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시습, 『매월당전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3 |
미소장 |
2 |
서거정, 『四佳集』(한국고전종합DB) |
미소장 |
3 |
이 이, 『石潭日記』, 국역 대동야승(한국고전종합DB) |
미소장 |
4 |
이 자, 『음애일기』, 국역 대동야승(한국고전종합DB) |
미소장 |
5 |
尹春年, 『學音稿』:『동방고전문학연구』2, 2000 |
미소장 |
6 |
『(국역)매월당집』, 강원도, 2000 |
미소장 |
7 |
남효온 저, 박대현 역, 『추강집』, 민족문화추진회, 2007 |
미소장 |
8 |
유몽인 저, 신익철 외 역, 『어유야담』, 돌베개, 2006 |
미소장 |
9 |
이승수 역, 『옥같은 너를 어이 묻으랴』, 태학사, 2001 |
미소장 |
10 |
김기봉, 『‘역사란 무엇인가’를 넘어서』, 푸른역사, 2000 |
미소장 |
11 |
김풍기, 『조선전기 문학론연구』, 태학사, 1996 |
미소장 |
12 |
심경호, 『김시습 평전』, 돌베개, 2003 |
미소장 |
13 |
안대회, 『尹春年과 詩話文話』, 소명출판, 2000 |
미소장 |
14 |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
미소장 |
15 |
정만조 외, 『음애 이자와 기묘사림』, 지식산업사, 2004 |
미소장 |
16 |
Articles : A Study on the poetic sound theory of Yun-chunnyun  |
미소장 |
17 |
A Study on the Process of Revised-Copying the Portraits of Maewoldang Kim Si-seup and Its Meanings
|
소장 |
18 |
양승민, 「원생몽유록 작자 문제의 허실」, 『고전소설 문헌학의 실제와 전망』, 아세아문화사, 2008 |
미소장 |
19 |
방외인문학의 (方外人文學) 전통 (1) - 유 (儒) , 도가 (道家) 경전에 나타난 방외인의 원형 -  |
미소장 |
20 |
이도흠, 「기억, 흔적 그리고 기호:역사 현실의 기억과 흔적의 텍스트화 및 해석–화쟁기호학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19, 한국기호학회, 2006 |
미소장 |
21 |
이동환, 「高麗 竹林高會 硏究 : 傳記的 考察을 中心으로」, 고려대석사학위논문, 1968 |
미소장 |
22 |
임형택, 「매월당의 방외인적 성격과 사상」,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비평사, 1984 |
미소장 |
23 |
김시습(金時習) 이해의 시선과 그 의미
|
소장 |
24 |
임진왜란의 영웅을 기억하는 두 개의 방식 : 사실의 기억, 또는 기억의 서사
|
소장 |
25 |
The Transition to Confucian Civilization and the Teacher of the Age, Kim Jongjik and Kim Siseup―Focusing on Searching for Self-Identity of Confucian Intellectuals in King Sejong and Sejo―
|
소장 |
26 |
Miscellanea and Chugangnanghwa in Early Joseon Period-Nam Hyo-On`s Deep Sorrow and Spirit of the Times
|
소장 |
27 |
方外人文學의 槪念과 性格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