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김인숙의 (여성)노동소설에 나타난 '냉전 여성주의'의 양상 = Intersectionality of Cold War-feminism : in case of Kim Insook's woman-labor narratives | 김복순 | p.35-73 | ||
송영의 역사극 <申思任當>의 친일극 논쟁 연구 = A study on the pro-Japanese controversy in Song Young's historical play <Shindaimdang> | 김병길 | p.5-33 |
|
|
『헝거게임』시리즈 속 젠더와 관련한 여주인공의 허구적 주체성 연구 = A study on the heroine's fictional subjectivity relating to gender in The Hunger Games series | 김진옥 | p.75-108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인숙 (1987). 『79-80:겨울과 봄 사이 1-3』. 서울: 세계. | 미소장 |
2 | 김인숙 (1989a). 『함께 걷는 길』. 서울: 세계. | 미소장 |
3 | 김인숙 (1989b). “나는 이렇게 쓴다”. 『문학예술운동』 3(봄), 301-309. | 미소장 |
4 | 김인숙 (1995). “추억일 수 없는 현재—80년대와 나의 문학”. 『역사비평』 30, 169-173. | 미소장 |
5 | 강인순 (2001).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2. 서울: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6 | 강준만 외 (1997). 『레드 콤플렉스』. 서울: 삼인. | 미소장 |
7 | 구모룡⋅백진기⋅임규찬⋅조만영⋅홍정선 (1989). “현 단계 민족문학의 상황과 쟁점”. 『창작과 비평』 17(2), 6-54. | 미소장 |
8 | 김남옥 (2010). “386세대 경험의 문학적 형상화: 김인숙, 공지영을 중심으로”. 『사회와 이론』 16, 271-303. | 미소장 |
9 | 김남일 (1995). “30대 문인기행 7/김인숙”. 『월간 말』 107, 192-197. | 미소장 |
10 | 김득중 (2009). 『빨갱이의 탄생』. 서울: 도서출판 선인. | 미소장 |
11 | 김명인 (1987). “지식인 문학의 위기와 새로운 민족문학의 구상”. 황석영 등 공저. 『전환기의 민족문학』, 62-109. 서울: 풀빛. | 미소장 |
12 | 김명인 (1989). “먼저 전형에 대해 고민하자”. 『창작과 비평』 66, 172-190. | 미소장 |
13 | 김명인 (1990a). “김인숙의 단편 「함께 걷는 길」”. 『희망의 문학』, 363-364. 서울: 풀빛. | 미소장 |
14 | 김명인 (1990b). 『희망의 문학』. 서울: 풀빛. | 미소장 |
15 | 김명인 (1993). “실천적 리얼리즘론을 위하여-8-90년대 리얼리즘론의 반성”. 『실천문학』 29, 242-257. | 미소장 |
16 | 김병익 (1988). “노동문학과 노동문학”. 『문학과 사회』 1-2, 505-524. | 미소장 |
17 | 김복순 (2003). “70년대 소설”.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엮음. 『한국현대예술사대계 4』, 47-88. 서울: 시공아트. | 미소장 |
18 | 김복순 (2012). “냉전 미학의 서사욕망과 대중감성의 젠더”. 『여성문학연구』 27, 107-145. | 미소장 |
19 | 김복순 (2013a). “학술교양의 사상형식과 ‘반공 로컬-냉전지(知)’의 젠더”. 『여성문학연구』 29, 73-125. | 미소장 |
20 | 김복순 (2013b). “신식민지 시기 반미소설의 계보와 서사원리로서의 젠더–80년대이후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41(3), 173-210. | 미소장 |
21 | 김복순 (2018). “여성-노동소설의 일 계보”. 『여성문학연구』 43, 109-152. | 미소장 |
22 | 김영선 (2018). “1980년대 여성운동의 새로운 여성주체 기획과 주부운동론”. 『여성과 역사』 28, 241-266. | 미소장 |
23 | 김원⋅신병현⋅심성보⋅이황현아⋅이희랑 (2008). 『사라진 정치의 장소들』. 서울:천권의 책. | 미소장 |
24 | 김은하 (2018). “‘살아남은 자’의 드라마”. 권보드래 외.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310-339. 서울: 민음사. | 미소장 |
25 | 김학재 (2015). 『판문점 체제의 기원』. 서울: 후마니타스. | 미소장 |
