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와 자녀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실제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기혼여성 35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33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하게 답한 설문지 2부와 기혼자녀 1인 이상을 둔 전업 주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자녀 중 미혼 자녀만을 둔 중년기 전업주부의 설문지 5부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그 결과 323부의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배우자지지는 가족 관계스트레스를 제외하고 중년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에 중년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자녀지지는 역할관계, 경제적 문제 전체 생활사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역할변인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혼자녀를 둔 중년기 전업주부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자녀지지의 조절효과 = Moderate Effect of Spouse Child Support in Relation to Life Stress and Satisfaction of Middle-Aged Housewife having Married Children in Korean Society 정문주, 홍영희 p.313-334

성차별경험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반추 하위유형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ubtypes of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 Intrusive and Deliberate Rumination :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김은하, 김보라 p.335-354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Interrupted Women's Employment Support 손강숙, 정소미 p.451-468

소아암 환아 어머니들의 수용전념치료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CT for mothers with pediatric cancer patients 김민정, 김종남 p.469-498

성인 초기 여성의 젠더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tereotypes and Couple Relationships Satisfaction of early adulthood woman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ilencing and Sexual Assertiveness :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의 매개효과 최효선, 양수진 p.431-450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파트너 통제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and Partner Control on Dating Violence :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손연우, 권호인 p.549-566

워킹맘의 일 가정 양립 촉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Employed Mo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Group Counseling Development and Its Efficacy 유성경, 임영선, 임인혜, 김태원, 정혜림, 황민혜 p.377-407

경력단절여성의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areer Interrupted Women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정서조절 능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애심, 장진이 p.525-548

임신기 부부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을 매개로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marital quality through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effect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강수경, 김해미, 정미라 p.355-375

20~30대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 The Relation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nger and Feminist Identity Dimensions :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에 의해 조절된 분노의 매개효과 김예은, 연규진 p.499-523

성차별경험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belief in a just worl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and self-esteem : Based on Worldview Verification Theory : 세계관입증이론을 토대로 김은하, 김경희, 박한솔, 정보현 p.409-429

참고문헌 (5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Comparative Study on Symptoms, Living Activities,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betwee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Fibromyalgia Patients 소장
2 The Effect of Aromatherapy on Psychological Factors of Middle-aged Women : Systematic Review & Meta-analysis 소장
3 Stressors of Older Adults and the Effect of Adult Children`s Support on Their Happiness and Depressive Symptoms 소장
4 김미옥, 이미숙 (2017). 중년기 여성의 대인애착, 내현적 자기애 및 배우자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집, 36(1), 57-84. 미소장
5 김세영, 정태연 (2013). 한국 어머니에게 자녀가 갖는 삶의 의미.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1), 149-149. 미소장
6 김수정 (2015).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지지와 직무 만족과의 관계에서 일-가족 향상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미소장
7 Spousal Support Scale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 Development and Validation 소장
8 The Influencing Factors on Self-actualization in Middle-aged Women 소장
9 Effects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on the Child Rearing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소장
10 Effects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on the Mental Health of Marriage Immigrant Women 소장
11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Perceived Marit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소장
12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화병간의 관계 : 내외통제성을 통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매개된 조절효과 소장
13 김은아, 최윤정, 이미경 (2018). 노인의 우울, 자살사고와 삶의 질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6(2), 179-208. 미소장
14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Stress/Well-Being: An Application of Motivational States Theory 소장
15 중년 여성의 적응과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정서적 경험의 관계 네이버 미소장
16 A Study on the Daily Hassl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 Focusing on the Mediation and Buffering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and Coping Styles 소장
17 김필숙, 심재만 (2015). 배우자 지지가 한국사회 여성 삶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65-265. 미소장
18 Dual family working mothers'childcare obligation, the role of husband, and its effects on positive work-family transfer and depression 소장
19 신혜섭 (2006). 중년기 위기와 가족 스트레스. 동덕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1, 84-90. 미소장
20 Relationships among Anxiety about Aging, Future Time Perspective and Happiness in Middle-Aged Women 소장
21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on Depression in Married, Middle-aged Women :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trength and Support 소장
22 Woman wanting "Graduating on Marriage Life" in Korea 소장
23 Middle-aged Women’s Preparation for the Old Age 소장
24 Depression and Husband´s Support in Married Women 소장
25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st Old 소장
26 이윤석 (2011). 부모의 성인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관련 태도 연구. 한국인구학, 34 (3), 1-30. 미소장
27 이평숙. (1984).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미소장
28 Effects of Yoga Postures, Yoga Breathing, and Yoga Relaxation Program on physical symptoms of stress, fatigue, stress response and self-esteem for Irregular Women Workers 네이버 미소장
29 장현숙 (2007).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배우자지지 및 母와子의 애착특성이 母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Factors related to Meaning of life in middle adults 소장
31 전경숙, 정태연 (2012). 한국사회 중년기 전업주부의 삶의 재평가.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1), 19-44. 미소장
32 Demographical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Non-employed vs Employed) Learners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소장
33 Psychological Well-Being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arried Women 소장
34 (The)Effect of Conjugal Relationship in Middle and Old age on Marital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oderate Effect of Ego-Resilience 소장
35 The Influence of Stress on Suicide Ideation: Meaning in Life as Mediator or Moderator 소장
36 An Analysis of Social Role and Satisfaction of Korean Middle-Aged Women 소장
37 Stress, Emo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Women with a Senior in High School 소장
38 최영희 (1983). 지지적 간호중재가 가족지지행위와 환자역할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미소장
39 A Study on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Among Middle-aged KoreanWomen Immigrants in Australia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소장
40 A Study on the Role Conflict and the Quality of Life of Dual-Earner Parents 소장
41 Aiken, L.,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25-35. 미소장
42 Ethnic identity, resettlement stress and depressive affect among Southeast Asian refugees in Canada 네이버 미소장
43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네이버 미소장
44 "Women in the middle" and family help to older people. 네이버 미소장
4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네이버 미소장
46 Erikson, E. H. (1968). Life cycle, l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The Free Press. 미소장
47 Hope and the Meaningful Life: Theoretical and Empirical Associations Between Goal–Directed Thinking and Life Meaning 네이버 미소장
48 Estrogen exposures and memory at midlife: a population-based study of women. 네이버 미소장
49 Holmes, T. H., & Rahe, R. 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2), 213-218. 미소장
50 Lazarus, R. S., & Folkman, S. (1984). Coping and adaptation.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282-325. 미소장
51 Stressful life events and survival after breast cancer. 네이버 미소장
52 The Influence of Life Stresses and Coping Behavior of the Middle-Aged Working Men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소장
53 Family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following the diagnosis of a child's congenital heart disease 네이버 미소장
54 Do the Emotional Benefits of Optimism Vary Across Older Adulthood? A Life Span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