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미국과 유럽, 중국 등 세계 주요국에서는 새로운 경제 혁신의 원동력으로 메이커 운동이 활성화되어 메이커 페어, 메이커 스페이스, 메이커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문화 활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국내 메이커 운동은 정부 주도와 민간의 협력 하에 저변 확대에 따른 대중화와 국내 실정에 맞는 적절한 성장 방향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사회 문화적 발전의 원동력으로써 메이커 운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실태 조사와 이에 따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메이커 운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환경과 특징에 맞는 메이커 운동의 가치를 도출하고, 메이커 운동의 확산과 정착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 조사를 중심으로 메이커 운동의 개념 및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메이커 운동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했다. 둘째, 국내 메이커 운동과 관련된 교육자,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자, 개발 전문가, 해외 연계 메이커까지의 이해관계자(Skakeholder)를 단계에 맞게 대상을 추출하여, 심층 인터뷰 및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셋째, 문헌 연구 및 인터뷰 내용 분석을 통해 국내 메이커 운동의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메이커 운동 관련 키워드를 76개 추출하여, 이를 ‘사람’, ‘공간과 시설’, ‘교육’, ‘비즈니스’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분류 결과 ‘비즈니스’ 관련 키워드가 24.2%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키워드 맵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사람을 중심으로 한, 자기실현, 연결, 즐거움, 수익창출, 교육의 5가지 메이커 운동의 가치와 성장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환경과 특징에 맞는 메이커 운동 지원 정책이 이루어짐으로써, 질적 향상과 발전적인 메이커 문화 운동의 생태계가 구축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maker movement has been started to drive new economic innovation in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SA, Europe, and China. It appears as cultural activities such as maker fairs, maker spaces, and communities of makers. The domestic maker movement needs popularization based on expansion and a appropriate growth direction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led and private sect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support the maker movement as the driving force of socio-cultural development and to establish policie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draw the values of the maker moveme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ker movement and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proliferation and settlement of it. For this research, first, it examined the concepts and trends of the maker movement based on literature survey and analyzed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maker movement. Secondly, after selecting the eligible stakeholders such as the educators, maker space operators, developers, and overseas makers related to domestic maker movement, in-depth interviews and FGI(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Third, this article extracted the insights of the maker movements and determined 76 keywords related to the maker movements. These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People', 'Space and facilities', 'Education', and 'Business' categories. As a result, 'Business' keywords were the most common with 24.2%. A keyword map was derived based on categories. The result suggested the value and growth direction of the five types of the maker movement, such as self-realization, connection, pleasure, profit creation, and education centered on human. It will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building of an expansive ecosystem of the maker movement by supporting of the policies that suit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식품브랜드의 패러디광고 차별성이 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food brand parody advertisement distinctiveness on the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노현지, 구자준 p.159-172

플립러닝을 적용한 디자인교육 수업사례 및 활용방안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o design education : focused on case of 'spatial design issue' class : '공간디자인 이슈'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연, 박혜선, 강은정 p.213-224

바우하우스의 금속 작업, 제품의 기능 구현을 위한 생각과 여건의 진화 = Metal works of Bauhaus, evolving ideas and conditions for functional implementation of products 이주명 p.329-340

남성고객을 위한 한국형 드럭스토어 매장 경험의 요인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nalysis of Korean-style drugstore experience for male consumers 한소영, 고정욱 p.553-569

자연의 유기적 형태 활용을 통한 여성 골프웨어 디자인 제안 = A proposal of female golfwear design by utilizing organic form of nature 형미라, 윤지영, 강혜승 p.597-612

모바일 인디게임의 특이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ingularity of mobile indie game 온유연, 조동민 p.293-304

한⋅중 전통 목가구의 비례 연구 = A study on the ratios of Korean & Chinese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 focusing on the cabinets of Joseon Dynasty in Korea and Ming & Qing Dynasties in China : 조선시대와 (중국) 명⋅청시기 장(欌)가구를 중심으로 이정, 이성원 p.315-328