26 | 노중기 (1997). “6월민주화항쟁과 노동자대투쟁”. 학술단체협의회 편. 『6월민주항쟁과 한국사회 10년』 1, 183-222. 서울: 당대. | 미소장 |
27 | 류보선 (1996). “희망을 향한, 멀고도 먼 길”. 『창작과 비평』 24(3), 1-16. | 미소장 |
28 | 민족민주운동연구소 여성분과 (1990). “80년대 여성운동과 90년대 여성운동의 전망 2”. 『정세연구』 10, 46-75. | 미소장 |
29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0). 『한국민주화운동사 3』. 파주:돌베개. | 미소장 |
30 | 박찬표 (2007). 『한국의 국가형성과 민주주의』. 서울: 후마니타스. | 미소장 |
31 | 서동진 (2012). “노동자 없는 노동의 세계”. 『황해문화』 77, 99-118. | 미소장 |
32 | 석정남 (1988). “불신시대”. 『노동문학』 1, 280-305. | 미소장 |
33 | 신승엽 (1993). “성찰의 깊이와 기억의 섬세함”. 『창작과 비평』 21(4), 82-109. | 미소장 |
34 | 신명아 (2012). “랑시에르의 민주주의와 인민: 지성적 평등과 『프롤레타리아의밤』”. 『비평과 이론』 17(2), 147-175. | 미소장 |
35 | 심산 (1989). “소설 『79-80』 공동창작 보고서”. 『문학예술운동』 2, 193-119. | 미소장 |
36 | 심정인 (1985). “여성운동의 방향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 『여성』 1, 200-255. | 미소장 |
37 | 오자은 (2017). “전환기의 내면, 진정성의 분화-김인숙의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62, 285-318. | 미소장 |
38 | 유경순 (2015). 『1980년대, 변혁의 시간 전환의 기록 1-2』. 서울: 봄날의 박씨. | 미소장 |
39 | 이남희 (2007). Making of minjung : democracy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South Korea. 유리⋅이경희 역 (2015). 『민중 만들기: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재현의 정치학』. 서울: 후마니타스. | 미소장 |
40 | 유리⋅이경희 역 (2015). 『민중 만들기: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재현의 정치학』. 서울: 후마니타스. | 미소장 |
41 | 이명호⋅김희숙⋅김양선 (1990). “여성해방문학론에서 본 80년대의 문학”. 『창작과비평』 67, 48-74. | 미소장 |
42 | 이선옥 (2018). “1980년대 여성운동 잡지와 문학논쟁의 의미”. 『여성문학연구』 43, 7-36. | 미소장 |
43 | 이옥지 (2001).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1』. 서울: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44 | 이옥지 (2004). “1970년대의 한국 여성노동자운동: ‘왜 여성노동자들이 노동운동의전면에 나서게 되었는가’를 중심으로”. 김명혜 편역. 『여성과 민주화운동』, 225-282. 서울: 경인문화사. | 미소장 |
45 | 이혜령 (2015). “포스트 80년대, 비범한 나날들의 기억-신경숙과 김인숙의 소설을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39, 515-544. | 미소장 |
46 | 이혜령 (2016a). “빛나는 성좌들-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보』 47, 409-454. | 미소장 |
47 | 이혜령 (2016b).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의 초상”. 『동방학지』 175, 295-320. | 미소장 |
48 | 이효재 (1985). 『분단시대의 사회학』. 서울: 한길사. | 미소장 |
49 | 장홍근 (1999). “한국노동체제의 전환과정에 관한 연구(1987-1997)”.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0 | ‘학출’의 삶을 통해 1980년대를 역사화하다 : 유경순, 『1980년대 변혁의 시간 전환의 기록』 1, 2 (봄날의박씨, 2015) ![]() |
미소장 |
51 | '교차성'은 차별을 설명하는 유용한 개념인가? | 소장 |
