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96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형성된 준공업지역 계획 특성 연구 : 서울 뚝도지구를 중심으로 / 최선호 ; 김기호 1

국문요약 1

Abstract 1

1. 서론 2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3

1.3. 선행연구 검토 4

2. 뚝도지구 형성배경 4

2.1. 60년대 초 서울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4개지구 도시계획 4

2.2. 60년대 도시계획 수단의 하나인 토지구획정리사업의 특성 5

2.3. 뚝도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의 경과 6

3. 뚝도지구 계획 내용 및 특성 7

3.1. 역사적 도시조직의 기능을 고려한 변형된 격자형태의 가로망 계획 7

3.2. 미래의 토지이용(준공업지역)을 고려한 가구 및 획지계획 9

3.3. 용도 및 시설 계획을 통한 용도 혼합 추구 10

4. 결론 13

참고문헌 1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어린이·노인 보행자 교통안전을 위한 근린환경요인 이세영, 이제승 p.5-15

보기
커뮤니티 비즈니스형 도시재생공간의 도시설계적 요소 평가 이효정, 김유준, 김종구 p.17-31

보기
도시농업의 이론, 패러다임 및 유형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주형, 장동민 p.33-46

보기
미국, 일본 도시공원의 면적 산정에 대한 비교 연구 김현, 최희선, 박은별 p.47-60

보기
우리나라 도시부 가로 설계의 Link & Place 기법 도입방안 연구 한상진 p.61-74

보기
보행자 중심의 가로환경 조성을 위한 가로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 미국 통합가로 정책 및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이여경, 김지수, 이정형 p.75-91

보기
'화신백화점'의 보존논의와 도시계획적 의미 안정연, 김기호 p.93-110

보기
음식점 변화를 통한 서울 삼청동길의 상업가로 활성화 단계 실증해석 염지혜, 양승우 p.111-122

보기
주거지의 보행친화적 근린환경 요소 특성에 관한 연구 : 「생태교통 수원2013」사업을 중심으로 백수진, 유석연 p.123-139

보기
뉴욕시 상업지역 조닝의 특성과 시사점 김지엽, 커즈 포터, 정희윤 p.141-155

보기
196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형성된 준공업지역 계획 특성 연구 : 서울 뚝도지구를 중심으로 최선호, 김기호 p.157-171

보기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도시농업조례 항목별 중요도와 참여 만족도 및 지속가능성의 관계 분석 : 서울시 도시농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최은영, 정윤남, 김세용 p.173-188

보기
The importance of semi-public space in new urbanism cities Sim, Sung Ae, Kim, Shin Won p.189-207

보기

참고문헌 (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대도시 교외지역의 도시화과정과 유형의 연구-서울 동부를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2 경성부 1928, 경성도시계획조사서 , 영인본(1995), 경인문화사. 서울. 미소장
3 국토개발연구원 1981, 지역지구제 합리화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미소장
4 권영덕⋅고진수⋅박유진 2012, 1960년대 서울시 확장기 도시계획 , 서울연구원. 미소장
5 김기호 1994, “도시계획학과 서울학”( 서울학 연구 서설 ),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pp.199-216. 미소장
6 동대문 밖 돈암지구 주거지의 형성과 변천 소장
7 특집 / 도시개발과 토지구획 정리 : 우리나라 토지구획정리사업의 도입과 전개 네이버 미소장
8 1974년「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의 성격과 도시 계획적 의미 연구 소장
9 김진희 2010, “서울 1960~70년대 도시계획에서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의 의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20세기 초 영등포의 도시 변화 및 위상 소장
11 김하나 2013, “근대 서울 공업지역 영등포의 도시 성격 변화와 공간 구성 특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2 반금환 1974, “용도지역별지구제의 적극적 활용방안”, 경영경제논총 , 1권, pp.134-145. 미소장
13 특집 / 한국도시계획의 중간결산 : 해방후 도시계획의 회고 네이버 미소장
14 박병주 1987, “주거지의 획지 및 가구의 적정규모⋅형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 22권, 2호, pp.21-36. 미소장
15 서울역사박물관 유물관리과 2006, 서울지도 , 예맥출판사, 서울. 미소장
16 서울특별시 1977, 서울도시계획연혁: 관계도집 . 미소장
17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과 1962, 도시계획백서 . 미소장
18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과 1965, 서울도시계획 . 미소장
19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과 1966, 서울도시기본계획 . 미소장
20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과 1977, 서울도시계획연혁 . 미소장
21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1990, 서울토지구획정리백서 . 미소장
22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 1962, 도시계획기본자료조사서 . 미소장
23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6, 서울육백년사 제6권 . 미소장
24 서울학연구소⋅서울역사박물관 2014, 도시서울의 성장 및 공간변천사 기록용역 2:뚝섬 . 미소장
25 손정목 2003,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서울 격동의 50년과 나의 증언, 1권 , 도서출판 한울, 서울. 미소장
26 심경미 2010, “20세기 종로의 도시계획과 도시조직 변화”,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양상욱 1996, “서울구획정리사업지구의 공간형성에 관한 연구(Ⅰ)”, 호남대학교 학술논집 , 17권, 2호, pp.555-567. 미소장
28 Study on the Formation of Urban Space in Gangnam Area and the Urban Discourse in the 1960s 소장
29 특집 ( 1 ) / 도시계획과 지역지구제 : 지역지구제의 법적 제도적 개선방안 네이버 미소장
30 이현군 2008, “섬이 아닌 섬 뚝섬, 한양의 동쪽 교외”, 2008 서울학 모노그래피 심포지엄: 한강의 섬, 서울학연구소, pp.127-143. 미소장
31 임희지 외 4인 2006, 서울시 일반주택지내 과다열가구 밀집지역의 가구단위 정비모델 개발 연구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미소장
32 장혜영 2004, “필지형상 및 접근성에 의한 도시공업지역 토지이용변화 연구: 성수동2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3 준공업지역에서의 토지이용전환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성수동 준공업지역을 중심으로 소장
34 여의도 도시계획에 관한 연구;김수근의 1969년 계획안을 중심으로 소장
35 Study on 'Land Division Standard Drawing' in the Decision Reason Statements for Town Planning 소장
36 조선총독부 1930, 경성도시계획서 . 미소장
37 특집 / 한국도시계획 반세기 : 한국 도시계획의 반세기 - 조선 시가지계획령 이후 - 네이버 미소장
38 최상철 2001, “현대 서울도시계획의 변화 : 1950-2000”( 서울20세기 공간변천사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507-558. 미소장
39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014. 08. 29). 미소장
40 대한민국 전자관보 http://gwanbo.korea.go.kr (2014. 08. 29). 미소장
41 김동권 1983, “변모하는 도심공업지대-서울비대화에 밀리는 현장점검 <1> 성수동지역”, 매일경제 1983. 12. 6, 8면,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2014. 08. 2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