영화 <아가씨>의 내러티브에 영향을 미치는 미술적 요소 분석 = Analysis of the art elements influencing on the narrative of the film <The Handmaiden> 진영선, 최병길 p.501-520

조선의 지도에서 보이는 정보 시각화에 관한 연구 = Information visualization on maps of the Joseon Dynasty 강명지 p.1-8

살롱의 콘텐츠 및 공간 요소 변화 = Of the content and spatial elements of salons : with a focus on salons as daily culture spaces : 일상문화공간의 살롱 중심으로 강현정, 이진민, 장미정 p.9-23

미술대학 재학생의 다중지능 성향과 전공 만족도 및 과제수행 성과인식 간의 관계 = The distribution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ajor satisfaction and work accomplishment for design and arts college students 김예림, 김진희, 이철영 p.83-92

브랜드 보호를 위한 보안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security design for brand protection 남세현, 김맹호 p.135-157

초등학생들의 온·오프라인 화장 정보와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akeup information and utilization of elementary students online and offline 이호정, 오희선 p.357-368

중국 의료미용 수요자를 위한 전문병원 서비스 개발 방향 연구 = Study on development of special hospital service for consumers of medical beauty treatment in China 정원, 이명희 p.395-407

사용자 중심의 공간 가변형 식기 건조대 디자인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variable draining board in user-oriented space 조현성, 강범규 p.469-484

광고의 이성소구와 감성소구 메시지 성격에 따른 수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eptor response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of rationality and emotional appeal messages in advertising 차인혜, 김보연 p.537-551

크리스티 맷슨의 자카드 위빙에 적용된 일렉트로닉 텍스타일 연구 = A study on electronic textiles in Christy Matson's jacquard weaving 김종옥 p.93-106

코믹스의 시각적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 The strategy of visual narrative in comics : focusing on Chris Ware's comics : 크리스 웨어의 코믹스를 중심으로 박민주 p.189-199

조지 폴리아의 문제 해결 과정에 의한 한국 띠 문양 생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reating Korean frieze patterns through George Polya's problem solving process 신실라 p.239-249

키치가 주는 안락함과 소외감을 통한 미적 경험 =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comfort and alienation of kitsch : focused on "psychology of kitsch" by Abraham Moles : 아브라함 몰르의 "키치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정새해, 이현진 p.381-394

잡지 『개벽』의 근대적 시각성 =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 Kai Pyuk through the cover and the body text images : 표지와 본문의 이미지 사용에 드러난 전통과 근대의 교섭을 중심으로 조현신 p.486-500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동경(銅鏡)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bronze mirror from Three Kingdom Period and Unified Silla 홍세아 p.613-622

좌파적 정치적 목적성을 가진 존 하트필드의 포토몽타주 연구 = A study on John Heartfield's photomontage with left-wing political objectives : focused on works published in the pages of AIZ representing the orthodox left : 정통 좌파를 대변하는 AIZ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오병희 p.263-275

빛에 반응하는 타이포그래피 형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hape of typography responses to light 전은선, 김성계 p.369-380

경상남도 홈페이지에 표기된 18개 시, 군 자연 상징물 현황분석 = Analysis current status of nature symbol on the homepage of the on 18 cities and conties Gyeongsangnam-do 김홍중 p.119-133

4차 산업혁명시대, 산업디자인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대안적 방법론 요소 연구 = Study of alternative theory as the paradigm change of industrial desig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based on a convergence between QFD and service design which part of product development process of manufacturing : 제조업 상품개발 프로세스 중 QFD와 서비스디자인 융합 중심으로 진현오, 유상욱 p.521-535

사물의 문화, 디자인, 그리고 과학·기술의 상호구성성 이해 = Understanding the co-constructivity of culture of artifacts, design, and science & technology : focusing on understanding actor network theory :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이해를 중심으로 민수홍 p.173-187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실기수업에 관한 연구 = The research of elementary school's craft design with ceramic materials 안재영 p.251-261

