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金履安, 「三山齋集」 | 미소장 |
2 | 金正喜, 「阮堂全集」 | 미소장 |
3 |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 미소장 |
4 | 李裕元, 「林下筆記」 | 미소장 |
5 | 李瀷, 「星湖僿說」 | 미소장 |
6 | 李種徽, 「東史」 | 미소장 |
7 | 朴世采, 「南溪續集」 | 미소장 |
8 | 朴趾源, 「熱河日記」 | 미소장 |
9 | 徐宗華, 「藥軒遺集」 | 미소장 |
10 | 宋時烈, 「宋子大全」 | 미소장 |
11 | 安鼎福, 「東史綱目」 | 미소장 |
12 | 魏伯珪, 「存齋集」 | 미소장 |
13 | 尹愭, 「無名子集」 | 미소장 |
14 | 尹行恁, 「碩齋別稿」 | 미소장 |
15 | 鄭經世, 「愚伏集」 | 미소장 |
16 | 正祖, 「弘齋全書」 | 미소장 |
17 | 韓元震, 「南塘集」 | 미소장 |
18 | 韓致奫, 「海東繹史」 | 미소장 |
19 | 洪大容, 「湛軒書」 | 미소장 |
20 | 洪直弼, 「梅山集」 | 미소장 |
21 | 黃景源, 「江漢集」 | 미소장 |
22 | 김보경, 「한국고전문학에서의 주체와 타자 ; 고려후기 유교지식인의 세계-자기 인식과 대응방식 -이제현과 이색의 원(元) 체험을 중심으로」, 「국문학연구」 15, 2007. | 미소장 |
23 | 김영심, 정재훈, 「朝鮮後期 正統論의 受容과 그 變化; 修山 李種徽의 「東史」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26, 2000. | 미소장 |
24 | 김태년, 「南塘 韓元震의 '正學' 形成에 대한 硏究」, 고려대학교박사논문, 2006. | 미소장 |
25 | 박희병, 「범애와 평등」, 돌베개, 2013. | 미소장 |
26 | 이경구, 「조선, 철학의 왕국; 호락논쟁 이야기」, 푸른역사, 2018. | 미소장 |
27 | 강윤정, 「조선후기 사상사의 미래를 위하여」, 푸른역사, 2013. | 미소장 |
28 | 이철승, 「공자의 “화이(華夷)”관과 문화의식」, 「中國學報」 74, 2015. | 미소장 |
29 | 이춘식, 「先秦시대 孔子와 儒家의 華夷觀에 대하여」, 「中國學論叢」 15, 2002. | 미소장 |
30 |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 연구」, 일지사, 1998. | 미소장 |
31 | 조성산, 「조선후기 소론계의 古代史 연구와 中華主義의 변용」, 「역사학보」 202, 2009. | 미소장 |
32 | 강윤정, 「조선후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전개」, 지식산업사, 2007. | 미소장 |
33 | 채웅석, 「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역사와현실」 49, 2003. | 미소장 |
34 | 최봉준, 「여말선초 箕子 중심의 역사계승의식과 조선적 문명론」, 「한국사학사학보」 31, 2015. | 미소장 |
35 |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