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공유대학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consortium of universities : K university college of healing bio sciences consortium case : K대학 힐링바이오공유대학을 중심으로 / 노영희 ; 장로사 ; 곽우정 ; 노지윤 ; 신영지 1

Abstract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1. 공유대학 3

2. 공유대학의 사례 4

3. 힐링바이오공유대학 7

4. 선행연구 9

III. 연구설계 및 방법론 10

1. 연구질문 10

2. 연구방법 및 절차 10

IV. 설문 분석 결과 12

1. 공유대학에 대한 만족도 12

2.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14

3. 공유대학의 교육 연계 18

4. 공유대학의 비교과 활동 20

5. 공유대학 홍보 방안 및 전략 21

6. 시사점 22

V. 논의 및 정책적 함의 25

1. 교육 인프라 개선 25

2. 연합형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26

3. 공유대학 홍보 및 교류 확산 27

4. 정책적 함의 28

VI. 결론 및 제언 29

1. 결론 29

2. 제언 30

참고문헌 31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consortium of universities and to search for ways to promote sustainable operation in the future. As a result, the students of College of Healing Bio Sciences Consortium satisfied with the overall operation of consortium of universities. Also it was found that the curriculums opened in the consortium of universities were found to be satisfactory in terms of being beneficial, and reflecting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but they feel unsatisfactory in terms of diversity.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teaching was lectur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nkage between campuses was high, but there was almost no actual campus-to-campus exchange has been occurred. Based on this, proposing the activation strategie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by building a lecture system based 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trengthening education services, and expanding the number of subjects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goals of each major. Second,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a cooperative program through offline class expansion and a association club.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consortium of universities and spread exchanges such as smart marketing, establishing various publicity strategy plans, and spreading links through platform shar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ssociation between oral care habits and periodontal diseases using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among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diabets = 제6기(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65세 이상 당뇨병 환자의 구강관리 행태와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Su-Yeon Hwang, Jung-Eun Park, Jong-Hwa Jang p.123-136

보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반기결산 적용 및 도입에 관한 연구 = The introduction of semi-annual financial statements in the Korean government 정성호, 김봉환 p.137-158

보기
중앙정부의 재난안전예산 투자 추세와 예산배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ends and allocation of the disaster safety budget : focusing on FY 2015-2019 : FY 2015-2019를 중심으로 정창훈, 노성철, 임충혁 p.45-73

보기
통일을 대비한 도(道)의 지위 및 기능 재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 An study of reestablishment device in status and function of province to prepare unification 신윤창, 손진아 p.191-213

보기
육아휴직 대체인력뱅크 제도 개선방안 = Improvement plan for substitute human resources pool bank system on parental leave : focused on local governments :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손화정, 김대욱 p.21-44

보기
The continuation, modification or abolition of school voucher in urban area= 도시지역 학교 바우처 제도의 개선을 대한 사례 연구 : 미국 Cleveland 사례를 중심으로 : case study of Cleveland scholarship and tutoring (CTSD) Suk Joon Hwang p.1-19

보기
공공기관 업무 중요도 분석과 함의 = AHP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public institutions affairs : focusing on Jeollabukdo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undation affairs : 전라북도 인재육상재단 업무를 중심으로 최낙관, 전영옥, 주상현 p.101-122

보기
공유대학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consortium of universities : K university college of healing bio sciences consortium case : K대학 힐링바이오공유대학을 중심으로 노영희, 장로사, 곽우정, 노지윤, 신영지 p.159-189

보기
대학생의 개인특성과 효책임감이 노인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ilial responsibility on ageism behavior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generational family solidarity : 세대간 가족결속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손진아 p.75-99

보기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건강, 삶의 질과 OHIP-14와의 관련성 =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OHIP-14 in industrial workers 이수정, 이경하, 장종화 p.215-227

보기

참고문헌 (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갑원. (2015). 융합인재교육의 원류, 변천 및 그 정체성의 탐색.「영재와 영재교육」, 14(2): 5-29. 미소장
2 권혁, 임진혁. (2018). 대학생의 전공인식도가 전공만족도 및 4차 산업혁명 연계전공 선택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건국대학교 힐링바이오공유대학 사례.「인문사회21」, 9(5): 1369-1383. 미소장
3 김누리 외. (2017).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창의력교육연구」, 17(4): 101-121. 미소장
4 김영미. (2018). 4차 산업혁명 생태계와 대학의 변화.「지역정보화」, 109: 52-53. 미소장
5 유명희 외. (2016).「융합바이오 기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전략 도출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소장
6 이희용, 서민규, 김재득. (2016). 국내 대학의 인문, 사회 및 예술 간 융합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문화와 융합」, 38(4): 51-88. 미소장
7 허영주. (2013). 대학 융합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탐색.「교육종합연구」, 11(1): 45-79. 미소장
8 홍병선. (2016). 현행 융합교육에 대한 진단과 융합역량 제고 방안. 「교양교육연구」, 10(4): 13-3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