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SSI-PCK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SSI 교육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 SSI Teacher Education Program (SSI-TEP) on Promot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Competencies of SSI Teaching / 권수희 ; 이현주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연구방법 4

1. 연구참여자 4

2. SSI 교사교육 프로그램(SSI-TEP)의 설계 5

3. 자료수집 및 분석 8

III. 연구 결과 10

1. SSI 및 SSI 교수에 대한 관심과 이해 11

2. SSI 교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행의지 13

3. SSI 수업설계와 운영에 대한 효능감 16

V. 결론 및 제언 21

참고문헌 23

ABSTRACT 2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간호교육에서의 학습용 보드게임 적용 효과 = Effects of Board Game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강지순, 김정애, 정은숙 p.45-64

보기
A Story about 'Volunteer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 중학생과 학부모가 들려준 '자원봉사활동' 이야기 : 비판적 검토와 앞으로의 기대 : Critical Review and Future Expectations Kyun, JuYoun p.407-432

보기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위험성 감수놀이에 대한 인식 = The Perception on Risk-Taking Play of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 Focusing on the Domain of 5W 1H : 5W 1H 영역을 중심으로 곽정인, 이영애 p.707-736

보기
SSI-PCK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SSI 교육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 SSI Teacher Education Program (SSI-TEP) on Promot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Competencies of SSI Teaching 권수희, 이현주 p.211-236

보기
일본의 교육 개혁과 대입 국어 시험의 서술형 평가 고찰 = A Study on Educational Reform in Japan and a descriptive evaluation of The Common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s 권태현, 김승현 p.383-406

보기
대학생의 우울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적, 정의적 특성의 차이 연구 =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academic and affective attributes on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depression 김경령, 서은희 p.237-257

보기
거주지에 따른 지역주민의 치매인식도 비교 = Comparison of Dementia Awareness of Local People by Residential Area : Focusing on Gyeonggi-do Region in 2017 : 2017년 경기도 지역 중심으로 김우정, 정은숙 p.123-138

보기
경과시간 문제해결에서 보이는 초등학생의 인지적 특징 및 오류 분석 = Analysis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Err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ime-lapse Problems Solving 김정훈, 권종겸, 이동엽 p.643-663

보기
초등학교 초임 교사 국어과 성찰적 수업 컨설팅 사례 탐구 = A Case Study of Consulting an Elementary Novice Teacher about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김평국, 김미라 p.333-362

보기
일반계 고등학교의 개방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탐구문제 구성방식과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 An analysis on patterns and difficulties of constructing inquiry questions in high school students' open-inquiry activity 문지영, 이현옥 p.311-332

보기
초등학교 예비 여교사의 체육 교과서 동작도전 영역 모의 집필 경험과 의미 = The Experience and Significance of Fe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ock-up Writing on Challenge Activities for a Physical Education Textbook 박상봉 p.573-596

보기
사교육 동향과 정책의 일관성 및 현실성 분석 = Analysis on the Consistency and Effectiveness between the Real Picture of Privat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Policies against It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부산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채형 p.505-527

보기
도시 고소득계층 청소년과 농촌 저소득계층 청소년의 진로 경험 차이 이해 =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of Career Experiences between Urban high-income class and Rural low-incomeclass adolescents : With the concept of "Spatial Capability" : "공간적 역량"을 중심으로 박하나 p.91-121

보기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재직의도 영향요인 = Factors Affecting on Intention to Stay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방미란, 이상복, 심선숙 p.689-706

보기
대학생의 마음챙김 요가 과정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Mindfulness Yoga Process of College Students 손강숙 p.457-480

보기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부모 협력 관계 형성의 제약 요인 탐색 =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Constraint Factors on the Making Partnership with Parents 안수민, 고재천 p.185-210

보기
대학 내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터와 학습자의 학업역량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Peer Tutoring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Competency and Core Competency 안현아, 박영신, 김경이 p.481-504

보기
부모의 교육참여,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진로성숙도, 인터넷 중독,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 : Relations among Parental Education Involvement, Children's Career Maturity, Internet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 Difference Analysis of Experience of Victimization / 학교폭력 피해경험 유무에 따른 잠재평균분석과 다집단 경로계수차이분석 연은모 p.433-456

보기
언어철학적 관점에 입각한 이성복 시 읽기 방법 = Lee Seong-bok's Poem Reading Method Based on Linguistic Philosophical Perspective 오정훈 p.259-283

보기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4학년 영어교과서 게임 활동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n Game Activities in the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Between the 2009 and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은지선, 이제영 p.285-310