52 | 조정환 (1988). “민주주의 민족문학의 현단계와 문학적 현실주의의 전망”. 『창작과비평』 61, 162-187. | 미소장 |
53 | 조형 (1986). “인간해방운동의 구조-성과 계급”. 『또 하나의 문화』 2, 71-81. | 미소장 |
54 | 조희연 (2003). 『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서울: 함께읽는책. | 미소장 |
55 | 주형일 (2016). 『자크 랑시에르와 해방된 주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56 | 천정환 (2017). “세기를 건너온 한국 노동소설: 주체와 노동과정에 대한 서사론”. 『반교어문연구』 46, 127-170. | 미소장 |
57 | 채호석 (1993). “여성문제의 자립화와 리얼리즘의 위기”. 『실천문학』 32, 394-412. | 미소장 |
58 | 최원식 (1988). “광주항쟁의 소설화”. 『창작과 비평』 16(2), 286-293. | 미소장 |
59 | 편집부 (1985). “좌담 ‘또 하나의 문화’를 펴내며”. 『또하나의 문화』 1, 13-73. 서울:평민사. | 미소장 |
60 | 한상진 (1988). “‘민중’과 ‘중산층’의 귀속의식에 관한 연구”. 一浪告永復敎授華甲紀念論叢刊行委員會 편. 『사회운동과 사회계급』, 267-298. 서울: 전예원. | 미소장 |
61 | 한우리⋅김보명⋅나영⋅황주영 (2018). 『교차성×페미니즘』. 서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 미소장 |
62 | 허필숙 (1992). “Shakespeare 극형식-복합적 구성과 스타일의 혼합”.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 미소장 |
63 | 홍두승 (2005). 『한국의 중산층』.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64 | 홍석률 (2015). “냉전의 예외와 규칙”. 『역사비평』 110, 112-135. | 미소장 |
65 | 휴즈, 테어도르 (2005). “냉전세계질서 속에서의 해방공간”. 『한국문학연구』 28, 3-30. | 미소장 |
66 | Auerbach, E. (1946). Mimesis. 김우창⋅유종호 옮김 (2017). 『미메시스』. 서울: 민음사. | 미소장 |
67 | Balibar, E. (1997). La Crainte des masses : politique et philosophie avant et après Marx. 최원⋅서관모 옮김 (2007). 「마르크스주의에서 이데올로기의 동요」. 『대중들의 공포』. 서울: 도서출판b. | 미소장 |
68 | Barraclough, R. (2012). Factory girl literature. 김원⋅노지승 역. (2017). 『여공문학』. 서울: 후마니타스. | 미소장 |
69 | Mapping the Margins: Intersectionality, Identity Politics, and Violence against Women of Color ![]() |
미소장 |
70 | Gorz, A. (1980). Adieux au prolétariat. 이현웅 옮김 (2011).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파주: 생각의 나무. | 미소장 |
71 | Koo, Hagen (2001). Korean workers : the culture and politics of class formation. 신광영 역(2002). 『한국노동계급의 형성』. 서울: 창작과비평사. | 미소장 |
72 | Rancière, J. (1995). La Mésenente. 진태원 옮김 (2015). 『불화』. 서울: 길. | 미소장 |
73 | Rancière, J. (2000). Le partage du sensible : esthétique et politique. 오윤성 옮김 (2008). 『감성의 분할』. 서울: 비. | 미소장 |
74 | Rancière, J. (2012). Proletarian Nights: The Workers Dream in Nineteenth-Century France. London: Random House. | 미소장 |
75 | Rancière, J. (2014). La methode de l'egalite. Paris: Fayard. (ジャック·ランシエ-ル. 『平等の方法』. 航思社). | 미소장 |
76 | Yoneyama, L. (2016). Cold War ruins,: Transpacific Critique of American Justice and Japanese War Crimes.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