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민정. 2011. “교사의 직책을 중심으로 본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의 실태와 어려움”. 『열린유아교육연구』제 16권, 5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pp. 19-44. 미소장
2 강수경. 2009.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유치원 평가 기본 계획』.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4 국무조정실 영유아교육보육통합추진단·육아정책연구소. 2015. 『유치원·어린이집 통합평가설명자료(기관용)』. 미소장
5 김경란, 서동미. 2012. “1차, 2차 평가인증 통과에 대한 국공립 어린이집의 원장과 교사의 인식”.『아동보육연구』 제 8권, 2호.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pp. 23-44. 미소장
6 Teachers’ Discussion for Future Improvement Plan on National Evaluation of Kindergarten 소장
7 1주기 평가를 경험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유치원 평가 준비 실태 및 인식과 어려움 : 교사의 경력과 유치원 학급 수를 중심으로 소장
8 The Respon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National Kindergarten Evaluators 소장
9 study on the recognition by kindergarten inspector about kindergarten evaluation 네이버 미소장
10 A Study on the Discussions by Childhood Teacher, Kindergarten Committeeman to Value, Kindergarten Inspector about Kindergarten Evaluation - Closing on the Second Kindergarten Assessment - 소장
11 박신아, 서문희. 2015. 어린이집 평가시 부모참여에 대한 서면 자문 설문지(미간행). 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12 Parents' Perceptions of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nd Parent Participation in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소장
13 보건복지부. 2018. 『2018년도 어린이집 부모모니터링단 운영 매뉴얼』. 보건복지부. 미소장
14 보건복지부, 보육진흥원. 2014.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3차 지표 시범사업용』. 보건복지부, 보육진흥원. 미소장
15 서문희, 신희연, 송희영. 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 효과 분석사전 사후 관찰평가 비교』. 육아정책연구소. 미소장
16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 전후의 교사 효능감과 평가인증 과정에 대한 인식 및 경험 소장
17 inquiry into the narratives of in-service teachers regarding kindergarten evaluation 소장
18 이경미. 2015. 유치원 평가 참여에 따른 교사효능감, 전문성 발달과 소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이윤진, 송신영 편역. 2009. 『핀란드의 육아정책』. 육아정책개발센터. 미소장
20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의 유용성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경험 및 인식 소장
21 Teachers' growing proces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the 3rd index of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 focusing on child care activities and interactions 소장
22 Study of Effect of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System of Daycare Center 네이버 미소장
23 History and Law of Child-care in Korea 소장
24 최윤경, 김윤환, 이혜민 편역. 2015. 『스웨덴의 육아정책(Ⅱ): 교사정책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미소장
25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참여 및 만족도 분석 : 평가인증 심의 통과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소장
26 Child-care of Sweden and Finland 소장
27 Evaluation of ECEC Center in Finland 소장
28 한유미, 권정윤, 강기숙, 백석인. 2005. 『스웨덴의 영유아보육제도』. 서울: 학지사. 미소장
29 한유미, 권정윤, 신미자 역. 2011. 『북유럽의 영유아기와 유아교육: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의 철학, 연구, 정책, 실제』. 고양시: 한권(J. Einarsdottir & J. T. Wagner (Eds.) Nordic Childhoods And Early Education: Philosophy,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in Denmark, Finland, Iceland, Norway, And Sweden.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미소장
30 Gustafsson, J-E. 2014, Impact of school inspec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Sweden Technical report ISI-TL project year 1-3 data. http://schoolinspections.eu/impact/wp-content/uploads/downloads/2014/07/Sweden-report-years-1-2-and-3.pdf 미소장
31 Inspections of Swedish schools: A critical reflection on intended effects, causal mechanisms and methods 네이버 미소장
32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in Finland 네이버 미소장
33 Kärbby, G. 2002. Report to international country archives(INCA). Unpublished manuscript. 미소장
34 Mediating school inspection 네이버 미소장
35 The Swedish Schools Inspectorate’s View of Swedish Schools 네이버 미소장
36 To Involve Parents in the Assessment of the Child in Parent–Teacher Conferences: A Case Study 네이버 미소장
37 Munkhammar, I. & Wikgren, G. 2010. Caring and learning together: A case study of Sweden. U N E S C O. Early childhood and family policy series n° 20, pp. 16-21. 미소장
38 OECD. 2007. Babies and Bosses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A synthesis of findings for OECD countries. 미소장
39 OECD. 2012. Starting strong III: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Publication. 미소장
40 Skolinspektionen. 2009. The Inspectorate of Educational Inspection of Sweden. (http://www.skolinspektionen.se/PageFiles/1854/SwedishSchoolsInspectorate2009.pdf) 미소장
41 Systematic Quality Work in Preschool 네이버 미소장
42 Taguma, M. Litjens, I. & Makowiecki, K. 2013. Quality Matt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Sweden. Paris: OECD. 미소장
43 Vallberg-Roth, A. C. 2012. “Different forms of assessment and documentation in Swedish pre-schools”, Nordic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5(23), pp. 1-18. 미소장
44 Vallberg-Roth, A. C. 2013a. Nordisk komparativ analys av riktlinjer för kvalitet och innehåll i för-skola [Nordic Comparative Analysis of Guidelines for Quality and Cont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ordic: Nordic Council of Ministers. 미소장
45 Vallberg-Roth, A. C. 2013b. Quality, assessment, and documentation in Swedish preschools - regulations, practices, and concepts. Munich. German Youth Institut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