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소동파(蘇東坡)의 전후 「적벽부(赤壁賦)」는 조선조 문인에게 공감과 영감을 주었으며, 문학의 ‘이상적 모델’이 되었다. 본 논문은 중국 북송대 소동파 ‘적벽선유’를 한강에서 재연한 조선조 한문학 작품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러 문인이 각기 소동파의 전후 「적벽부」를 수용하여 그것이 우리의 문학, 문화에 발전이나 변화를 주고 있다. 그들은 「적벽부」에서 긍정적인 자극을 받아, 경관과 회포를 생동감 있고 자유분방하게 묘사하였다. 조선조 문인은 소동파 「적벽부」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 시의 배경은 우리의 강이며, 시어에도 한국적 분위기가 물씬 배어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유례를 찾기 어려운 소동파 적벽선유 재연을, 한강에서 재연하여 자신의 시각으로 꽃피운 조선조 문인의 창조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시공을 달리한 한중 고대 문인 간의 정신적, 문화적 교류의 산물로서 나름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입신출세주의·교양주의, 그 관계의 의미망과 1910년대 한국 단편소설의 지형도 = East Asian social evolutionism, entry-levelism and cultureism,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and the topographic map of Korean short stories in the 1910s : focused on Lee Kwang-soo, Jin Hak-moon, Yang Gun-shik, and Hyun Sang-yoon : 이광수·진학문·양건식·현상윤을 중심으로 유봉희 p.259-287

김면주(金勉柱) 관련 『연행신장(燕行贐章)』에 보이는 명·청 인식 = A study on Kim Myeon-ju of the 『Yeonhaengsinjang(燕行贐章)』 in Chungnam Museum of history 박종훈 p.39-71
기재 신광한의 문학정신과 시대적 의미 = The literary spiri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age of Gijae(企齋) Shin Kwang-han 양훈식 p.133-165
조선조 한문학에 나타난 소동파(蘇東坡) '적벽선유(赤壁船遊)'의 재연 연구 = A study on the reenactment of Su Dongpo's Chibi Boating Excursion in sino-Korean litera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area along the Han River : 한강권을 중심으로 조규백 p.5-37

성종조(成宗朝) 여악(女樂) 사용의 쟁점 연구 = A study on the issues of Yeuak(女樂) use during Sungjong (成宗)'s reign 성영애 p.359-398

새 발굴 사행 자료, 『북경록(北京錄)』의 자료적 가치 탐색 = The research on materials’ value of 『Bukgyeongrok(北京錄)』, new discovery Sahaeng(使行) materials 이홍식 p.73-100
이상화의 시에서 '생명(生命)' = 'Life' in poetry of the Sang Hwa Lee : Taisho(大正) era in conjunction with Japan-lifism : 대정(大正)기 일본의 생명주의와 관련하여 유병관 p.289-317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 해석 교육의 실천 방향 = Possibility of novel interpretive education based on Yin-Yang Ohaeng theory 장상지, 윤재웅 p.167-203
한국전쟁기 중국어로 번역된 김사량 작품 연구 = A study on Kim Sam-ryang's work translated into Chinese during the Korean War 주춘홍 p.319-358
김비의(金非衣) 일행의 표류체험과 유구(琉球)제도에 대한 인식 = The perception of drift experience and the Ryukyu kingdom's system 정영문 p.101-131
『사씨남정기』 사씨의 열등감과 우월성 추구 양상 = Study of the inferiority and superiority pursue aspects of 『Sassi-Namjeong-gi』 'Sassi' : based on individual psychology of Adler :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바탕으로 장만식 p.205-258