조선시대 전통머리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desig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hairstyles in the Joseon Dynasty 우미옥, 박선이 p.305-314

질 샌더(Jil Sander)의 비대칭 패션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asymmetry fashion design by Jill Sander 허성아 p.571-583

국내 메이커 운동의 가치 및 발전 방향 분석 = Analysis of values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domestic maker movement 권우정, 백윤철, 권지은 p.35-48

인물 벽화 협동제작의 교육적 의미 =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llaborative mural portrait painting 박영대 p.201-212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 디자인 경향성 분석 = Analysis of outside mirror design trend in automotive 서혁준, 강지훈 p.225-237

동시대 예술에서 '디지털 이후'의 진단과 사유들 = Analyses and reflections on "after digital" in contemporary art scene : focused on post-Internet and post-digital : 포스트인터넷과 포스트디지털을 중심으로 오준호 p.277-291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음파 증폭 무지향성 스피커 구조 및 조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search of core structure and form for nondirectional sound amplification speaker through 3D printing technology 조성주, 조재영, 임창환, 정의영 p.425-436

초등학교 언플러그드 코딩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unplugged cod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허영 p.585-596

서책형⋅디지털 교과서 캐릭터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characters of the printed and digital textbooks focusing on domestic and foreig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 국내외 초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가이, 문철 p.49-60

북한 포스터의 슬로건과 이미지의 조응 관계 방식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logans and images in North Korean posters 김소연 p.61-70

하이브리드텍스트에서의 카니발 그로데스크적 모순표현에 관한 연구 = Inconsistency to carnival grotesque in hybrid text 김영호 p.71-82

역사문헌기록 속의 난방관련 단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eating related vocabulary as found in historical records 조원석, 문정인 p.437-450

서울형 도시 재생 활성화 대상지의 장소성 빅 데이터 분석 = Urban regeneration of Seoul placeness big data analysis 조윤설, 조택연 p.451-468

포스트디지털 시대의 공공미술 특징연구 = A study on public art in the post-digital era : focused on overseas cases that communicate with local members through digital media : 디지털매체로 지역구성원과 소통하는 해외사례 중심으로 고경호, 김병주 p.25-33

시각디자인 석사학위과정에서 작품논문을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 = The system of graduate studio for thesis project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이주훈 p.341-355

문화관광형 전통시장의 내적 관광매력 적합성에 관한 옥외간판 연구 = A study on outdoor signboard of suitability of tourist attractivenes[s] in culture tourism oriented traditional marketplace : focused on Busan Kukje Market : 부산 국제시장 옥외간판을 중심으로 정이숙, 홍동식 p.409-424

