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한국 웹툰은 한국 설화의 원형과 모티프를 디지털 시대의 패러다임과 수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변용해 재현해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이물교구(異物交媾) 모티프’가 웹툰의 다양한 장르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점이 특이할 만하다. ‘이물교구 모티프’란 인간과 비인간이 관계를 맺는 것을 지칭한다. 표면적으로는 인간과 비인간의 결합을 나타내며 이면적으로는 다양한 존재의 혼종적 관계를 내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에 연재된 웹툰 중, 이물교구 모티프가 적극적으로 활용된 7편의 웹툰을 블라디미르 프로프(Propp, Vladimir)의 이론을 중심으로 그 변용 양상 및 의미를 분석했다. 세부적으로는 웹툰에서 재현된 이물의 이미지와 타자성을 롤랑 바르트(Barthes, Roland)의 이미지론을 적용해 분석했다.
한국의 이물교구 설화는 교구의 주체에 따라 신적 존재와 동물의 결합, 신적 존재와 인간의 결합, 인간과 동물의 결합인 세 가지로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이물교구 모티프는 현대의 웹툰에서 수사적, 논리적, 역사적 변형을 통해 수용됐다. 리처드 커니(Richard Kearney)에 따르면 타자성은 타자와 에이리언으로 구분된다. 타자는 차별성을 인정받되 환대할 가치가 있는 이질성을 의미한다. 반면 에이리언은 무의식의 두려움이 투영된 존재로, 불법적이며 환영받지 못하는 안타고니스트로 표상된다. 서구의 설화 및 콘텐츠에서의 이물은 인간과 비인간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관념에 따라 에이리언의 외형으로 재현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반면 한국 웹툰에서 이물은 배척해야 할 타자가 아닌 ‘또 다른 자아’로서 인정받으면서 인간과의 결합 가능성을 드러낸다. 이처럼 한국 웹툰의 이물교구 모티프는 한국 설화 특유의 일원론적 세계관을 계승하면서, 나아가 서구 중심의 주체와 타자에 대한 이항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가치관을 제시한다. 이는 나아가 포스트 휴먼 시대의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에 대한 담론에 대안적 가치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경민, 『만화학개론』, 북코리아, 2013. | 미소장 |
2 | 권경민, 『기호학적 만화론』, 심포지움, 2007. | 미소장 |
3 | 김덕희,『세계 민담 전집: 08 프랑스 편』, 황금가지, 2003. | 미소장 |
4 | 김치수 외, 『현대 기호학의 발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 미소장 |
5 | 김화경,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2002. | 미소장 |
6 | 로지 브라이도티, 이경란 옮김,『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 미소장 |
7 | 롤랑 바르트, 김인식 옮김, 『이미지와 글쓰기』, 서울:세계사, 1993. | 미소장 |
8 | 리처드 커니, 이지영 옮김, 『이방인, 신, 괴물』, 개마고원, 2004. | 미소장 |
9 | 박정진, 『단군신화에 대한 신연구』,한국학술정보, 2010. | 미소장 |
10 | 배원룡, 『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 집문당, 1993. | 미소장 |
11 | 백선기,『미디어 기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 미소장 |
12 | 블라디미르 프로프, 최애리 옮김, 『민담의 역사적 기원』, 서울:문학과 지성사, 1990. | 미소장 |
13 | 블라디미르 프로프, 박전일 역, 『구전문학과 현실』, 교문사, 1990. | 미소장 |
14 | 서대석 외,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집문당, 2004. | 미소장 |
15 | 스콧 맥클라우드, 김낙호 옮김, 『만화의 이해』, 비즈앤비즈, 2008. | 미소장 |
16 | 스콧 맥클라우드, 김낙호 외 옮김, 『만화의 미래』, 비즈앤비즈, 2001. | 미소장 |
17 | 오세정, 『설화와 상상력』, 제이앤씨, 2008. | 미소장 |
18 | 오시로 요시타케, 김이랑 옮김, 『만화의 문화기호론』, 눈빛, 1996. | 미소장 |
19 | 움베르트 에코, 김운찬 옮김, 『일반 기호학 이론』, 열린 책들, 2009. | 미소장 |
20 | 이기철, 『세계 민담 전집: 09 이탈리아 편』, 황금가지, 2003. | 미소장 |
21 | 이수진, 『만화기호학』, 씨앤씨 레볼루션(주), 2004. | 미소장 |
22 | 이인경, 『한국구비문학대계 소재 설화 해제』, 민속원, 2008. | 미소장 |
23 | 제이 데이비드 볼터·리처드 그루신, 『재매개』, 이재현 역, 커뮤니케이 션북스, 2006. | 미소장 |
24 | 최운식, 『한국 서사의 전통과 설화문학』, 민속원, 2002. | 미소장 |
25 | 한국콘텐츠진흥원 정책본부, 『2017 만화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 미소장 |
26 | 서은아,「<나무꾼과 선녀>의 인물갈등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 박사학위논문(2004, 12) | 미소장 |
27 | 박인하, 「만화기호의 통합체적 구현양상 연구」, 광운대학교 국어국문학 석사학위논문(2003, 2) | 미소장 |
28 | 정일형, 「디지털 미디어 인터페이스의 재매개화 연구」,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 박사학위논문( 2005, 8) | 미소장 |
29 | 변신설화에 나타난 '여우'의 형상과 의미 ![]() |
미소장 |
30 | 구전설화의 이물교혼 모티브 연구 | 소장 |
31 | 김대숙,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민담적 성격과 주제에 관한 연구」, 『국어국문학』 137(2004. 9), pp.329-351. | 미소장 |
32 | 이물교구설화의 용어 정립과 유형 분류 ![]() |
미소장 |
33 | 인귀교구 설화의 서사문학적 전개 ![]() |
미소장 |
34 | A Study on Genre Properties of Webtoon in the Formative Period | 소장 |
35 | 매개와 재매개 : 디지털 정보시대의 뉴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소장 |
36 | 한·중 도깨비 설화 연구 | 소장 |
37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ebtoon | 소장 |
38 | 디지털 이미지의 기호학적 접근 | 소장 |
39 | 현대 구비문학과 전파매체 ![]() |
미소장 |
40 | A Study on the Space of Growth Narratives Revealed in the Korean Webtoons | 소장 |
41 |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Motif in Animations | 소장 |
42 | A Study on Trends and Types of Korean Web Contents | 소장 |
43 | A Semiotic Analysis on the Animal Code in Webtoon | 소장 |
44 | 네이버 웹툰 http://comic.naver.com/webtoon | 미소장 |
45 | 네이버 웹툰, <투명한 동거>, ncomic://-contents=233616%20-volume=26%20-token=gYbsbAl2iR1RD570%20-preview=false%20-phase=%20-viewerType=scroll%20-auth=true% 20-authToken=BFKWbgl2iRtqCDN2, 2018.7.1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