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의 목표는 20세기 말 ― 21세기 초 사회정치적 차용어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러시아표준어의 형성과 발전과정에서 표준어의 주도적 주체와 표준어의 사회적 기반 사이의 상호영향 및 역동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것은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시평어적 차용어를 분석대상으로 한 연구(I)의 후속연구이다.
본고는 네 단계로 분류된 화행문화 유형 중 평균적 표준어 유형이 표준어의 사회적 기반이고, 대부분의 러시아어 모국어 사용자가 현대러시아표준어의 사회적 기반에 해당한다고 규정한다. 러시아표준어사에서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뚜렷한 목적 하에 처음으로 집단을 형성하여 기능하였던 표준어의 주도적 주체는 20세기 말 ― 21세기 초 와해되어 표준어의 주도적 주체가 존재하지 않는 시기가 도래하였다.
전 시기까지는 ‘어느 사회 계층이, 그리고 어떤 이념을 지향하는 자들이 표준어의 사회적 기반을 형성하고, 그들 중 누가 주도적으로 표준어의 발전을 견인하고 방향을 제시하는가’가 러시아표준어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핵심적인 문제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표준어의 사회적 기반이 중심으로 하는 언어는 어떤 것이며, 그 언어의 특성은 무엇인가’로 연구의 초점이 이동해야만 한다. 현대러시아에서 이것은 대중매체어이다. 대중매체어는 언어생활의 중심에 위치하며 ‘대중매체어 = 러시아어’ 공식이 성립할 정도이다. 이에 대중매체어 내에서 언어의 유형화 내지는 문체적 세분화, 혹은 문체체계의 재구성을 생각해볼 시기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용화, 「러시아 표준어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표준어의 주도적 주체와 표준어의 사회적 기반의 상관성 (I):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시평어적 차용어를 중심으로」. 『러시아학』 제16호(2018), 1-33. | 미소장 |
2 | 남혜현, 「현대 러시아어의 문체체계 변동 연구. 미디어체에서 나타나는 문체간통합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제27권 2호(2012), 1-26. | 미소장 |
3 | Багана, Ж., & Тарасова, М. В. Английские заимствования в русском и немецком языках в условиях глобализации. М.: LAMBERT, 2018. | 미소장 |
4 | Валгина, Н. С. Активные процессы в современном русском языке. Учебное пособие. М.: Логос, 2003. | 미소장 |
5 | Граудина, Л. К., & Ширяев, Е. Н. Культура русской речи. Учебник для вузов. М.: НОРМА—ИНФРА, 1998. | 미소장 |
6 | Дьяков, А. Английские заимствования русского языка. Saarbrücken: LAMBERT, 2011. | 미소장 |
7 | Есмаеел, С. А. Актуальная политическая лексика и фразелогия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новейшего периода и ее представление в учебном двуязычном словаре. Авторефетат дис. ... канд. филол. наук. Воронеж: Воронеж. гос. педаг. ун-т, 2008. | 미소장 |
8 | Загоровская, О. В., Есмаеел, С. А. “Об иноязычных заимствованиях в политической лексике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естник ВГУ, Серия: Лингвистика и мужкультурная коммуникация. № 3, 2008, с. 74-82. | 미소장 |
9 | Комлев, Н. Г. Словарь иностранных слов. М.: ЭКСМО, 2006. | 미소장 |
10 | Крысин, Л. П. “Иноязычное слово в контексте современной общественной жизни.” Земская, Е. А. (отв. ред.) Русский язык конца XX столетия (1985-1995). М.: Языки русской культуры, 1996. | 미소장 |
11 | Курасова, Е. В. Семантические неологизмы общественно-политической сферы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новейшего периода. Дис. ... канд. филол. наук. Воронеж: Воронеж. гос. ун-т, 2006. | 미소장 |
12 | Maksimowicz, E. Русский язык на рубеже XX-XXI веков. Лексико-семантические изменения. Białystok: Uniwersytet w Białymstoku, 2016. | 미소장 |
13 | Маринова, Е. Иноязычные слова в современной русской речи. Освоение и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е. Saarbrücken: LAMBERT, 2012. | 미소장 |
14 | Марьянчик, В. А. Аксиологическая функция неологизмов медиа-политического дискурса: На материале газетных публикаций начала XXI века. Дис. ... канд. филол. наук. Архангельск: Поморский гос. ун-т, 2006. | 미소장 |
15 | Николаевна, С. Е. “Культура речи: анализ терминов и понятий.” Вестник Россий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дружбы народов. Серия: Русский и иностранные языки и методика их преподавания. Вып. 1, 2012, с. 12-17. | 미소장 |
16 | Осина, А. В. Среднелитературная речевая культура: ее роль и место в современной русской речи. Автореферат дис. ... канд. филол. наук. Саратов: Сарат. гос. ун-т, 2001. | 미소장 |
17 | Павленко, Г. Англицизмы конца XX века в русскоязычной прессе. Saarbrücken: LAMBERT, 2012. | 미소장 |
18 | Понятие общественно-политической лексики и её особенности. https://studwood.ru/1389555/literatura/osobennosti_obschestvenno_politicheskoy _leksiki_ramkah_funktsionalnyh_stiley (검색일: 2018. 11. 15. - 2018. 11. 20.) | 미소장 |
19 | Сагындыкова, Ж. О. “Формирование общественно-политических неологизмов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Вестник КазНУ. Серия филологическая. № 1 (131), 2011, 178-183. | 미소장 |
20 | Сиротинина, О. Б., & Гольдин, В. И. “Внутринациональные речевые культуры и их взаимодействие.” Вопросы стилистики. Вып. 25, 1993, с. 9-19. | 미소장 |
21 | Сиротинина, О. Б. “Основные критерии хорошей речи.” Хорошая речь. Саратов: Изд-во Сарат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01, с. 16-28. | 미소장 |
22 | Сиротинина, О. Б. Русский язык и культура речи. Учебник для нефилологов (в соавторстве). Саратов: Изд-во СГУ, 2001; 4-е изд. М.: ЛКИ, 2008. | 미소장 |
23 | Стернин, И. А. Типы речевых культур. Воронеж: Истоки, 2013. | 미소장 |
24 | Ткачева, И. О. Политическая лексика в современном русском языке: семантические особенности и проблемы лексикографическо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Дис. ... канд. филол. наук. СПб.: С.-Петерб. гос. ун-т, 2008. | 미소장 |
25 | Чудинов, А. П. Россия в метафорическом зеркале: Когнитивное исследование политической метафоры (1991-2000). Екатеринбург: УрГПУ, 2001. | 미소장 |
26 | Национальный корпус русского языка. http://www.ruscorpora.ru/ (검색일: 2018. 11. 15. - 2018. 11. 30.) | 미소장 |
27 | Google Books Ngram Viewer. https://books.google.com/ngrams (검색일: 2018. 10. 3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