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장암(丈巖) 정호(鄭澔)의 생애와 시세계(詩世界) = Jangam(丈巖) Jeong-ho(鄭澔)'s life and poetry world / 조영임 1

국문요약 1

1. 서론 2

2. 정호의 생애와 교유 3

3. 정호의 시세계(詩世界) 7

1) 교유를 통한 내면적 유대 8

2) 유배(流配)와 시사(時事)에 대한 소회(所懷) 13

3) 계산풍류(溪山風流)와 한담(閑淡)의 정취 16

4. 결론 20

참고문헌 21

Abstract 23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比喻流水句的"眼" = The 'yan'(眼) of the metaphorical run-on sentences 曾常红, 白水振 p.129-143

보기
소설 改寫 및 시국 隱喩 = Novel adaptation and political situation metaphor : analysis on view of war reflected in Eiji Yoshikawa's San Goku Shi :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의 전쟁관 시론 무붕 p.81-100

보기
중국어와 한국어의 入声韻尾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yllable ending of falling tone in Chinese and Korean : focused on the falling tone of Yangzhou dialect : 양주(扬州)방언의 入聲字를 중심으로 유가, 임진호 p.145-164

보기
汉语"差点儿VP"再探讨 = Re-discussion of "Chadianr VP" in Chinese 左思民 p.165-183

보기
先秦儒學의 수학 方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re-Qin Confucianism and Chinese traditional mathematics 정두호, 유흔우 p.185-213

보기
姜弘立 조선군의 深河전투 참전지리 고찰 = Study on the route of the Joseon(朝鮮) troops during the Simha(深河) battle 朴現圭 p.101-127

보기
장암(丈巖) 정호(鄭澔)의 생애와 시세계(詩世界) = Jangam(丈巖) Jeong-ho(鄭澔)'s life and poetry world 조영임 p.1-23

보기
"孔子問禮於老子"句에 나타난 司馬遷의 敍述視覺에 관한 몇 가지 검토 = Review of Sima Qian's perspective in "Confucius inquired of Lao Tzu about the rites" 김원중 p.55-79

보기
한중 교육에 나타난 반전의식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anti-war sentiment in Korea-China education : 현대시 교육을 중심으로 김미혜 p.25-53

보기
중국인터넷로맨스소설의 국내수용에 대한 일고찰 = A consideration of internal acception of Chinese Internet romance novel 최은정 p.239-263

보기
母语对汉语普通话声调感知的影响 = The influence of native language experience on Mandarin tone perception : the case of Seoul and Busan listeners : 以首尔和釜山地区听者为例 陈润柱 p.215-237

보기
조선족학교 교사 초청 연수 프로그램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invitational workshop for ethnic Korean school teachers in China 한혜민, 김재욱 p.265-286

보기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國朝人物志 미소장
2 大東詩選 미소장
3 宋秉夔, 華陽淵源錄 미소장
4 權尙夏, 國譯 寒水齋集 미소장
5 金元行, 渼湖集 (한국문집총간 220권) 미소장
6 宋時烈, 宋子大全 (한국문집총간 108권, 114권) 미소장
7 尹鳳九, 屛溪集 (한국문집총간 204권) 미소장
8 李縡, 陶菴集 (한국문집총간 195권) 미소장
9 鄭澔, 丈巖集 (한국문집총간 157권) 미소장
10 蔡之洪, 鳳巖集 (한국문집총간 205권) 미소장
11 韓元震, 南塘集 (한국문집총간 202권) 미소장
12 정세근, 「장암 정호」, 충북의 역사문화인물 , 충북학연구소, 2008. 미소장
13 이상기, 「예와 의를 행동으로 보여준 정치가 장암 정호」, 충북의 역사문화인물 학술세미나 , 충북학연구소, 200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