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내형'이 이뤄낸 원팀의 신화 : 축구 천재 이강인의 팔색조 매력 분석, 차원이 다른 기술 구사하는 새로운 유형의 선수
|
서호정
|
p.12-15
|
|
|
|
"걍, 잘 놀다 나와" : 신화창조의 밑거름 된, 정정용 U-20 대표팀 감독의 '수평적 리더십'
|
기영노
|
p.16-17
|
|
|
|
축구 그 자체를 즐기는 'Z세대' 1983년과 비교 불가 : 유쾌함 넘치는 '정정용號', 당당한 자신감과 그것을 현실화할 수 있는 실력 지녀
|
서호정
|
p.18-19
|
|
|
|
'여성운동가 이희호 선생' 하늘의 별이 되다 :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이자 동지… 민주주의와 여성, 평화 운동에 큰 족적
|
김지영
|
p.20-22
|
|
|
|
'평등한 부부의 모범사례'를 만들다 : 'DJ 아내' 아닌 '단독자'로서 이희호 선생의 삶
|
노혜경
|
p.24-25
|
|
|
|
'반기문 총리설'에 與도 野도 웅성웅성 : 내년 총선 '충청 표심' 노리는 중원 공략 카드… 여권 내부 "오히려 지지층 반발 클 것"
|
송창섭
|
p.26-27
|
|
|
|
황교안과 이낙연의 경쟁력 대선까지 유지될까 : 역대 대선 3년 전 유력 대선후보로 부각됐던 잠룡들, 3년 후 대부분 사라져 : 배종찬의 민심풍향계
|
배종찬
|
p.28-29
|
|
|
|
"황교안 최선 다하고 있지만 대선 얘기는 아직 일러" : '한국 대표 작가' 이문열 [인터뷰]
|
이문열 [인터뷰이] ; 안성모 [취재]
|
p.30-35
|
|
|
|
학생들은 떠났고, 교사들은 돌아왔다 : '스쿨 미투' 1년… 피해 학생들은 외친다 "스쿨 미투가 죽은 나라"라고
|
구민주
|
p.36-39
|
|
|
|
"미투 고백 후 피해 학생들은 더 힘들어졌다" : '정치하는엄마들' 김정덕·이베로니카 활동가 [인터뷰]
|
김정덕, 이베로니카 [인터뷰이] ; 구민주 [취재]
|
p.38
|
|
|
|
"피해 학생보다 가해 교사 보호가 우선인가" : 16개 시·도교육청 중 '스쿨 미투처리 현황' 공개 3곳뿐
|
구민주
|
p.40
|
|
|
|
"교수님, 제발 떠나주세요" 미투에 멍든 캠퍼스 : 논란 잠잠해지자 가해 교수들 줄줄이 복귀… 대학 '성폭력 대응' 총체적 난국
|
박성의
|
p.42-43
|
|
|
|
진화하는 미투, 한국 사회를 뒤흔들다 : 침묵의 카르텔을 깬 '미투 운동' ≪걸캅스≫ 흥행 등 문화예술 지형도 바꿔
|
하재근
|
p.44-45
|
|
|
|
갈수록 커져가는 '윤지오 후원금' 의혹 : 사기·명예훼손에 후원금 반환 소송까지… 궁지 내몰린 '장자연 사건 증언자'
|
유지만, 박성의
|
p.46-48
|
|
|
|
집단소송 대리 최나리 변호사 "사기로 모금한 후원금" [인터뷰]
|
최나리 [인터뷰이] ; 유지만, 박성의 [취재]
|
p.48
|
|
|
|
완전범죄 노린 고유정의 잔혹한 살인 일지 : 치밀한 범행 준비와 살해 방법 등 역대급 사건 : 정락인의 사건 추적
|
정락인
|
p.50-52
|
|
|
|
남편을 잔혹하게 죽인 아내들 : 사이코패스 테스트 만점 '엄 여인 사건'이 최악 : 정락인의 사건 추적
|
정락인
|
p.53
|
|
|
|
당뇨 수술 시대 활짝, "환자 85%가 병세 호전" : 치료 효과 약물보다 4배 이상 커, 지난해부터 국민건강보험 혜택도