복합문화공간에 나타난 기호학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in the complex culture space : focusing on the semiotics of Peirce : 퍼스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김지수, 윤재은 p.107-118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박기영, 『제 4차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경쟁력』, 한울아카데미, 2017. 미소장
2 박영숙, 『메이커의 시대』, 한국경제신문, 2015. 미소장
3 마크해치, 『메이커 운동선언』, 한빛미디어, 2014. 미소장
4 강인애, 김홍순,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가치탐색」, 한국컨텐츠학회, 2017. 미소장
5 김소영, 정유진, 황연숙, 「메이커 스페이스 구성 및 이용실태에 관한연구」,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미소장
6 백동명, 함진호, 이범철, 「메이커 운동과 라이프 스타일 변화」,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5.11. 미소장
7 변문경, 최인수, 「제 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형 메이커 교육의 방향성 탐색」, 공학교육연구, 2018. 미소장
8 신현우, 이광석, 「한국의 메이커 문화 동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인문콘텐츠 제45호, 2017. 미소장
9 유재필,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OSHW)동향 및 전망」,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08. 미소장
10 이승철, 전용주, 김태영, 「메이커 운동의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메이커 교육 도입 방향 제안」, 한국교원대학교, 2017. 미소장
11 이재호, 진석언, 신현경, 「ICT기반 창의인재상 정립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2016. 미소장
12 정연승, 「메이커(Maker), 소비에서 창조로 만들기 시장에서 찾은 비즈니스 시사점」,디지에코, 2015. 미소장
13 ICT DIY 정책과 메이커생태계 구축을 위한 표준화 네이버 미소장
14 중소벤처기업부, 「참여형 혁신창업기반 구축을 위한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확산방안」, 2017.11. 미소장
15 권춘오, ‘새로운 산업혁명 메이커 운동’, Donga Business Review, 2013년 4월호. 미소장
16 기술과 혁신, ‘선전 메이커 운동과 스타트업 동향’, 2018년 05월호. 미소장
17 디지에코, ‘메이커(Maker), 소비에서 창조로 만들기 시장에서 찾은 비즈니스 시사점’, 2015.07. 미소장
18 미래과학창조부, ‘메이커 운동 활성화 추진계획’, 2016.09. 미소장
19 민주연구원, ‘한국형 메이커스페이스 구축 현황과 확산 방안 간담회’, 2018. 미소장
20 융합연구정책센터, ‘미래를 위한 움직임, 메이커 무브먼트’, 2018. vol.125. 미소장
21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제4차 산업혁명시대, 국내외 메이커 스페이스 동향’, 2017. 미소장
2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조업 협업 혁신을 위한 메이커 스페이스 활성화 방안’, 2016.11. 미소장
23 한국과학창의재단, ‘국내 메이커 운동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8.03. 미소장
24 한국과학창의재단, ‘국내외 메이커 운동사례조사 및 국내 메이커 문화 활성화 방안 정책 연구’, 2014. 미소장
25 한국과학창의재단, ‘메이커 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 2016.11. 미소장
26 한국과학창의재단, ‘미국 메이커 운동의 현황분석 및 시사점’, 2016.07. 미소장
27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형 메이커 운동 활성화 3개년 수립을 위한 활성화 정책’, 2015. 미소장
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분석’, 2015.01. 미소장
29 Kotra 해외시장뉴스, ‘미국 메이커 무브먼트와 DIY산업 동향’, 2014. 미소장
30 ASSE, ‘Envisioning the Future of the Maker Movement Summit Report’, 2016. 미소장
31 Enterprise Nation, ‘Makers and Shakers The rise of the maker movement’, 2016. 미소장
32 The Maker Movement 네이버 미소장
33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34 국제신문, 2017년 11월 29일자 ‘민간주도 자율적 메이커 생태계 필요’. 미소장
35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 2017년 8월 24일자 ‘4차 산업혁명시대 혁신가 양성을 위한 메이커 교육과 메이커스페이스’. 미소장
36 글로벌이코노믹, 2015년 8월 26일자 ‘[벤처칼럼] ICT 메이커 운동과 제조업’. 미소장
37 디지털타임스, 2016년 9월 12일자 ‘[포럼] 비즈니스, `메이커 정신` 가져야’. 미소장
38 연합뉴스, 2017년 10월 26일자 ‘최수규 차관 "창의적 제품·서비스 제작자에 382억원 지원’. 미소장
39 한국일보, 2016년 7월 7일자 ‘ 만드는 사람들의 시대, “숨은 제작 본능 맘껏 펼쳐라”,메이커 스페이스는만능공장’. 미소장
40 The science times, 2018년 10월 4일자, ‘메이커 운동, 교육과 경제 바꾼다.’. 미소장
41 https://obamawhitehouse.archives.gov/the-press-office/2015/06/12/fact-sheet-new-commitmen ts-support-president%E2%80%99s-nation-makers-initiative 미소장
42 https://makerfaire.com/ 미소장
43 https://makers.kakao.com/ 미소장
44 https://medium.com/@ian.cole/the-third-wave-of-the-maker-movement-f754f5a899c6 미소장
45 https://www.ckl.or.kr/ 미소장
46 http://www.ictdiy.org/wp/ 미소장
47 https://www.ideaall.net/ 미소장
48 https://www.makeall.com/ 미소장
49 http://www.makered.or.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