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대학의 중국어학과 2학년 2학기 때의 동화를 활용한《중국어강독》수업을 통해 얻은 생각을 바탕으로 쓰여진 것이다. 논문에서 우리는 전통적인 문법-번역식 교육방법에서 벗어나 ‘총체적인 언어접근법’을 활용하여 읽기 능력을 중심으로 쓰기, 말하기, 듣기 등을 자연스럽고 쉬운 부분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그리고, 학생들이 보다 즐겁게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중국어’ 수업의 교육적 의미와 방법에 대해 논의했고, 수업의 단계와 교수학습 방법을 소개하였다. 다시 말해서 동화책을 활용하여 텍스트의 구조, 어휘와 문법 설명, 텍스트에 대한 질문, 단어의 배열, 줄거리에 맞게 문장 순서 정하기, 그림을 보면서 줄거리를 이해하고 요약하기 등의 방법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presented a course plan based on the ideas I gained from conducting a lecture on Chinese language for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Chinese language department at a four-year university. In the paper, we sought to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grammar-translation teaching style and find ways for students to enjoy learning without difficulty in all areas by using the 'total language approach' such as writing,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through reading skills.

Therefore,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expression of the 'Chinese Languages' class, and introduced the class stages and methods of progress. In other words, they suggested introduction of text plots, explanation of vocabulary and grammar, presentation of original text, questions about text, arrangement of words, ordering sentences to fit the plot, and understanding the plot while looking at the pic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 민간고사 중 용고사의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 박완호 p.97-125

中國語의 複數 表現法과 元代 常用 複數標志 '每'의 語法化 硏究 : ≪忠義直言≫을 중심으로 이태수 p.49-75

한중일 지방정부 교류협력과 동북아 평화 김관옥 p.223-239

도가와 지식권력 : 장자의 지식론을 중심으로 윤지원 p.241-254

중국 민담 속 징벌과 보상의 문화적 의미 : ≪요재지이聊齋志異≫를 중심으로 이근석 p.127-153

타이완(臺灣)의 지역학 연구현황과 과제 신진식 p.279-299

王士禎의 시가 창작과 이론에 대한 王士祿의 영향 考察 이동훈 p.155-179

개혁개방 이전, 중국 대외원조의 성격에 대한 고찰 : 마오쩌둥의 역할을 중심으로 최승현 p.203-222

한중 현대사회문화의 이해와 중국어문화교육 : 영화 "심플라이프"를 활용하여 정인숙 p.301-321

唐宋시기 '去'와 '往'의 비교 考察 정주영 p.19-47

中國 姻戚呼稱 考察 : 同壻관계 호칭을 중심으로 유현아 p.77-95

동화를 활용한 ≪중국어강독≫수업 방안 연구 : 대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황지유 p.255-277

정치유학의 사상연원과 쟁점 : 강유위康有爲와 장경蔣慶을 중심으로 이연도 p.323-340

이택후 서체중용론의 정치사상적 함의와 기술 철학적 토대 황종원 p.341-363

중국 코퍼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적합성 연구 : 'ge~gou'를 중심으로 박영종 p.1-18

≪黃鶯兒≫에 관한 서지적 분석 서연주 p.181-202

羅近溪의 천도론 연구 조원일 p.365-381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차이홍 아이두爱读1,2,3》, 서울: 교원출판사, 2011, 2013, 2015. 미소장
2 교육부,《고등학교 외국어과 교육과정 해설(Ⅱ)》,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미소장
3 신현숙, 이정희,《어린이 중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성남: 선학사, 2005. 미소장
4 王海峰저, 최우석, 박원기 역, 《한국인을위한중국어교육법》, 서울: 박이정, 2014. 미소장
5 조규락, 김선연 공저,《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2007. 미소장
6 국립특수교육원, 《특수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도서출판하우, 2009. 미소장
7 김영미,《동화로 가르치는 초등영어》, 서울: 문진미디어, 1997. 미소장
8 Krashen 저, 김윤경 역,《외국어 교육 이론과 실제: 학습인가 습득인가?》, 서울: 한국문화사, 2000. 미소장
9 윤현선, 《중국어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인문계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10 이동륜,《중국어 조기교육 방안 연구》,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미소장
11 전미영,《이야기를 활용한 중국어 교수·학습 모형 연구-초등 특기·적성 교육 중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미소장
12 강윤영,《이야기 자료를 활용한 중국어 수업 방안 연구-고등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5. 미소장
13 이미영,《동화를 활용한 중국어 교수 학습 지도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14 류지영,《중국어 읽기 과제별 문항 분석 및 설계: 초급 중국어 읽기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미소장
15 纪阳,《对外汉语中中国民间童话教学—以俄罗斯中级汉语学习者为例》,四川师范大学, 硕士, 2016. 미소장
16 kimkyung-hee,《童话式对外汉语教材编写初探—以韩国儿童为例》,浙江大学,硕士, 201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