|
노진섭
|
p.54-57
|
|
|
|
"당뇨병은 초기에 수술하면 효과 최고" : 박영석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교수 [인터뷰]
|
박영석 [인터뷰이] ; 노진섭 [취재]
|
p.57
|
|
|
|
백세 시대의 중추 '허리 건강' 지키려면 : 유재욱의 생활건강
|
유재욱
|
p.58
|
|
|
|
세계 3차대전은 기술전쟁, 화웨이 둘러싼 5G 新냉전 : '4차 산업혁명의 대동맥' 주도권 쥔 화웨이 놓고 미·중 '패권 전쟁'
|
김종일
|
p.60-62
|
|
|
|
트럼프가 화웨이를 규제하는 세 가지 이유 : 밀리면 끝장… '5G 기술전쟁' '국방·안보 전쟁' '中 고립 전략' 펼쳐
|
박성중
|
p.64-65
|
|
|
|
제주항공 '비상(飛上)'에 비상 걸렸다 : 국내 '하늘길' 열며 떠올랐지만… '필리핀-인천 제주항공 회항'으로 LCC의 숙제 일깨워
|
조유빈
|
p.66-67
|
|
|
|
효성그룹과 참여연대의 오랜 악연 : 참여연대, 입찰 담합 혐의로 (주)효성 등 공정위 신고
|
송응철
|
p.68-69
|
|
|
|
'아름답게' 퇴장했지만, 2세 승계 문제 여전히 '족쇄' : 남승우 전 풀무원 사장, 직원에게 회사 맡기고 경영 은퇴, 올가홀푸드 향방 등은 안갯속
|
이석
|
p.70-71
|
|
|
|
미완의 두산, 논란의 CJ '닮은 듯 다른' 4세 승계 속사정 : 두산 박정원 독주체제 굳힐지 주목… CJ그룹도 이재현→이선호 승계에 속도
|
김도현
|
p.72-73
|
|
|
|
"여유 시간에 겸업" 배달 서비스로 투잡 뛰는 2030 : 타임푸어족 증가로 배달앱 시장 가파르게 성장, 직장인들 '1인 1직장' 개념 점차 약해져
|
한다원
|
p.74-75
|
|
|
|
식음료업계 혁신 아이콘 된 공유주방 : 창업 목적 따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취사선택 가능한 것이 장점 : 이형석의 미러링과 모델링
|
이형석
|
p.76-77
|
|
|
|
언론에 나오지 않은 독일 에너지 전환 '진짜 의미' : '전력요금' 상승에 사회적 토론 거친 독일 vs 논의 외면하는 한국 : 최준영의 경제 바로읽기
|
최준영
|
p.78-79
|
|
|
|
다뉴브 강, 그 속은 진흙탕이었다 : 한국 관광객 26명 사망·실종 사고 일으킨 크루즈선, 헝가리 정권 실세와 검은 유착 의혹
|
클레어 함
|
p.80-81
|
|
|
|
왜 일본의 늙은 아비는 아들을 죽였을까 : 부모 의존하는 '외톨이 자녀' 늘며 '8050 문제' 부상, 가정문제 치부해 사태 키워
|
류애림
|
p.82-83
|
|
|
|
나가사키 도자기 수출의 초석을 쌓은 '고려할머니' : 후손들 400년 동안 도예 기술 이어와, 宮內廳 납품 어용가마로 지정되기도
|
조용준
|
p.90-93
|
|
|
|
우리는 아마존의 그물에서 예외인가 [서평]
|
조창완[평]
|
p.94-95
|
|
|
|
류현진의 놀라운 반전, 이유 있었다 : 배지현 전 아나운서와 '환상의 짝꿍' 이뤄… 류현진 "결혼 후 많은 변화"
|
이영미
|
p.96-97
|
|
|
|
미술, 혹은 미술가의 지위
|
김정헌
|
p.9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