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브레인스토밍에서 아이디어의 창출기법 활용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dea generation techniques on creativity in brainstorming 이상진, 이민영, 황근호, 최훈주, 김근배 p.1-26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Toward an understanding of other customers' roles in service environment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incorporating customer-to-customer interaction and taking charge behavior : 고객 간 상호작용과 변화주도행위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성렬, 이정기 p.115-142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스마트폰 디자인의 핵심속성 및 가치 식별 = Identification of core features and values of smartphone design using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정풀잎, 안현철, 곽기영 p.27-47

진성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authentic-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이원희, 정기주, 유석용 p.143-167
직무요구가 내재적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 = Job demand and intrinsic motivation :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s by supervisor and colleague : 상사와 동료의 정서적 및 수단적 지원의 삼원조절효과 조영삼, 홍가혜 p.49-70
대기오염도가 프로야구 관중 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air pollution on the Korean baseball attendance 남상욱, 전계형 p.71-88
심리적 주인의식이 발언행동과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voice and helping behaviors and the moderating role of conflict 한준구 p.89-114
SNS이용자의 성격유형(외·내향성)을 조절효과로 고려한 SNS상의 사회적 자본과 정보원의 공신력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NS social capital and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source on SNS purchase intention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user' personality type(extroversion-introversion) 이희태, 허재강, 전계형 p.169-194

참고문헌 (5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익선 (2016). 체계적 발명사고와 브레인스토밍의 효과성에 관한 비교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 고대경 (2013). 창의성 방법론이 팀의 아이디어 발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3 김근배 (2011). 컨셉크리에이터. 서울: 한국갤럽조사연구소. 미소장
4 김민채·임지영 (2012). 체크리스트법에 의한 트렌치 코드 디자인분석. 복식, 62(7), 97-116. 미소장
5 김용만·김석용 (2012). 신제품개발 전략과 성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1), 215-234. 미소장
6 드루 보이드·제이컵 골드버그 (2014). 틀 안에서 생각하기. 서울: 책읽는 수요일. 미소장
7 박영택·김성대 (1998). 신제품 개발에 있어서 창조성 기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26(4), 202-218. 미소장
8 정범모 (2011). 창의력(사회, 인물, 그 심리).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9 조윤형·최우재 (2017). 개인-환경 적합성이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4(4), 173-195. 미소장
10 허건·송해근·심재헌·박영택 (2016). 창의적인 식품 개발에 있어서 SIT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H사의 신제품을 중심으로. 품질경영학회지, 44(1), 95-108. 미소장
11 최원일·김종채·김상조 (2004). 산업특성, 기업규모가 신제품 개발과정과 신제품성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17(2), 659-681. 미소장
12 Allan, D., Kingdom, M., & Murrin, K. (2002). Sticky Wisdom: Starting a Creative Revolution at Work. London, Capstone Wiley. 미소장
13 Amabile, T. M. (1983).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 393-399. 미소장
14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Westview press. 미소장
15 Creativity 네이버 미소장
16 Berkowitz, W. R., & Avril, G. J. (1969). Short-term Sensory Enrichment and Artistic Creativity. Preceptual & Motor Skills, 28, 275-279. 미소장
17 Boyd, D. (2007). A. Structured Facilitated Team Approach to Innovation.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5, 119-126. 미소장
18 Journal of Marketing 네이버 미소장
19 The role of social anxiousness in group brainstorming. 네이버 미소장
20 Blind variation and selective retention in creative thought as in other knowledge processes. 네이버 미소장
21 Systematicity as a selection constraint in analogical mapping 네이버 미소장
22 Csikszentmihalyi, M. (1999). 16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Handbook of Creativity. 미소장
23 An Extreme-Value Model of Concept Testing 네이버 미소장
24 The Use of Visual Mental Imagery in New Product Design 네이버 미소장
25 Dahl, D. W., & Moreau, P. (2002). The Influence and Value of Analogical Thinking during New Product Ideation. Journal of Marketing, 39, 47-60. 미소장
26 de Bono, E. (1986). The Use of Lateral Thinking. London: Penguin Books. 미소장
27 Productivity loss in brainstorming groups: Toward the solution of a riddle. 네이버 미소장
28 Developing Imagination Through Scamper* 네이버 미소장
29 Creativity and personality: Word association, origence, and psychoticism 네이버 미소장
30 The Use of Focus Groups for Idea Generation: The Effects of Group Size, Acquaintanceship, and Moderator on Response Quantity and Quality 네이버 미소장
31 Value Creation by Toolkits for User Innovation and Design: The Case of the Watch Market 네이버 미소장
32 Idea Generation and the Quality of the Best Idea 네이버 미소장
33 Toward Identifying the Inventive Templates of New Products: A Channeled Ideation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34 Finding your innovation sweet spot. 네이버 미소장
35 Harris, P. (2010). The Truth about Creativity: Rules are there to be Challenged. Pearson UK. 미소장
36 Horowitz, R. (1999). Creative Problem Solving in Engineering Design. Tel-Aviv University. 미소장
37 Social Loafing: A Meta-Analytic Review and Theoretical Integration 네이버 미소장
38 The Effects of Problem Structure and Team Diversity on Brainstorming Effectiveness 네이버 미소장
39 Strategy for a priori Selection of Judges in a Product-Centered Approach to Assessment of Creativity 네이버 미소장
40 Group versus individual performance on tasks requiring ideational proficiency (brainstorming): A review 네이버 미소장
41 PERSONALITY AND THE REALIZATION OF CREATIVE POTENTIAL. 네이버 미소장
42 Constraints on Analogical Inference 네이버 미소장
43 Developmental test of Mednick's associative hierarchies of original thinking. 네이버 미소장
44 Idea Generation, Creativity, and Incentives 네이버 미소장
45 Osborn, A. (196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Thinking. New York: Scribner’s. 미소장
46 Park, Y. T. (2015). Quality Management and Creative Innov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3, 1-10. 미소장
47 Social Influence Processes in Group Brainstorming 네이버 미소장
48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Quantity and Idea-Quality During Ideation 네이버 미소장
49 Reliability and Convergent Validity of Ideational Flexibility as a Function of Academic Achievement 네이버 미소장
50 Focus! Creative Success Is Enjoyed Through Restricted Choice 네이버 미소장
51 Cross-Functional Product Development Teams, Creativity, and the Innovativeness of New Consumer Products 네이버 미소장
52 Singh, J., & Fleming, L. (2010). Lone Inventors as Sources of Break Through: Myth or Reality? Management Science, 55, 41-56. 미소장
53 Stein, M. I. (1975). Stimulating Creativity(Vols. 1 and 2). New York: Academic Press. 미소장
54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55 Wallach, M., & Kogan, N. (1965). Modes of Thinking in Young Childre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미소장
56 Creative Cognition, Conceptual Combination, and the Creative Writing of Stephen R. Donaldson. 네이버 미소장
57 On Structure in the Creative Process: A Quantitative Case-Study of the Creation of Picasso's Guernica 네이버 미소장
58 The Dependent Variable in Research into the Effects of Creativity Support Systems: Quality and Quantity of Idea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