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모 자아존중감 변화궤적유형 및 영향요인 탐색 = Trajectories of change in mothers' self-esteem and affecting factors 주은정, 정효정 p.145-169
자아탄력성, 직무환경, 직무열의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Ego resilience, job environment, job enthusiasm : the impact of turnover intention on childcare teacher 최민수, 윤영애 p.123-14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부모애착과 성인애착 불안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hildhood parental attachment and adult attachment anxiety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having preschoolers 오가영, 한지현 p.47-64
부모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s happiness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attitude 김근혜 p.1-20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우울증상,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 및 양육행동의 관계 = The association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with parenting behaviors during early childhood 여종일 p.65-90
교류분석에 기초한 소집단 집단상담식 부모교육이 부모의 심리적 자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analysi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implementation with small group counseling applying transactional analysis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attitude 최은자 p.21-45
어린이집 CCTV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CCTV installation :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perspective : 유아교육공동체의 관점에서 정계숙, 최은아 p.91-122

참고문헌 (5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영란․문영경. 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의직의도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미소장
2 권인수․최영근. 2011.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심리적 조건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연구관리 연구』 18(A): 2415-2437. 미소장
3 권화숙․김이영. 2015.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개인특성 요인 및 직무관련 요인이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8(1): 55-75. 미소장
4 김면식. 2015. “직무열의의 선행요인 및 직무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보람. 2012. “초등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열의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 김영실․곽경화․신애선․김선미. 2014. 영․유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1): 21-43. 미소장
7 김안나. 2018. 유아교사의 직무열의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행복감,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3(5): 293-315. 미소장
8 김은아. 2018.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9 김희태․조주연. 2005.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현장문제에 관한 연구. 『과학논집』 31(1): 129-145. 미소장
10 도순남. 1999.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특성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1 라은미. 2017.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2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미소장
13 박봉환. 2017.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4 박서연․정영숙. 2010.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및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3(1): 121-149. 미소장
15 박성애. 2017.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열의 및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6 박성애․배상훈. 2017.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열의 및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937-961. 미소장
17 박유진.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배계순. 2018.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9 배상훈․홍지인. 2012. 학교 조직의 관료적 운영이 교사의 창의적 직무 수행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 연구』 30(4): 57-79. 미소장
20 서지영. 2002.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송순옥. 2016. “유아교사의 권리 및 의문에 관한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2 손아랑. 2009. 민간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소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8(1): 81-101. 미소장
23 심순애. 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4 양안숙. 2008.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육시설 종사자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4): 367-388. 미소장
25 양수민․정혜영․서영희. 2017. 아이돌보미의 직무열의 및 보육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77-88. 미소장
26 오희경․이진성. 2012. 민간어린이집 업무환경이 보육교직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효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2: 205-229. 미소장
27 우경애․김세곤. 2013. 사립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7(2): 265-286. 미소장
28 이선미․방지은. 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3-104. 미소장
29 이수련․이정화. 2010.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른 소진과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0(6): 51-65. 미소장
30 이정희․조성연. 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관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4): 559-570. 미소장
31 이주영․고재욱. 2015. 영유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0): 63-82. 미소장
32 이혜경. 2018.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3 정지언․박영희. 2015.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와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5(6): 297-316. 미소장
34 진경미. 2017.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전문성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5 최선. 2012. “학교의 직무환경이 교사의 소진 및 열의에 미치는 영향: 자율적 동기를 매개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6 최영근․김규배. 2012. 일중독과 직무열의의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5(5): 2341-2363. 미소장
37 최형성. 2017.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1(3): 129-149. 미소장
38 한국보육진흥원. 2017. 2017년 보육통계. 출처: 보건복지부. 미소장
39 허상구. 2018.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조직몰입, 조직침묵,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몰입의 매개효과와 동료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0 Allen, N. J., and Meyer, J. P. 2001.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1-18. 미소장
41 Block, J. H., and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1): 39-101. 미소장
42 Block, P. 2003. “The Empowered manager. San Francisco”: Jossey-Bass. 미소장
43 WORK ENGAGEMENT: A QUANTITATIVE REVIEW AND TEST OF ITS RELATIONS WITH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44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미소장
45 Rolfe, S. A. 2004. “Rethinking attachmentforearly childhood practice: promoting security, autonomy and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Crows Nest, IN: Allen & Unwin. 미소장
46 Saracho, O. N. and Bernard, S., 2008. “Professionalism and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tioner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Care, 89(1): 1-17. 미소장
47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rofessional burnout: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work of teachers and employees of commercial service sector]. 네이버 미소장
48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49 Schaufeli., I. M. Martinez., A. M. Pinto., M. Salanova. and A. B. Bakker. 2002a.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미소장
50 Schaufeli, W. B., Salanova., V. González-Romá. and A. B. Bakker. 2002b.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nd: A Confirmative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 71-92. 미소장
51 Williams, E. C. 2000.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Linkages and measurement issu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