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사람 특유의 행동 및 사고 양식을 의미하는 성격 6요인으로 대변되는 성격유형 (HEXACO)이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실증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영국의 대학교에 유학중인 한국과 일본 대학생들 간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HEXACO 성격유형 모델은 성별, 나이, 등록 학위과정으로 분류하여 각 항목별 점수에 따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HEXACO 성격유형 모델이 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국대학에 유학중인 한국과 일본 대학생들의 HEXACO 성격유형 모델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양국 간의 대학생들은 국적에 무관하게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아직까지 적극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개인의 성격유형과 소셜미디어에 대한 연구 타당성을 제시하는 좋은 결과라고 생각 한다.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행동 (user behaviour of social media)에 대한 연구를 교육학 및 심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수용되고 있는 HEXACO 성격유형 모델 간의 관련성을 포괄적으로 검정한 연구이자 각국의 환경적 요인을 배제한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성을 가지는 시도라 할 수 있는 점에서 그 학술적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ity type (HEXACO), which is defined as personality 6 factors, on the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of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on UK Univers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statistical program using multi-regression. The HEXACO model was classified into gender, age, enrollment degree, and was measu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each item.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HEXACO model on students’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As a result, HEXACO model and motivation for using social media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studying at UK universities. In particular, students in both countries have similar results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y. This is a good result that suggests the validity of the study on the personality type and the social media that have not yet been actively examined. It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XACO model and the behaviour of social media at early stag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전후일본문학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의 '섬' = The island of Heterotopia in Postwar Japanese literature : Focuse on "Yakushima" : 야쿠시마(屋久島)를 중심으로 최은경 p.161-180

HEXACO 성격유형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 A Comparative Analysis for HEXACO Model and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of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on the UK Universities :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비교연구 박현지, 박영배 p.245-264

『首が落ちた話』論 = A Study on "Kubigaochitahanasi" by AkutagawaRyunosuke : 「あてにならない」人間について 金熙照 p.115-129

재일조선인 에스닉잡지와 '한국전쟁' = A Study on the Ethnic Magazine of Zainichi Koreans and 'Korean War' : 1950년대의 일본열도가 본 '한국전쟁' 소명선 p.199-223

일본의 기업연금제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Japanese Corporate Pension Plan 류성경, 김재현 p.309-339

第三者のやりもらい構文の構造とボイス性 = Structural patterns and Voice of the sentence type 'Dai-sansha (a new person)'s Yarimorai structure 宋惠仙 p.49-61

釜山広域市の観光地における言語景観について = A Linguistic Landscape of the Tourist Site in Busan : Focused on the park in the Busan city tour course : 釜山シティーツアーのコースにある公園を中心に 趙恩英 p.63-78

전향시대 노동운동가 부부의 표상 =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a Labor Agitator Couple in a Transitional Period : Focusing on "The Man and His Wife" : 「그 사람과 아내(その人と妻)」를 중심으로 이상복 p.131-144

組織ストレスに対応するコーピング·マネジメントの構築 = Creation of Coping Management to Deal with Organizational Stress : Efficacy of learning by the case method : ケース·メソッドによる学習の有効性 櫻木晃裕 p.265-283

「捨てる」と「버리다」との対照研究 = A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suteru' and Korean 'beolida' 李忠奎 p.29-48

『아키(秋)』 小考 = AKI theory : The internal changes in NOBUKO through the space of silence : 침묵의 공간을 통해 본 노부코(信子)의 내적변화 감영희 p.145-159

미야자와 겐지 『은하철도의 밤』의 일한번역에 대한 고찰 = A Consideration on Various Korean Translations of Kenji Miyazawa's "Night on the Galactic Railroad" : Translating the Names of Plants and Objects : 식물명과 물건명을 중심으로 이예안 p.101-113

大江健三郎「核時代の森の隠遁者」論 = A study on Ōe Kenzaburō's "Eremite of the forest in the atomic age" : The state of Okinawa through 'expiation sheep' and 'freedom' : 「贖罪羊」と「自由」を通してみる沖縄の姿を中心に 松崎美恵子 p.225-243

근대 이후 일본 동북지역 대지진과 일본근대문학의 역할 = The Great Earthquake in the Northeastern Part of Japan since Modern Times and the Role of Japanese Modern Literature : 소설 『산리쿠쓰나미(三陸津波)』와 르포르타주 『산리쿠해안 거대쓰나미(三陸海岸大津波)』를 중심으로 조미경 p.181-198

대학 교양 외국어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General Foreign Language Education : An Analysis based on Students of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Elective Courses : 영어·중국어·일본어 과목 수강자를 대상으로 박신향 p.79-99

コンビニ利用客の行動に関する日·韓比較研究 = Comparative Study on the Behavior of Convenience Store Users in Japan and Korea 鄭守源 p.359-376