보기
중·고등학생의 체육수업 기대-가치 지각과 미래 스포츠 참여 의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Expectance-value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Future Sport Participate Will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이승만, 이철화 p.163-183

보기
유치원 교사의 응급처치지식에 관한 실태연구 =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Recogni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이채호 p.27-43

보기
성과기준의 수준에 따른 금전적 보상이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onetary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according to Level of Performance Standard 정은실, 이경민 p.737-762

보기
대학생의 그릿 군집 유형에 따른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차이 연구 =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Grit Type 정은이 p.1-26

보기
질병 관련 직업을 주제로 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about Profession Related to Diseases : Investig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광희, 천재순 p.65-90

보기
머신 러닝을 활용한 이러닝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자 성취 예측 모형 탐색 = Exploration of Predictive Model for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by Using Machine Learning 조헌국 p.553-572

보기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오류 연구 = A Study on Errors in Korean Language of Married Immigrant Women 주월랑 p.625-642

보기
Implementing an EBB scale as a novice rater training tool = EBB scale 을 적용한 초급 채점자 훈련에 관한 연구 Youngshin Chi p.665-687

보기
학습부진아를 위한 수학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math-based STEAM programs for underachievers 진주은 p.597-623

보기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와의 상호작용 및 아동의 문제행동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Work-family enrichment, Parenting stress,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Child problem behavior in Father of Dual-income family 하문선 p.529-552

보기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 및 결과 활용 방안 탐구 = Analyz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entered on competencies and exploring the effective way to use its results for school curriculum design 한혜정, 이주연 p.139-162

보기
'역사하기(doing history)'를 위한 프로젝트 역사 수업 방안 = Project history class Methods for 'doing history' : Focusing on the Unit of growth in many countries : '여러 나라의 성장' 단원을 중심으로 허은철 p.363-381

보기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 (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세종시: 교육부. 미소장
2 학생 관점에서 바라본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실제 분석 소장
3 Changes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Nature of Technology through SSI-based Programs 소장
4 이현주 (2016).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교수 전문성 함양을 위한 PCK 모형 개발 및 PCK 요소간 역동적 상호작용과 변화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539-550. 미소장
5 이현주 (2018). SSI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 박영스토리. 미소장
6 Understand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of Socioscientific Issues: Using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s an Analytical Lens 소장
7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과학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소장
8 Designing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nstructional Models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소장
9 Research on the Pre-service teachers` Life and Identity Change in a College of Education 소장
10 Aikenhead, G. S. (2006). Science education for everyday life: Evidence-based practi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미소장
11 Sardonic science? The resistance to more humanistic forms of science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12 Tough acts to follow: the challenges to science teachers presented by biotechnological progress 네이버 미소장
13 Risk and school science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14 Teachers’ Experience of Working with Socio-scientific Issues: A Large Scale and in Depth Study 네이버 미소장
15 Socio‐scientific issues in science education: implication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네이버 미소장
16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미소장
17 Science Teachers' Inspiration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Disconnection with reform efforts 네이버 미소장
18 Science Teachers Taking their First Steps toward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19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troduction of Socio-scientific Issues into the Science Curriculum 네이버 미소장
20 Constraints on teaching the social and ethical issues arising from developments in biomedical research: A view across the curriculum in England and Wales 네이버 미소장
21 Lincoln, Y., & Guba, E. (1985). Naturalistic inquiry. Thousand Oaks, CA: Sage. 미소장
22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The Netherlands: Springer. 미소장
23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Newbury Park, CA: Sage. 미소장
24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네이버 미소장
25 A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Based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26 Sadler, T. D. (2011). Situating socioscientific issues in classrooms as a means of achieving goals of science education. In T. Sadler (Ed.),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classroom: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 (pp. 1-9). New York: Springer. 미소장
27 Socioscience and ethics in science classrooms: Teacher perspectives and strategies 네이버 미소장
28 Sadler, T. D., Foulk, J. A., & Friedrichsen, P. F. (2017). Evoultion of a model for socio-scientific issu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udcation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5(2), 75-87. 미소장
29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네이버 미소장
30 Sjӧstrӧm, J., & Talanquer, V. (2014). Humanizing chemistry education: From simple contextualization to multifaceted problematizatio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1, 1125–1131. 미소장
31 Subject matter and related pedagogical knowledge in teacher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32 Science as an ideal: teachers’ orientations to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reform 네이버 미소장
33 Zeidler, D. L., Applebaum, S. M., & Sadler, T. D. (2011). Enacting a socioscientific issues classroom: Transformative transformations. In T. D. Sadler (Ed.),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classroom: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 (pp. 277-305). Dordrecht, Netherlands: Springer. 미소장
34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