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종경제' 모든 관심은 혐오로 통한다
|
반기웅
|
p.12-15
|
|
|
|
'악명' 인플루언서도 귀한 몸? : 혐오로 인지도 높으면 광고에도 등장… 기업과 연결해주는 플랫폼도 생겨
|
반기웅
|
p.16-17
|
|
|
|
"디지털 셀렙이 될 확률은 0.001%" : 사회비평가 박권일씨, SNS나 1인 방송의 혐오 확산 우려 [인터뷰]
|
박권일 [인터뷰이] ; 반기웅 [취재]
|
p.18-19
|
|
|
|
지하에 사는 아이들에게 '햇볕정책'을 : 아동 10명 중 1명은 최저 주거환경… 유엔 아동권리협약에도 주택지원 명시
|
김태훈
|
p.20-21
|
|
|
|
사는 집 평수 따라 "끼리끼리 논다" : 어릴 때부터 배우는 집의 계급 논리… 자라면서 점차 좌절감 쌓여
|
김태훈
|
p.22-23
|
|
|
|
'사랑하고 존경했던' 7가지 일화 : 김대중·이희호의 아름다운 동행
|
김택근
|
p.24-25
|
|
|
|
황교안, 중도층 마음 얻을 수 있나 : 민생투쟁 대장정 끝내고 젊은층·중도 구애 행보… 당내 리더십은 의문
|
정용인
|
p.26-28
|
|
|
|
정치권 역사 논쟁 왜 자주 벌이나 : 문 대통령 김원봉 언급 일파만파… 청와대 신호탄 쏘면 국회서 본격 전쟁
|
윤호우
|
p.30-31
|
|
|
|
21대 총선에서도 물갈이 공포 : 한국당 신상진 위원장 "물갈이 폭 클 것"… TK지역 의원들 "또 희생되나"
|
윤호우
|
p.32-33
|
|
|
|
한혜경 '산재 투쟁 10년' 마침내 결실 : 삼성전자 LCD 공장서 일하다 뇌종양 발병… 마지막 재신청에서 산재로 인정받아
|
이하늬
|
p.34-36
|
|
|
|
반도체 백혈병 발생, 삼성이 가장 높았다 : 일반 국민에 비해 백혈병 발생 위험비는 1.55배, 사망 위험비는 1.84배
|
이하늬
|
p.37
|
|
|
|
노노 갈등에 느긋해진 법무부 : 단체협약 합의 앞두고 법무부 제2노조 설립으로 대표성 문제 불거져
|
류인하
|
p.38-39
|
|
|
|
'회복적 정의' 위한 교실 평화훈련 : 갈등 해결은 당사자들의 몫… 서로 받아들인 방법과 약속으로 피해 회복
|
김호빈
|
p.40-41
|
|
|
|
경기도의 이태원 '평택 국제중앙시장' : 연간 23만명의 내·외국인 찾는 명소… 기찻길 '나이트마켓'도 인기 : 이곳&이야기
|
최인진
|
p.42-43
|
|
|
|
"한·일 갈등 언론 책임이 크다" : 일본 극우와 싸우는 기자 우에무라 다카시 [인터뷰]
|
[인터뷰이]: 우에무라 다카시 ; 글: 원희복 ; 사진: 서성일
|
p.44-46
|
|
|
|
하늘 나는 '드론택시' 곧 현실로? : 세계 대기업들 대규모 투자 발표… 우버 2023년에 서비스 계획
|
주영재
|
p.48-49
|
|
|
|
한진 세 남매, 분할경영 구축하나 : '조현아-칼호텔' '조원태-대한항공' '조현민-진에어'로 분할경영 관측 현실화
|
최민영
|
p.50-51
|
|
|
|
수사 비협조 부서 이기주의 '사일로 효과' : 영화 속 경제 <걸캅스>
|
박병률
|
p.52
|
|
|
|
사이버 범죄자를 위한 랜섬웨어 서비스 : IT 칼럼
|
류한석
|
p.54
|
|
|
|
홍콩의 '일국양제'는 실패했나
|
박은경
|
p.56-57
|
|
|
|
KBO 마무리투수 판도가 달라진다
|
김하진
|
p.58-59
|
|
|
|
우체국 '오롯 골드바' 선보여 : 우정이야기
|
김경은
|
p.60
|
|
|
|
인도에서 발명한 '영(0)' 문명을 바꾸다
|
김태호
|
p.62-63
|
|
|
|
환자는 왜 심리치료자의 유혹에 넘어갈까 : 법률 프리즘
|
임주환
|
p.64
|
|
|
|
일해도 받을 수 있는 근로장려금 제도 : 정창수의 '나라살림을 제대로 바꾸는 법'
|
정창수
|
p.65
|
|
|
|
뽕나무 잎, 가지, 뿌리, 열매 모두 약재 : 허브에세이
|
이상진
|
p.68
|
|
|
|
죽음을 앞둔 보통사람의 보편적 운명 [서평]
|
이현우 [평]
|
p.71
|
|
|
|
복수극 범인을 밝혀내는 본격 미스터리 [서평]
|
강상준 [평]
|
p.74
|
|
|
|
인간의 결혼, 과연 완벽한 제도일까 : 어덜트 파크 : 만화로 본 세상
|
황순욱
|
p.75
|
|
|
|
상호작용 기피를 권하는 사회
|
이선옥
|
p.8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