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담임교사 행정업무 제로화 정책이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집행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장교사들이 정책집행과정에서 처한 업무상황과 대응기제를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Lipsky 일선관료제 모형을 적용하여 A중학교를 사례로 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중학교에서 정책집행자이면서 일선관료인 부장교사들은 행정업무지원 부족, 교직원과 관계 갈등, 기대했던 업무환경과 현실의 충돌, 모호한 업무분장과 목표, 정책 성과평가의 어려움 등의 업무상황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업무상황에 놓인 부장교사들은 단순화, 정형화, 회피·인내하기의 대응전략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교원업무경감 정책의 성공적 집행을 위해서는 협력적 학교풍토가 중요한 환경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학교행정업무의 총량을 축소하거나 전담행정 인력을 지원하는 방식이 학교현장에 적합한 정책 수단이며, 동시에 교원들의 업무능력개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기도교육청 학교혁신 정책의 성과와 과제 = The light and shadow of the school innovation policy in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school change since 2009 : 2009년 이후 학교변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백병부 p.121-148

부모의 합리적 설명 양육행동 수준에 따른 자녀의 성장신념과 학업 스트레스의 변화추이 및 종단적 관계 = Longitudinal trends and relations between students' growth mindset, and academic stress by the level of rational parenting behavior 김다인, 안도희 p.273-294

한국의 수업 연구 역사에 대한 일 견해 = A view on the history of classroom research in Korea 이혁규 p.57-82

'A' 교육지원청 컨설팅장학 운영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sulting supervision of 'A'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 application of Cooper's four dimension model : Cooper 등의 4차원 모형을 중심으로 김은영, 장덕호 p.5-31

교사의 교육과정 관련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구조적 관계 비교 = The comparison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perceptions on curriculum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장봉석 p.227-245

관계 상실 경험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with relationship loss :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 구진영, 장석진 p.315-337

신학력관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의 대안 모색 = Finding an alternative model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based on the new trend of academic ability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김유리, 김성식 p.149-173

광주광역시 담임교사 행정업무 제로화 정책집행 과정 분석 = Explo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homeroom-teacher administrative workload zeroing policy : 정책선도학교 A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문홍균, 차성현 p.203-225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감성지능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workers working in community children center on job performance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ommitment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민자 p.379-398

희망교실 정책집행 과정에서 교사들이 처한 직무환경과 대응 행위 이해 = Understanding of teachers' work conditions and coping behaviors in hope class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 based on Lipsky's street-level bureaucracy model : Lipsky의 일선관료제모형을 중심으로 송미지, 차성현 p.33-55

PBL(Problem-based Learning)을 위한 조별토론 학습모델 연구 = A study of the learning model of group discussion for PBL(problem-based learning) development of a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using madal-art and RPP(role-play presentation) : 만다라트(Mandal-art)와 RPP(Role-play Presentation)를 활용한 협동학습 모델 개발 류수연 p.359-377

한국 고등교육허브 분석 = An analysis of policies towards developing higher education hub in Korea : a case study of incheon global campus : IGC를 중심으로 고장완, 위옥정, 문소라 p.415-432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에서 평생교육 부서장과 기관장의 공유리더십, 평생교육 실무자 간의 파트너십과 협력적 의사소통, 조직효과성, 협력적 거버넌스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department head and director in lifelong learning city network, partner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practitioners, cooperative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performance 김병옥, 최은수 p.247-272

시민성에 대한 교육학적 탐구 = Educational interpretation into citizenship : based on a historical origins : 역사적 기원을 중심으로 정철민 p.83-99

대학 교수학습센터 학습프로그램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learning support programs and development plans for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universities 김은영 p.101-120

중년기 여성의 가족건강성 수준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and stress coping behavior o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family health levels of middle-aged women 노은영, 권현용 p.399-414

국내외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 비교를 위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for comparing policy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지은 p.433-450

대학에서의 봉사학습을 위한 교육과정 재설계와 적용 성과 분석 = Servic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 course redesign and its impacts on the students' learning outcomes 이현주, 이영선 p.295-313

