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빅테이터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규제연구 = A study on regulation for big date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관련 법률 및 사용가이드라인 중심으로 진희권, 안진호 p.527-552
차량 화재 사건으로 재조명해 본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 Punitive damages in the light of car fire case : a study on the paradigm shift to preventive damages : 예방적 배상제도로의 전환가능성에 대한 소고 정신동 p.127-158
변제자대위에서 이중지위자의 부담액 산정에 관한 판례 재검토 = A review of judgment on the calculating method of the burden of the dual status person in payment with subrogation 정상현 p.245-271
화재보험 실무상 지급보험금 계산 시 잔존물 가액 공제방식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blem of the debris value deduction in the calculation of the payment insurance benefit in fire insurance practice 김덕현, 김진성, 이경재 p.333-356
요청조달계약상 입찰담합 행위자에 대한 수요기관의 설계보상비 반환 청구에 관한 검토 = Review of a demanding agency's claim for return of design compensation fee to bid rigging actors according to request procurement contract 한태일 p.101-125
자유와 공리의 연합 = Union of liberty and utility 고봉진 p.1-22
제3취득자의 변제에 관한 민법 제364조의 검토 및 개정안 = A study and amendment proposals on the Korean Civil Act Article 364 강태성 p.183-219
소위 '사과법'(apology law)의 검토와 제안 = Examination of apology law and a proposal of its alternative : touching upon the amendment bill of the Patient Safety Act : 환자안전법 개정안(김상훈 의원안)에 부쳐 이영록 p.357-383
중국 형사소송법상 불기소 결정에 대한 불복절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disobedience procedure of the decision of Chinese public prosecutors not to prosecute 김재중, 최석화 p.159-182
트럼프 시대에서의 WTO 및 한-미FTA 패널판정의 이행 및 보복제도 대응방안 = Implementation of WTO and Korea-US FTA panel decisions and retaliation in the era of Trumpism 최원목 p.499-526
말레이시아 기업입법과 회사기관구조 = The corporate governance on the company law in Malaysia 정용상 p.305-332
잠복한 부당성과 법의 소환 = Hidden injustice and the summons for law : Me_too sexual violence trials and institutional dealings : 미투(Me_too) 성폭력 재판과 공적 조치 오정진 p.51-70
GDPR과 2018 BDSG를 통해 본 국내의 개인정보보호법 입법방향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direction of legislation improvement of data protection law of Korea by comparing to GDPR and 2018 BDSG : focusing on conditions of general personal data and special categories of personal data processing, processing and exclusionarea, transfer personal data to a third country : 개인정보 처리조건, 처리 및 배제영역과 제3국으로의 개인정보 이전을 중심으로 임규철 p.465-497

민주적 대의제의 실현 =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the democratic representative 박경철 p.71-100
파견과 다른 형태의 제3자 관련 노무공급에 관한 구별기준과 법적 문제 = Distinction criteria and legal issues on dispatch and labor supply of other forms in relation to third parties 윤기택 p.385-410
임의후견 우선의 원칙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priority principle of the contractualguardianship : Cass. 1re civ., 4 janv. 2017, no 28669 : 프랑스 파기원 Cass. 1re civ., 4 janv. 2017, no 28669를 중심으로 김미경 p.221-243
국제해양법상 역사적 권리 인정 여부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historical rights in the law of sea : focusing on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case : 남중국해 중재판정을 중심으로 오시진 p.443-464
남북경협 재개를 위한 유엔 안보리·한국·미국의 대북제재 검토 = Review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mposed by the UN Security Council, the Republic of Korea (ROK) and the Unites States in terms of resuming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정민정 p.411-441
개인정보 유출 사고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책임 = Data breach and the liability of the service provider :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5Da24904, 24928, 24935, dated January 25, 2018 : 대법원 2018. 1. 25. 선고 2015다24904, 24928, 24935판결을 중심으로 이소은 p.553-593
상법상 이사 등의 자기거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elf-dealing in Commercial Act : 상법 제398조의 해석상의 주요 쟁점 및 입법론적 개선방안 김한종 p.273-304
법과 용서 = Law and forgiveness : focusing on Derrida's theory of forgiveness : 쟈끄 데리다의 용서론을 중심으로 오민용 p.23-50

참고문헌 (4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세일, “대륙법에서 징벌적 손해배상 논의”, 법조 제63월 제1호, 법조협회, 2014. 미소장
2 김범철, “제조물책임법상 징벌적 손해배상”,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제20권 제3호,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7. 미소장