東アジア地域におけるTPP11協定の意義と日本·中国のFTA戦略 = Significance of the TPP11 Agreement in the East Asian area and the FTA Strategy of Japan and China 楊光洙, 金道壎 p.341-357

接続連鎖現象の日韓比較に関する一考察 = A comparative study of Conjunctive Concatenation in Japanese and Korean 黑柳子生, 劉錫勳 p.7-27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기업이미지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on Corporate Image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 Focus on Korea-Japan Comparison : 한일 비교를 중심으로 안태혁, 박봉규, 정영미 p.285-307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윤희(2011)「모바일 SNS 이용동기와 이용행태의 상관관계 연구」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SNS 이용자의 심리적 특성이 SNS상의 생산과 수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장
3 김경준・김학희・이기동(2008)「웹 블로그 이용의도」『e-비지니스 연구』Vol.9 No.3, pp.159-181 미소장
4 김송이(2014)「여중생의 SNS 이용동기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A study on the market segmentation of user for hotel package products, based on HEXACO personality type and categorical variables: Applied by 2step cluster analysis 소장
6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Self Leadership of Potential Founders in the Micro Business Area on Founder Self-efficacy-Applying the Big Five Factors Model and the Self-Leadership Theory 소장
7 노안영(2003)『성격심리학』서울: 학지사 미소장
8 내가영 (2010)「모바일 SNS 이용자들의 이용동기와 만족감에 대한 연구」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Influence of Motivation Factors for Blog Use on the Blogger's Perception of Journalistic Role and Journalism Activities 소장
10 A Comparative Analysis for Information Behaviour of Korean and Japanese Student on the UK Universities using RCT Model 소장
11 신현희・김경란(2017)「SNS의 형태적 진화에 따른 이용동기 및 사용행태 차이: 대학생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이용을 중심으로」『디지털융복합연구』Vol.15 No.6, pp.15-27 미소장
12 안정민(2011)「SNS 이용자의 이용형태와 성격이 정서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소장
14 유훈식(2009)「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른 SNS의 인터랙션 특성에 관한 연구」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윤설민(2008)「성격에 따른 관광활동 차이 연구: HEXACO를 적용하여」『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25-136 미소장
16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의 차원 분석과 마케팅 시사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소장
17 정은정・김원희・이동형(2014)「고등학생의 성격 5요인과 SNS 이용동기 간의 관계」『교육혁신연구』Vol.24 No.1, pp.25-35 미소장
18 Amichai-Hamburger & Vinitzky(2010), Social use and personality, Journal of Computer Human Behavior, Vol. 26, Issues 6, pp.1289-1295 미소장
19 MySpace Politics: Uses and Gratifications of Befriending Candidates 네이버 미소장
20 Bergman, S. M, Fearrington, M. E, Davenport, S. W & Bergman, J. Z(2011), Millenials,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hat narcissists do on social network sites and wh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 pp.706-711 미소장
21 The Role of Theory in Uses and Gratifications Studies 네이버 미소장
22 Chen, H(2016),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Behavior of SNS User, Journal of Software, Vol.7, No. 6, pp.1265-1272 미소장
23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and social networks on the self-disclosure behavior of social network site users 네이버 미소장
24 Ellison, N. B, Steinfield, C & Lampe, C(2007), Connection strategies: Social capital implications of Facebook-enabled communication practices, New Media & Society, Vol.13, No.6, pp.873-892 미소장
25 Gleitman. H, J. Gross & D. Reisberg(2000), Psychology, W. W. Norton Company, New York 미소장
26 Hwang, H. S(2017),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on the Facebook Addiction, KSII Tran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Vol. 11, No. 2, pp.1032-1042 미소장
27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네이버 미소장
28 Make new friends or keep the old: Gender and personality differences in social networking use 네이버 미소장
29 Norris, P.(2000). A virtuous circle: Political communications in postindustrial societie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0 Park, N. Kee & Valenzuela, S(2009), Being Immersed in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Facebook Groups, Uses and Gratifications, and Social Outcomes, Cyber Psychological Measurement, 44, pp.597-608 미소장
31 Post-broadcast democracy: how media choice increases inequality in political involvement and polarizes elections 네이버 미소장
32 Ryan, T & Xenos, S(2011), Who uses Facebook?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shyness, narcissism, loneliness and Facebook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 pp.1658-1664 미소장
33 Egos Inflating Over Time: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네이버 미소장
34 Tylor. S, A. Hunter, G. Melton & S. Goodwin(2011), Student engagement and marketing CI doi: 10.1177/0273475310392542 미소장
35 Vries, R. E(2013), The 24-item brief HEXACO inventory(BHI),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7, pp.871-880 미소장
36 The performance of narcissists rises and falls with perceived opportunity for glory. 네이버 미소장
37 Traits and motives: toward an integration of two traditions in personality research.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