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일본의 인기 작가 시오노 나나미의 카이사르 상과 독일의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 Bertolt Brecht의 카이사르 상을 비교 검토하는 작업으로, 브레히트의 역사소설 『율리우스 카이사르씨의 사업 Die Geschäfte des Herrn Julius Caesar』과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 4, 5권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자신의 관점을 거의 ‘감정이입’의 수준으로 전하는 시오노 나나미의 탁월한 작가적 역량에 힘입어 많은 독자들이 고대 로마에 대한 지식을 거의 ‘전적’으로 시오노 나나미의 저서들에서 얻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본 연구자는 시오노 나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시오노와 브레히트의 작품에 나타난 카이사르 상을 카틸리나 역모사건과 카이사르의 스페인 총독직 수행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시오노는 이 사건들 속에서 카이사르의 개인적 능력 및 자질을 통해 역사를 이끌어나간 위대한 영웅 상에 대한 포석을 마련한다. 반면에 브레히트가 그린 카이사르 상은 영웅상과는 거리가 멀다. 카이사르는 역사를 만드는 위대한 인물이 아니라 시티의 도구 및 하수인이며, 그의 통치 업무는 시티의 지침에 따라, 즉 상업 자본의 팽창을 위해 한 것이다. 시오노 나나미의 역사서와 브레히트 작품에 나타난 카이사르 상을 비교 검토하는 이 연구는 『로마인 이야기』를 통해 얻게 된 독서의 즐거움을 ‘더욱 생산적이고 능동적인 즐거움’으로 바꿀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 생각하며, 이를 통해 고대 로마 및 역사 전반에 관한 비판적 시각 및 열린 시각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나치 시기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젠더와 가족 이데올로기 = Gender politics and family ideology as reflected in the primers of the Nazi era 정용숙 p.179-218
제 2차 세계대전 개전 초기 독일군 에반에마엘 요새 점령작전의 승리 배경과 요인 = Background and factors of German forces' victory in operation to seize fort eben emael, early times of world war Ⅱ : focused on realization of mission command in view of creativity : 창의성의 관점에서 본 임무형 지휘의 구현을 중심으로 기노경 p.255-290
The German 'Kindergeld'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독일의 아동수당(Kindergeld) 제도와 한국적 함의 Kim, Young-Ran p.5-39
하이마트(Heimat)를 잃은 사람들, 하이마트로 돌아온 사람들 = People who lost their Heimat and others who returned to Heimat : integration of homeland expellees(Vertriebene) and ethnic german settler(Aussiedler/Spätaussiedler) in Germany : 강제피추방민(Vertriebene), 이주자(Aussiedler)와 후기이주자(Spätaussiedler)의 사회통합 문제를 중심으로 권형진 p.83-137

유럽을 위한 유럽에 의한 유럽의 역사 독일의 역사교과서 5종을 통해 본 유럽사 패러다임 = History of Europe, by Europe and for Europe European History Paradigm Analysis Using Five different History Textbooks of Germany 박혜정 p.219-253
시오노 나나미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작품에 나타난 카이사르 상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Shiono Nanami's Caesar and Brecht's Caesar 성현숙 p.291-318

두 문화적 '타자'를 바라보는 하나의 시선? = One view of the two cultural 'others'? : Perception of Eastafrica and Korea by Archabbot Norbert Weber (1870-1956) of the Benedictine Congregation of St. Ottilien in Germany : 독일 성 베네딕트회 오틸리엔 연합회 총아빠스 노르베르트 베버(Norbert Weber, 1870-1956)의 동아프리카와 한국 인식 김필영 p.41-81

슈마허의 정치사상과 SPD = Schumachers Politischer Gedanke und SPD 김진호 p.139-178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시오노 나나미: 로마인 이야기 2. 한니발 전쟁. 김석희 역. 한길사 1995. 미소장
2 시오노 나나미: 로마인 이야기 3. 승자의 혼미. 김석희 역. 한길사 1995. 미소장
3 시오노 나나미: 로마인 이야기 4. 율리우스 카이사르 상. 김석희 역. 한길사 1996. 미소장
4 시오노 나나미: 로마인 이야기 5. 율리우스 카이사르 하. 김석희 역. 한길사 1996. 미소장
5 Brecht, Bertolt: Die Geschäfte des Herrn Julius Caesar. Große kommentierte Berliner und Frankfurter Ausgabe. Band 17. Berlin, Weimar, Frankfurt am Main 1989. 미소장
6 '시오노 나나미 현상'과 역사 바로 읽기 소장
7 김경헌: 시오노 나나미와 또 하나의 로마인 이야기. 코키토 64. 2008. 8. PP. 263-275. 미소장
8 브레히트의 로마역사 다시 읽기 소장
9 『율리우스 카이사르씨의 사업』에 나타난 브레히트의 소설 이론 소장
10 정지창: 사업가로서의 독재자 율리우스 카이사르 - 브레히트 (B. Brecht)의역사소설 『율리우스 카이사르씨의 사업』. 인문 연구 56/2009. pp.49–80. 미소장
11 주경철: 테이레시아스의 역사 - 서울대 주경철 교수의 역사읽기. 산처럼 2002 미소장
12 이병련: 독일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나치독재와 홀로코스트 (2). 독일연구제 24호. 2012. pp. 149-190 미소장
13 진중권: 진중권의 이매진 ‘기억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시네 21. 통권 615호. 2007. 8. 미소장
14 하이켈하임, 프리츠 M.: 하이켈하임 로마사 (김덕수 옮김). 현대지성 2017. 미소장
15 Claßen, Ludger: Satirisches Erzählen im 20. Jahrhundert. München 1985. Jeske, Wolfgang: Brechts Romane, Frankfurt am Main 1984. 미소장
16 Claßen, Ludge: Bertolt Brechts Poetik des Romans. Frankfurt am Main 1984. 미소장
17 Knopf, Jan: Brecht-Handbuch. Band3. Prosa, Filme, Drehbücher. Stuttgart, Weimar 2002. 미소장
18 Lebek, Wolfgang Dieter: Brechts Caesar-Roman. Kritisches zu einem Idol. In: Helmut Koopmann / Theo Stammen (Hrsg.): Bertolt Brecht - Aspekte seines Werkes. Spuren seiner Werkung. München 1983. pp.167-200. 미소장
19 Müller, Harro: Anmerkungen zu Brechts historischem Roman 『Die Geschäfte des Herrn Julius Caesar. In: Zeitschrift für Deutsche Philologie. 1985/Hefte 4. pp.588-607. 미소장
20 Müller, Klaus-Detlef: Die Funktion der Geschichte im Werk Bertolt Brechts. Tübingen 1972. 미소장
21 Müller, Klaus-Detlef: Brecht-Kommentar zur erzählenden Prosa. München 198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