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平安時代의 한문훈독에 있어서 동사나 형용사 등의 활용어의 표기훈은 語尾訓과 全訓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특정의 한자에 있어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어휘수는 전훈보다 어미훈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나며, 이러한 어미훈은 현대 일본어의 상용한자표의 표기훈과 일치한다. 이것은 한문훈독에 있어서 특정의 한자의 어미훈은 일반적인 표기법이었으며, 전훈으로 표기된 한자는 표기훈으로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문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전훈을 표기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어미훈은 오랜 세월 동안 사용되어 현대에 전해졌으며, 현대 일본어에서 한자의 활용어에 「送り仮名」를 사용하여 문법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것도 한문훈독의 어미훈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平安時代の漢文訓讀において動詞や形容詞等の活用語彙の表記訓は語尾訓と全訓を中心として現れる。特定の漢字において繰り返して使用された語彙數は全訓より語尾訓が圧倒的に多く現れており、このような語尾訓は現代日本語の常用漢字表の表記訓と一致する。これは漢文訓讀の特定した漢字において語尾訓が定着した一般的な表記法であり、全訓に表記された漢字は表記訓が定着していなかったので、漢文の理解のために全訓を加点したものと考えられる。このような語尾訓は長い歳月に亙って用いられ、現代まで伝えられたものであり、現代日本語において漢字の活用語に送り仮名を用いて文法要素を表しているのも漢文訓讀の語尾訓の影響と言える。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能因と公任の相互認識 = 노인과 킨토의 상호인식 : 관련설화와 『겐겐슈』의 킨토영을 중심으로 : 関連説話と『玄々集』の公任詠を中心に 厳教欽 p.123-142

일본의 시계기술유입과 와도케이 등장의 의미 = 日本の時計技術の輸入と和時計誕生の意味 최유경 p.47-69

제국일본의 초등교육용 교과서에 수록된 신화 교재의 연구 = 帝国日本の初等教育用教科書に収録された神話教材の研究 김광식 p.71-93

『본조둔사(本朝遯史)』에 나타난 지식인 하야시 돗코사이(林読耕斎)의 은일관(隱逸觀) = 『本朝遯史』 林読耕斎の隱逸観について 최승은 p.143-160

実現の助動詞「ぬ」と「つ」に関する一考察 = 실현의 조동사 'Nu'와 'Tsu'에 관한 일고찰 : '삼대집'의 부정표현을 중심으로 : 『三代集』の否定表現を中心として 金平江 p.289-312

일본의 한문훈독에 나타나는 어휘의 기입형태에 대해서 = 日本の漢文訓讀における語彙の記入形態について 尹幸舜 p.407-428

17세기 동아시아 연애소설 『호색일대남』에 나타난 불교사상 고찰 = 17世紀 東アジア 恋愛小説『好色一代男』にみる仏教思想 : 『九雲夢』との比較の視点を中心に : 『구운몽』과의 비교의 시점을 중심으로 정형 p.161-185

語構成要素로서 1字漢語 「気(キ·ケ)」의 變遷 = 語構成要素として1字漢語「気(キ·ケ)」の變遷 : 大蔵流狂言3種の名詞用例を中心として : 大蔵流狂言 3種의 名詞用例를 中心으로 劉相溶 p.385-405

류큐(琉球) 왕부 오고에(御後繪)의 왕권적 성격 = 王權としての御後繪 김용의 p.7-22

일본 미디어믹스와 아니메 속 너구리 표상 = 日本メディア·ミックスとアニメにおける狸の表象 : <平成狸合戦ぽんぽこ>(1994)と<有頂天家族>(2013)を中心に : <폼포코 너구리 대작전(平成狸合戦ぽんぽこ)>(1994)과 <유정천가족(有頂天家族)>(2013)을 중심으로 손정아 p.23-46

근대 초기 이중언어(二重言語) 표기와 일선어 저술 = 近代初期二重言語表記日鮮語著述 : 玄公廉の著作物を中心に : 현공렴의 저작물을 중심으로 노혜경 p.187-220

한반도에서 간행된 일본어신문 『경성신보(京城新報)』 문예물 연구 = 発行された日本語新聞『京城新報』の文芸物研究 : 「探偵實話 奇緣」を中心に : 「탐정실화 기이한 인연(探偵實話 奇緣)」을 중심으로 이현희 p.221-242

1920년대 도손 문학 속에 나타난 아버지의 위상 = 1920年代の藤村文学における父としての位相 : 『嵐』の短篇小說を中心に : 『폭풍우(嵐)』의 단편 소설들을 중심으로 천선미 p.243-259

근대 한·일 자국문학사와 한문학 인식 = 近代における韓·日の自国文学史と漢文学の認識 : 芳賀矢一と金台俊を中心に : 하가 야이치와 김태준을 중심으로 류정선 p.261-286

한일대역자료에 나오는 デゴザル에 대하여 = 韓日對譯資料に表われる「デゴザル」について 최창완 p.333-351

中古音 多音字의 互用에 관한 고찰 = 中古音多音字の互用に関する考察 : 1·2等韻を中心に : 1·2等韻을 중심으로 이경철 p.353-384

한·중·일 공동연구에의 제안 = 日·中·韓共同研究への提案 : 言語と文化 : 언어와 문화 이준서 p.429-444

1980년대 초기 한·일 헤비메탈음악의 발전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한 고찰 = 1980年代, 韓国と日本において'heavy-metal'音楽の発展様相とその意味に関する考察 : 代表的なバンドの活躍を中心として : 대표적인 밴드들의 작품 활동을 중심으로 홍성규, 이주원, 서재혁 p.95-120

応答表現「はい、そうです」をめぐって = 응답표현 'はい、そうです'에 대하여 : 긍정의 응답 'はい'와의 비교를 통해 : 肯定の応答「はい」との比較から 張希朱 p.313-332

참고문헌 (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韓日의 漢文釋讀資料에 사용된 文字의 性格에 대한 연구 소장
2 大坪倂治 「龍光院藏 妙法蓮花經卷第二」, 『訓點資料の硏究』, 風間書房, 1978, pp.38-79 미소장
3 中田祝夫 「大乘大集地藏十輪經卷第二」, 『古點本の國語學的硏究 譯文篇』, 講談社, 1958, pp.32-58 미소장
4 築島裕 「高山寺藏大毘盧遮那成佛經疏卷第五」, 『高山寺固訓点資料第三』, 東京大學出版會, 1986, pp.211-257 미소장
5 築島裕 「大慈恩寺三藏法師傳卷第六」, 『興福寺本大慈恩寺三藏法師傳古點の國語學的硏究 譯文篇‧索引篇』, 東京大學出版會, 1965, 1966, pp.190-217・pp.3-245 미소장
6 築島裕, 小林芳規 「妙法蓮華經玄贊卷第三」, 『石山寺資料叢書 聖教篇第一』, 妙法蓮華經玄贊卷第三, 法蔵館, 1999, pp.229-341 미소장
7 築島裕 『興福寺本大慈恩寺三蔵法師伝古点の国語学的研究 索引篇』 東京大学出版会, 1966, pp.1-245 미소장
8 築島裕 『平安時代の漢文訓讀語につきての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63, pp.43-9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