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미정, 홍창남(2012). 교사의 업무에 관한 교사와 행정직원의 인식 비교. 교육혁신연구, 22(3), 57-87. | 미소장 |
2 | 광주광역시교육청(2018.2.8).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를 위한 2018년도 학교업무정상화 종합 계획. 광주광역시교육청홈페이지(www.gen.go.kr). | 미소장 |
3 | 김아영, 김민정(2002).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6(3), 5-29. | 미소장 |
4 | 김영천(2012). 질적연구방법론Ⅰ: Bricoleur(2판).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미소장 |
5 | 김위정, 황현정, 이지혜, 신동하(2017). 교원업무정상화를 위한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조직 재구조화 방안.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 | 미소장 |
6 | 김현성(2015). 단위학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집행 사례 분석–Lipsky의 일선관료제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박선형, 이상규(2012). 교원 행정업무 부담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9(1), 371-396. | 미소장 |
8 | 박소영, 송선영(2006). 수시모집제도 집행 분석: Lipsky의 일선관료모형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4(2), 403-424. | 미소장 |
9 | 박정서(2009). 중등학교 비담임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145-175. | 미소장 |
10 | 박찬현, 김왕준(2015).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급담임배정 비교. 초등교육연구, 28(1), 53-71. | 미소장 |
11 | 방효비, 박수정, 박선주(2017). 배려적 학교풍토와 전문적 교사협력이 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논총, 38(1), 161-182. | 미소장 |
12 | 신현석(2010). 한국의 교원정책.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3 | 신현석, 가신현, 이경호(2012). 교원업무 경감을 위한 통합적 접근 모형과 정책방안의 전략적 탐색. 교원교육, 28(1), 223-245. | 미소장 |
14 |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2판). 서울: 박영스토리. | 미소장 |
15 | 윤훈택(2006). 중등학교 보직교사의 역할수행과 역할갈등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이상철(2018). 전국 시 도교육청 교원업무정상화 정책 현황 분석 및 방향 탐색.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3), 23-32. | 미소장 |
17 | 이은화, 신상명(2016). 자유학기제 집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직무행태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4(3), 1-24. | 미소장 |
18 | 이종재, 이차영, 김용. 송경오(2015). 교육정책론.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9 | 이치호(2017). 교원업무경감정책의 변화 추이 분석 및 시사점 탐색. 미래교육연구, 30(1), 51-84. | 미소장 |
20 | 이호정, 김왕준(2013). 초등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무분장 특징과 영향. 교육연구, 27(2), 1-18. | 미소장 |
21 | 이혜정(2017). 행정실무사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8), 250-262. | 미소장 |
22 | 인사혁신처(2015.12.24.).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령안. | 미소장 |
23 | 정영수, 김숙이, 김이경, 김민희, 김민성, 이강복, 민병성, 김영순(2011). 학교업무체계 효율화를 위한 교직원 직무분석. 청주: 충북대학교 한국지방교육연구소. | 미소장 |
24 | The limitation and The Scope of the Street-level Bureaucrats' Discretion | 소장 |
25 | 하동엽, 김갑성(2018). Lipsky의 일선관료 모형을 통한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담당교사들의 정책 집행 과정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1), 225-248. | 미소장 |
26 | 한은정(2005). 중학교 교사의 학급 담임직 선택 관련 변인 연구: 서울특별시 공립 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Lipsky, M. (1976). Toward a theory of street-level bureaucracy. In Willis D. Hawley & Michael Lipsky (Eds.), Theoretical perspectives on urban politics(pp. 196-213). Engelwoods Cliffs N.J:Prentice Hall. | 미소장 |
28 | Lipsky, M. (1980). Street-level bureaucracy: Dilemmas of the individual in public service. New York:Russell Sage Foundation. | 미소장 |
29 | Lipsky, M. (2010). Street-level bureaucracy: Dilemmas of the individual in public service(30th anniversary expanded edition).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 미소장 |
30 | Yin, R. K. (2016). 사례연구방법[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5th ed)]. (신경식 외 옮김). 서울: 한경사. (원전은 2014에 출판).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