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의료분야 관련 도서관 유형을 모두 도출하여 각 도서관에 대한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혼용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는 의료분야 관련 도서관들의 명칭 및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도서관 유형 및 관종 구분, 관련한 법적 개선사항 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의료분야 관련 도서관의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의료분야 도서관 간의 유형 및 관계성에 대해 종합정리하였다. 둘째, 현재 부재한 병원도서관의 기준을 국내외 연구 및 기준들을 기반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의료분야 관련 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 의료분야 관련 도서관의 실태조사가 필요하며, 국가적 정책의 일환으로 병원급 이상의 공립병원에 우선적으로 병원도서관 설치 의무화를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by extracting all relevant types of libraries in the medical field and analyzing their concepts, the research was to clearly define the names and concepts of libraries related to the medical field being mixed and used, to identify types of library, and to draw related legal improv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of libraries in the medical field were organized and the types and relationships between libraries in the medical field were summarized. Second, criteria for currently absent hospital libraries are presented based on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and standards. Third, In order to revitalize libraries related to medical field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libraries related to medical fields. Also, It proposed that public hospitals above the hospital level be made mandatory to set up hospital libraries first through national policy and expand services for patients and care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립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과 과제 = An Empirical Study on the Operation of Public Small Libraries in K District of Busan : 부산광역시 K구를 중심으로 장덕현 p.73-91

해방기 출간 <아협 그림얘기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hyeop Picture Storybook> published in the Liberation Period 진나영 p.405-427

피인용 최상위 학술논문의 서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Most-cited Articles : focusing on the Domestic Social Science Field : 국내 사회과학 분야를 대상으로 이수상 p.53-71

빅데이터 기반 도서관 어린이청소년서비스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s of th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in the Library based on Bigdata : a Case Stud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국립세종도서관을 중심으로 백지연, 김태영, 양동민, 오효정 p.295-328

국내 도서관의 소장정보 관리 현황과 소장정보용 KORMARC의 개정 방안 = Current Status of Holdings Data in Korean Libraries and Proposal for Revision of KORMARC Format for Holdings Data 노지현, 이은주 p.93-117

高麗時代 刊行의 佛經版畵 硏究 = A Study on the Buddhist scripture published in the Goryeo Dynasty 석혜영 p.373-404

『嶺南樓詩韻』의 서지적 특징과 자료적 가치 =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ata Value of YoungNamRooSiun(嶺南樓詩韻) :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recorded characters : 수록 인물 분류를 중심으로 전재동 p.353-371

음악 저작의 전거형접근점 규칙 마련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in Rules for Authorized Access points of Music Work 이미화 p.147-166

출판 플랫폼으로서의 도서관 = A Library As a Publishing Platform : on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es and publishers : 독립출판을 통해 바라본 출판과 도서관의 상생 정준민 p.21-51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분석 연구 = An Analysis of the Social Image of Library : focused on the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 신문기사분석을 중심으로 김지현 p.219-236

의료분야 관련 도서관의 개념 및 정책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 and Policy Analysis of Library Related to Medical Field 신영지, 노영희 p.237-263

특화도서관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veloping Guidelines for Specialized Public Library 노영희, 정대근, 김미연, 이용미 p.119-145

도서관 사서배치의 법리적 쟁점과 법제화 = Legal Issues and Legalization of Librarian Placement for Public Library 윤희윤 p.1-20

키워드 중심 학술정보서비스 개선 연구 = An Improvement study in Keyword-centralized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 based on Recommendation and Classification in NDSL : NDSL 추천 및 분류를 중심으로 김선겸, 김완종, 이태석, 배수영 p.265-294

하와이대학교 한국 컬렉션 현황 연구 = A Study on the Status of Korean Collection at the University of Hawaii : focus on the Special Korean Collection : '스페셜 코리안 컬렉션(Special Korean Collecton)'을 중심으로 윤금선 p.329-351

독서지도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Training of Specialized Librarians in Reading Guidance 김수경, 차성종, 이승채, 황금숙 p.187-218

PBL교과수업과 학교도서관 LAI의 연계를 위한 기술적 분석 = A Study on the Descriptive Analysis for Coordination of the School's Library-Aided Instruction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Korea School Libraries : focusing on PBL Cases : PBL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정종기 p.167-185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동철 외. 2007. 도서관 시설, 자료 및 사서직원 배치기준에 관한 연구 . 서울: 문화관광부. 미소장
2 김에스더,남 영준 . 2015. 의학도서관의 단행본 장서구성을 위한 이용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3): 261-276. 미소장
3 Trend Analysis and Revision of the Special Library Standard in Korea 소장
4 노동조, 김정아. 2010. 의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 21(3): 45-56. 미소장
5 A Study Comparing the Provision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 by Public and Medical Libraries 소장
6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8.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7년도시행계획추진실적 .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미소장
7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8. ‘사람이 있는 문화’ 문화비전2030 발표. . [인용 2018. 10. 19]. 미소장
8 Study of System Design for public using to Korea Medical Journal Information 소장
9 안찬수. 2012. “책읽는병원”을어떻게만들어갈것인가: 연원환자도서관을위한몇가지사회적 제안. 제5차 도서관정책 포럼 . 2012년 2월 15일.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미소장
10 윤봉자. 1996. 한국 의학도서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미소장
11 의학신문. 2006. [기고] 환자도서관과 고객정보센터. 의학신문 . 2월 27일. . [인용 2018. 10. 05]. 미소장
12 이연주. 2009. 의학도서관이용자교육모형개발에관한연구 .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미소장
13 A Survey on the Medical Libraries Librarian's of Perception about Bibliotherapy Services 소장
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Print Journal Preservation Model for the Medical Libraries in Korea 소장
15 이기봉. 2018. 중앙병원도서관 ‘꿈자람 책방’ 개관. 제주도민일보 . 5월 29일. .[인용 2018. 10. 17]. 미소장
16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ce in webpages of the medical libraries 소장
17 조화순. 2011. 의학도서관 이용자의 전자저널 이용행태와 서비스품질 지각 분석 : K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미소장
18 유지영. 2011. “우리 병원도서관이요? 우리동네 도서관 될 거에요”. 청년의사 . 5월 15일. . [인용 2018. 10. 18]. 미소장
19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특별위원회. 2013. 한국도서관기준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미소장
20 홍기선. 소비자보건정보서비스의활성화방안연구 .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대학원문헌정보학과. 미소장
21 ALA. 1983. The ALA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hicago: ALA. 미소장
22 Services an Integrated Hospital Library Can and Cannot Provide 네이버 미소장
23 Langner, M. C. 1974. “User and user services in health sciences libraries: 1945-1965.” In Library Trends, 23(1): 7-30. 미소장
24 문화예술사회공헌네트워크. [cited 2018. 10. 18]. 미소장
25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cited 2018. 10. 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