대학생 진로미결정 척도의 성별 구인 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 Test of construct equivalence of the career indecision inventory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omparison of latent mean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조지혜 p.339-357

학생 주도형 프로젝트 교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사 인식 조사와 실행 모형 제안 = Suggestion of RI (IR) -DCA project model and investigation about teachers' awareness about activating the student-centered project 이영희, 황요한 p.175-202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미정, 홍창남(2012). 교사의 업무에 관한 교사와 행정직원의 인식 비교. 교육혁신연구, 22(3), 57-87. 미소장
2 광주광역시교육청(2018.2.8).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를 위한 2018년도 학교업무정상화 종합 계획. 광주광역시교육청홈페이지(www.gen.go.kr). 미소장
3 김아영, 김민정(2002).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6(3), 5-29. 미소장
4 김영천(2012). 질적연구방법론Ⅰ: Bricoleur(2판).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미소장
5 김위정, 황현정, 이지혜, 신동하(2017). 교원업무정상화를 위한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조직 재구조화 방안.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 미소장
6 김현성(2015). 단위학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집행 사례 분석–Lipsky의 일선관료제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박선형, 이상규(2012). 교원 행정업무 부담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9(1), 371-396. 미소장
8 박소영, 송선영(2006). 수시모집제도 집행 분석: Lipsky의 일선관료모형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4(2), 403-424. 미소장
9 박정서(2009). 중등학교 비담임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145-175. 미소장
10 박찬현, 김왕준(2015).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급담임배정 비교. 초등교육연구, 28(1), 53-71. 미소장
11 방효비, 박수정, 박선주(2017). 배려적 학교풍토와 전문적 교사협력이 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논총, 38(1), 161-182. 미소장
12 신현석(2010). 한국의 교원정책. 서울: 학지사. 미소장
13 신현석, 가신현, 이경호(2012). 교원업무 경감을 위한 통합적 접근 모형과 정책방안의 전략적 탐색. 교원교육, 28(1), 223-245. 미소장
14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2판). 서울: 박영스토리. 미소장
15 윤훈택(2006). 중등학교 보직교사의 역할수행과 역할갈등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이상철(2018). 전국 시 도교육청 교원업무정상화 정책 현황 분석 및 방향 탐색.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3), 23-32. 미소장
17 이은화, 신상명(2016). 자유학기제 집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직무행태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4(3), 1-24. 미소장
18 이종재, 이차영, 김용. 송경오(2015). 교육정책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19 이치호(2017). 교원업무경감정책의 변화 추이 분석 및 시사점 탐색. 미래교육연구, 30(1), 51-84. 미소장
20 이호정, 김왕준(2013). 초등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무분장 특징과 영향. 교육연구, 27(2), 1-18. 미소장
21 이혜정(2017). 행정실무사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8), 250-262. 미소장
22 인사혁신처(2015.12.24.).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령안. 미소장
23 정영수, 김숙이, 김이경, 김민희, 김민성, 이강복, 민병성, 김영순(2011). 학교업무체계 효율화를 위한 교직원 직무분석. 청주: 충북대학교 한국지방교육연구소. 미소장
24 The limitation and The Scope of the Street-level Bureaucrats' Discretion 소장
25 하동엽, 김갑성(2018). Lipsky의 일선관료 모형을 통한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담당교사들의 정책 집행 과정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1), 225-248. 미소장
26 한은정(2005). 중학교 교사의 학급 담임직 선택 관련 변인 연구: 서울특별시 공립 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Lipsky, M. (1976). Toward a theory of street-level bureaucracy. In Willis D. Hawley & Michael Lipsky (Eds.), Theoretical perspectives on urban politics(pp. 196-213). Engelwoods Cliffs N.J:Prentice Hall. 미소장
28 Lipsky, M. (1980). Street-level bureaucracy: Dilemmas of the individual in public service. New York:Russell Sage Foundation. 미소장
29 Lipsky, M. (2010). Street-level bureaucracy: Dilemmas of the individual in public service(30th anniversary expanded edition).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미소장
30 Yin, R. K. (2016). 사례연구방법[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5th ed)]. (신경식 외 옮김). 서울: 한경사. (원전은 2014에 출판).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