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우리나라와 로마 제국에서의 기독교는 엄청난 시공간 및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인 면을 많이 보이고 있다. 그리스도교가 전래되면서 많은 오해와 고난을 받으면서 성장하였다는 점, 각종 박해와 순교에도 불구하고 결국 주류 종교로 자리 잡게 되었다는 점, 그와 더불어 변질되기 시작하였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로마 제국과 한국의 순교사 역시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 글은 그 공통적인 면을 찾아보려 한 것이다. 먼저 박해당하는 원인이 매우 닮았는데, 두 곳 모두 지배자 숭배 거부 혹은 당시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복종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박해를 심하게 받았다. 즉 로마 황제 숭배 거부로 인하여 박해와 순교를 당하였던 그리스도교도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도 일제의 일왕 숭배 거부에 따른 박해와 순교를 당하였던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민족주의적 요소가 강하게 결합되어서 나타났다는 점은 차이점이 될 것이다. 또한 박해 혹은 순교를 당할 경우, 많은 변절자들도 나왔지만, 순교를 기쁘게 받아들였다는 점, 그들의 내면에 예수 그리스도 및 부활에 대한 강한 신앙의 토대가 있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당시 사회적 약자로 치부되던 여성의 역할이 양 사회 모두에서 두드러졌는데, 이 글은 로마 시대의 순교자 블란디나와 페르페투아와 우리나라의 문준경을 비교하면서 이 점을 살펴보고 있다.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accounts of martyrdom within the ancient Roman empire with those of S. Kore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ile these two societies kept far away from each other, spatially as well as chronologically, placed within very different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s, acts of martyrdom within each society have occurred and remarkable similarities can be traced between them.

Foremost, the martyrs of both societies were charged with the crime of "refusing ruler-worship". The Romans reproached the Christians on the charge of refusing emperor-worship, and the Japanese convicted Korean Christians of their denial of worshiping the Japanese king as an earthly god.

Also, within both societies Christians put up with severe torture and execution for the cause of Jesus Christ, and furthermore they welcomed their physical death expecting resurrection after death.

Research shows that in both societies, the women, who had generally been despise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se acts of martyrdom. Examples being, the cases of Blandina & Perpetua in the Roman Empire and that of Jun-Kyung Mun in Korea are comparatively discussed on the influences they were able to pass on to the later generations.

In conclusion, seamlessl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he Christians of both societies were made to suffer and were ultimate martyred by the government. These acts were almost exclusively carried out under the aforementioned charges of "refusing ruler-worship" . By way of spiritual conviction these brave souls held fast to their faith in the God and in Jesus Christ while looking towards their resurrection after death.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전쟁과 한국 성결교회 그리고 순교자 문준경 = Korean war and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 Depending on Martyrdom of intern Pastor Jun-Kyoung Moon 주승민 pp.9-52

The Commonalities and Divergences between Asian Theology and Latin American Theology= 아시아 신학과 라틴아메리카 신학의 공통점과 차이점 : 해방의 의미를 중심으로 : Focused on the Notion of Liberation Park, Sam Kyung pp.233-256

예배음악의 성서적 기원연구 = A Study of Liturgical Music from Biblical Origin : Church Music? or Christian Music? : 교회음악인가, 기독교 음악인가 양정식 pp.161-194

교회개혁을 위한 신학적 성찰 = A theological reflection on church reformation : centering on the identity and relevance of church : 교회의 정체성과 적실성을 중심으로 백충현 p.87-118

교회의 사회적 영성 회복 = Recovering the social spirituality of the church : focusing on the public worship service as a socializing discipline : 공동예배를 통한 사회화 훈련을 중심으로 허도화 p.195-232

고대 로마제국 순교와 20세기 한국의 순교사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ilarities of martyrdom in the ancient Roman empire and S. Kore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최혜영 p.53-85

존 롤즈(John Rawls)의 정치철학의 형성에서 기독교적 유산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Christian legacies in the development of Rawls's political philosophy : 후기 롤즈의 『만민법』과 청년 롤즈의 "죄와 믿음의 의미에 대한 짧은 탐구"의 비교 김기호 p.119-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