소장
25 이현숙. 2005. “위탁가정의 가족기능이 아동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6 이혜연․박영균․유성렬․정선욱․고정원. 2012. “취약계층 아동․청소년 종단조사Ⅲ.”『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12. 미소장
27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 style of children in institusional care and psychosocial adaptation 소장
28 A Study on attachment style and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in out - of - home care VS adolescents in their home 소장
29 정선욱. 2002b. “시설보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정익중․김경민. 2011. “2011 가정위탁아동 패널연구-위탁아동의 발달유형과 예측요인.” 보건복지부 &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미소장
31 The Factors Influencing Service Outcomes of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Centers:Focusing on Blinder-Oaxaca Decomposition 소장
32 Social support recognized by foster care children and psychosocial adjustment 소장
33 The Effect of Child Abuse and Parent-child Bonding on Foster Children’s Depression and Aggression with a Focus on the Types of Foster Home 소장
34 충청북도. 2013.『2013 충청북도 아동복지시설 인권실태 조사』. 미소장
3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미소장
36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in Childhood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Adult Attachment 소장
37 Kinship care and foster family homes and their service desire: A comparison of care giver characteristics and children's psycho-social behavior 소장
38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s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Behavior problems 소장
39 The influence of foster parent investment on children's representations of self and attachment figures 네이버 미소장
40 Ainsworth, M. D. S., Blehar, M. C., Waters, E., & Wall,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Hillsdale, NJ: Erlbaum. 미소장
41 Behavioural and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by type of out-of-home care in Croatia 네이버 미소장
42 Assessing Child Well-Being in Non-Relative Foster Care with a New Outcome Measurement Tool 네이버 미소장
43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and Adolescent Psychological Functioning among African-American Female Adolescents: Self-Esteem as a Mediator 네이버 미소장
44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네이버 미소장
45 Evidence-based practice for youth in supervised out-of-home care: a framework for development, definition, and evaluation. 네이버 미소장
46 Forming Partnerships: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in Need of Care and Protection 네이버 미소장
47 A longitudinal study of depressiveness in children in public care 네이버 미소장
48 Kinship family foster care: a methodological and substantive synthesis of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49 Children with incarcerated mothers: Developmental outcomes, special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네이버 미소장
50 Parental incarceration and kinship care: caregiver experiences, child well-being, and permanency intentions. 네이버 미소장
51 Kin and non-kin foster care-findings from a National Survey 네이버 미소장
52 You matter to me: important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in foster care 네이버 미소장
53 Paternal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nd Its Effects on Children's Self-Esteem and Attitudes Toward Gendered Roles 네이버 미소장
54 Kinship care and sibling placement: Child behavior, family relationships, and school outcomes 네이버 미소장
55 The outcomes of foster care in South Korea ten years after its foundation: A comparison with institutional care 네이버 미소장
56 The Role of Parental Influences on Young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57 Fostering self‐esteem: exploring adult recollections on the influence of foster parents 네이버 미소장
58 McCall, R. B., IJzendoorn, M. H., Juffer, F., Groark, C. J., & Groza, V. K.(ed). 2011. Children without Permanent Parents: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Boston, MA: Wiley-Blackwell. 미소장
59 Children of Incarcerated Mothers and Their Caregivers: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Their Relationship 네이버 미소장
60 Junior Life Skills: An Innovation for Latency-Age Children in Out-of-Home Care. 네이버 미소장
61 Providing a secure base: Parenting children in long-term foster family care 네이버 미소장
62 The effect of early institutional rearing on the development of eight year old childre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