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spatial experience of department stores, focusing on East Asian department store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Firstly, I explore East Asian department stores as male intellectuals’ space and discuss how the department store played a role in circulating metropolitan exoticism and modernism globally. In East Asia, the department store was also related to configuring various images of urban men within familial boundaries: patriarchal tycoons, entrepreneurial brothers, disciplined children and a conformist head of the nuclear family. Secondly, this article examines human relationships in the space of the department sto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space of the building. By focusing on the Renaissance architectural style, I discuss conservative masculinit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theatre and spectacle. Lastly, I explore concrete dimensions of bodily experience in the department store with the terms of “building machine” and “desiring machine.” In describing urban masses’ tactile experience of the technologically equipped building machine, I stress physical mobility and the unconscious. I approach “desire”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rather than configuring it in terms of Freudian psychoanalysis. By configuring both the space and its users as “machines,” I also challenge the subject-object binary. This study attempts to shift the critical focus on East Asian department stores from women, westernisation, and visuality to men, globality, and desiring machines.
이 논문은 20세기 초 동아시아의 백화점들에 초점을 맞추어 백화점의 공간 경험을 연구한다. 백화점을 서구에서 수입된 문물로 보기보다 전지구적 소통의 지점으로 보고 여성, 서구화, 시각성, 중산층 개인 등을 중심으로 한 기존 백화점 연구의 방향을 남성, 전지구성, 신체 경험, 도시 대중 집단 등으로 바꾼다. 백화점의 남성성은 동아시아에서 가족적 이미지로 소통되었는데 예를 들어 가부장적 창업자 (형제)와 도시 핵가족의 “소시민” 가장 소비자가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백화점은 모더니즘 문학 작품 등의 중요한 모티브가 되기도 했는데 백화점 공간은 유럽의 식민지 이국에 대한 환상이 상품과 더불어 전지구적으로 소통되는 지점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또한 백화점 공간에서 어떠한 인간 관계가 형성되는지 즉 서비스 노동에 대해서 살펴보고 소비자는 백화점 공간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를 스펙타클, 극장 등의 개념을 통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백화점 공간의 구체적 신체 경험을 빌딩기계, 욕망기계 등의 개념으로 접근한다. 백화점 공간의 경험이 시각적, 개인적 경험이라기 보다는 동적, 집단적 신체 경험이며 공간과 인간을 모두 기계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며 주, 객 혹은 인간, 기계의 확연한 구분에 문제를 제기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