3 Restitution for Wrongs in England und Gewinnherausgabe : 우리 부당이득법의 수용 여부와 손해배상법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 소장
4 Gewinnherausgabe als haftungsrechtliches Problem in Korea 소장
5 김차동/주진열, 소비자피해구제를 위한 민사적 구제 수단 확충방안 연구, 공정거래위원회 연구용역 보고서, 2012. 미소장
6 study on punitive damages 소장
7 김현수, “징벌적 손해배상액의 산정기준”, 법학논집 제18권 제1호, 이화여자대학교법학연구소, 2013. 미소장
8 변종필, “형벌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 강원법학 제46권,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5. 미소장
9 서종희, “침해부당이득에서 수익자의 초과수익반환”, 저스티스 통권 151호, 한국법학원, 2015. 미소장
10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vised product liability act, 2017 소장
11 Frage zur Wissenszurechnung der juristischen Person im Fall, daβ ein Repr?sentant gegen die gerade von ihm vertretene juristische Person Delikt aus?bt 네이버 미소장
12 한국 민법상 비재산적 손해의 배상과 징벌적 손해배상 소장
13 윤석찬, “징벌적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소고”, 재산법연구 제29권 제4호, 한국재산법학회, 2013. 미소장
14 Punitive Damages Theory in Product Liability Act 소장
15 Article : Economic Analysis of Unjust Enrichment Law 네이버 미소장
16 A Study on Punitive Damages in Product Liability in Korea : 미국 Toole 판결의 분석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소장
17 법인에 있어서의 인식의 귀속과 인식의 책임 네이버 미소장
18 A Critical Study on the Punitive Damages under the Korean Legal System 소장
19 독일 민법상 위자료와 일반적 인격권 침해에 대한 금전배상의 기능상 차이점과 우리 민법에의 도입가능성 검토 소장
20 이진만, “불법행위의 피해자인 법인의 법률상 대리인이 법인에 대한 관계에서 배임적대리행위를 하는 경우 그 법률상 대리인의 인식(악의)을 법인에게 귀속시킬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판례해설 제57호, 법원도서관, 2006. 미소장
21 Acceptability of Concept of Punitive Damages 소장
22 과소보호금지원칙에 관한 소고 소장
23 § 116 Abs. 1 KZGB als Grundnorm für die Wissenszurechnung 소장
24 불법원인급여 : 민법 제746조 본문의 해석과 적용기준을 중심으로 소장
25 한태일, “위자료와 징벌적 손해배상의 비교”, 법학연구 제20권 제4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미소장
26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4. 미소장
27 Alexander, Schadensersatz und Abschöpfung im Lauterkeits- und Kartellrecht : privatrechtliche Sanktionsinstrumente zum Schutz individueller und überindividueller Interessen im Wettbewerb, Mohr Siebeck, 2010. 미소장
28 Behr, Strafschadensersatz im deutschen Recht – Wiederauferstehung eines verdrängten Phänomens, ZJS 2010, 292 ff. 미소장
29 Gierke, Der Entwurf eines bürgerlichen Gesetzbuchs, 1. Aufl., Duncker &Humblot, 1889. 미소장
30 Hempel, Privater Rechtsschutz im deutschen Kartellrecht nach der 7. GWB-Novelle, WuW 2004, 362 ff. 미소장
31 Historisch-kritischer Kommentar zum BGB, 2,1. Schuldrecht - Allgemeiner Teil : §§ 241 - 432; Teilbd. 1, Vor § 241 - § 304, Mohr Siebeck, 2007. 미소장
32 Körner, Marita Zur Aufgabe des Haftungsrechts - Bedeutungsgewinn präventiver und punitiver Elemente, NJW 2000, 241 ff. 미소장
33 Motive zu dem Entwurfe eines Bürgerlichen Gesetzbuches für das Deutsche Reich, Band 2. Recht der Schuldverhältnisse, 2., unveränd. Aufl., Guttentag, 1896. 미소장
34 Münchener Kommentar zum Bürgerlichen Gesetzbuch, Band 2: Schuldrecht, Allgemeiner Teil, 7. Aufl., C.H. Beck, 2016. 미소장
35 Prinz, Geldentschädigung bei Persönlichkeitsrechtsverletzungen durch Medien, NJW 1996, 953, 954. 미소장
36 Raue, Die dreifache Schadensberechnung: eine Untersuchung zum deutschen und europäischen Immaterialgüter-, Lauterkeits- und Bürgerlichen Recht, Nomos, 2017. 미소장
37 Riedel, Punitive Damages– Ein Vergleich des englischen, US-amerikanischen und deutschen Rechts, ZERP-Arbeitspapier 3, 2016. 미소장
38 Savigny, Das Obligationenrecht als Theil des heutigen Roemischen Rechts, Bd. 2, Veit, 1853. 미소장
39 Schäfer, Strafe und Prävention im Bürgerlichen Recht, AcP 202(2002), 397ff. 미소장
40 Sonntag, Entwicklungstendenzen der Privatstrafen : Strafschadensersatz im antiken römischen, deutschen und US-amerikanischen Recht, BWV, 2005. 미소장
41 Wagner, Präventivschadensersatz im Kontinental-Europäischen Privatrecht, FS für Helmut Koziol, 2010, 925 ff. 미소장
42 Wagner, Prävention und Verhaltenssteuerung durch Privatrecht – Anmaßung oder legitime Aufgabe?, AcP 206(2006), 352 ff. 미소장
43 Wagner, Gutachten zum 66. DJT/ Teil A: Neue Perspektiven im Schadensersatzrecht - Kommerzialisierung, Strafschadensersatz, Kollektivschaden, C.H. Beck, 200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