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최근 지역주민에 대한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은도서관의 증가세가 꾸준하다. 한편으로는 작은도서관 특유의 친근함과 융통성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주목한 지자체들이 작은도서관을 지속적으로 건립, 운영하고 있지만, 양적 증가에 부합하는 내실있는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적지않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특정 지자체가 설립, 운영하고 있는 작은도서관들을 방문 조사하여, 현행 작은도서관의 운영의 의의와 문제점 등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방문 조사를 통한 관찰과 운영자들과의 면담으로부터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보다 실제적인 관점에서 지역의 작은도서관이 지니고 있는 한계와 애로사항, 그리고 작은도서관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effective strategies for small library services in Busan metro area.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of small libraries that provide user friendly services for local residents. Local governments that is interested in such roles as community spaces based on the familiarity and flexibility of small libraries keep building and operating small libraries in Korea. This study, in this regard, surveyed the small libraries established and operated by a specific local government and analyzed the significance and problems in managing small libraries. In this study, we obtained data from observations, dialogues with managers and users through actual visit surveys to find out the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of local small librarie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 Study on Promotion of Small Libraries through an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Operation | 소장 |
2 | Small Libraries as the Center of Local Community: Focused on the case of Atti Library | 소장 |
3 | 문화체육관광부. 2017. 2017년도작은도서관운영실태조사 및운영평가결과보고서 .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미소장 |
4 | Evans, G. E. & Saponaro, M. Z. 2012. Collection Management Basics. Santa Barbara, CA: Libraries Unlimited.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