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리대룡(1977), 임근수 신문학의 체게와 방법. 희관 임근수박사 화갑기념논총편찬위원회편(1977), <한국신문학50년사>. 서울: 정음사. |
미소장 |
2 |
이기백(1972), 신민족주의사관론, <문학과 지성> 제3권 제3호. |
미소장 |
3 |
임근수(1967), <신문발달사>. 서울: 정음사. |
미소장 |
4 |
임근수(1969), 동양에서의 근대신문의 생성과정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제36호. |
미소장 |
5 |
임근수(1971), 한국신문학 발전을 위한 제언, <여성저널> 제2호. |
미소장 |
6 |
임근수(1973a), 한국신문학사 서설, <신문학보> 제6호. |
미소장 |
7 |
임근수(1973b), 20세기 초반 동양에서의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I), <신문연구소학보>(서울대학교), 제10집. |
미소장 |
8 |
임근수(1974), 20세기 초반 동양에서의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II), <신문연구소학보>(서울대학교), 제11집. |
미소장 |
9 |
임근수(1975), 한국커뮤니케이션사연구의 방법에 관한 일고찰, <신문연구> 제16권 제1호. |
미소장 |
10 |
임근수(1976), 한국신문학의 성립과정과 그 연구현황의 계보적 고찰, <저널리즘> 1976년 봄호. |
미소장 |
11 |
임근수(1977), 역사와 언론, 한국기자협회 하계세미나 주제논문. 1977년 7월 9일. |
미소장 |
12 |
임동진·임길진·임현진·임국희 편(1984), <언론과 역사: 희관 임근수 박사 논총>. 서울: 정음사. |
미소장 |
13 |
희관 임근수박사 화갑기념논총편찬위원회편(1977), <한국신문학50년사>. 서울: 정음사. |
미소장 |
14 |
손진태(1948), <조선민족사개론>(상권). 서울: 을유문화사. |
미소장 |
15 |
홍이섭(1970), 일제(=식민지)시대의 역사적 성격, 한국경제사학회편, <한국사시대구분론>. 서울: 을유문화사. |
미소장 |
16 |
차배근(2017),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17 |
Carr, E. H.(1964), What is History? New York: Pelican Book. |
미소장 |
18 |
Bücher, Karl(1926), Die Anifange des Zeitungwesens. Die Entstehung der Volkswirtschaft. Tübingen, Germany: H. Laupp. |
미소장 |
19 |
Fairbank, J. K.; E. O. Reischauer and A. M. Craig(1965), East Asia: The Modern Transformation. Boston: Hughton Mifflin. |
미소장 |
20 |
The Sociological Approach in Research in Newspaper History  |
미소장 |
21 |
Mott, Frank L.(1962), American Journalism: A History. 3rd ed.. New York: MacMillan.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