참고문헌 (4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蘇軾 著, (淸) 王文誥 輯注, 孔凡禮 點校, 『蘇軾文集』(全6冊), 北京: 中華書局, 1990. 미소장
2 류종목, 『소동파 문학의 현장 속으로(1-2)』,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미소장
3 왕수이자오 지음, 조규백 옮김, 『소동파 평전 - 중국의 문호 소식의 삶과 문학』, 돌베개, 2013. 미소장
4 王水照 選注, 『蘇軾選集』,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84. 미소장
5 조규백 역주, 『역주 소동파산문선』, 백산출판사, 2011 수정판(2005, 초판). 미소장
6 조규백, 『한국 한문학에 끼친 소동파의 영향』, 명문당, 2016. 미소장
7 曾棗莊 等 著, 『蘇軾硏究史』, 南京: 江蘇敎育出版社, 2001. 미소장
8 朴誾 著, 이상하 역,『국역 挹翠軒遺稿』, 민족문화추진회, 2006. 미소장
9 朴誾, 『挹翠軒遺稿』, 한국문집총간 21, 민족문화추진회, 1988. 미소장
10 卞鍾運, 『歗齋集』, 한국문집총간 303, 민족문화추진회, 2003. 미소장
11 徐居正, 『四佳集』, 한국문집총간 10-11, 민족문화추진회, 1988. 미소장
12 申用漑, 金詮, 南袞 등, 『續東文選』. 국립중앙도서관, 1976. 미소장
13 申緯 著, 孫八洲 編, 『申緯全集(1-4)』(原名:敬修堂藁), 태학사, 1983. 미소장
14 申緯, 『警修堂全藁』, 한국문집총간 291, 민족문화추진회, 2002. 미소장
15 尹愭, 『無名子集』, 한국문집총간 256, 민족문화추진회, 2000. 미소장
16 李敏求 著, 강원모 외 校點, 『東州集』, 문진, 2015∼2016. 미소장
17 李植 著, 이상현 譯, 『국역 택당집』(1-7), 민족문화추진회, 1997. 미소장
18 李植, 『澤堂集』, 한국문집총간 88, 민족문화추진회, 1992. 미소장
19 李荇 등, 성낙훈 외 譯, 『국역 新增東國輿地勝覽』, 민족문화추진회, 1985. 미소장
20 李荇, 『容齋集』, 한국문집총간 20, 민족문화추진회, 1988. 미소장
21 任叔英, 『疎菴集』, 한국문집총간 83, 민족문화추진회, 1996. 미소장
22 鄭百昌, 『玄谷集』, 한국문집총간 93, 민족문화추진회, 1992. 미소장
23 正祖, 『弘齋全書』, 한국문집총간 262-267, 민족문화추진회, 2001. 미소장
24 蔡濟恭, 『樊巖集』, 한국문집총간 235∼236, 민족문화추진회, 1999. 미소장
25 허경진 편역, 『朴誾, 李荇 詩選』, 평민사, 1993. 미소장
26 洪直弼, 『梅山集』, 한국문집총간 295-296, 민족문화추진회, 2002. 미소장
27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미소장
28 변종현, 『고려조 한시 연구 - 당송시 수용양상과 한국적 수용』, 태학사, 1994. 미소장
29 孫八洲, 『韓中漢詩硏究』, 빛남, 1986 再版, (1992 初版). 미소장
30 沈復 著, 馬美信 注譯, 『新譯浮生六記』, 臺北: 三民書局, 2017. 미소장
31 沈復 著, 지영재 옮김, 『浮生六記』, 을유문화사, 2004. 미소장
32 정민, 이홍식 편역, 『한국 산문선 4』, 민음사, 2017. 미소장
33 姜慶熙, 「조선시대 東坡 『赤壁賦』의 수용 - 赤壁船遊와 『赤壁賦』 倣作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61집, 중국어문학연구회, 2010, 405∼425쪽. 미소장
34 김은정, 「挹翠軒 朴誾의 교유와 유람의 한시 ‘天磨蠶豆錄’」, 『한국한시작가연구』 4, 한국한시학회, 1999, 201∼229쪽. 미소장
35 김주순, 「蘇東坡‘赤壁賦’對朝鮮漢詩的影響」, 『중국문화연구』, 16호, 중국문화연구학회, 2010, 131∼148쪽. 미소장
36 류소진, 「조선 문인 徐居正의 생활 속에 투영된 蘇軾」, 『중국어문학지』 60, 중국어문학회, 2017, 97∼128쪽. 미소장
37 류소진, 「조선 전기 시인 李荇의 蘇軾 수용양상」, 『중국학보』 83, 한국중국학회, 2018, 93∼111쪽. 미소장
38 禹埈浩, 「蘇東坡辭賦硏究」, 한국외국어대 중문학 박사논문, 1990. 미소장
39 尹浩鎭, 「韓國 漢文學의 東坡受容樣相, 嶺南中國語文學會」, 『中國語文學』 12, 1986, 129∼148쪽. 미소장
40 이상균, 「조선시대 船遊文化의 양상과 그 폐단」, 『국학연구』 27, 한국국학진흥원, 2015, 215∼259쪽. 미소장
41 정세진, 「14-16세기 조선과 일본의 蘇軾 관련 詩會와 그들이 공유한 ‘蘇仙’의 의미」, 『중국문학』 86,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1∼24쪽. 미소장
42 조규백, 「朝鮮朝 漢文學에 나타난 蘇東坡 前後 『赤壁賦』의 受容과 ‘赤壁船遊’의 再演」, 『중국학연구』 67, 중국학연구회, 2014, 127∼147쪽. 미소장
43 조규백, 「천고의 명작 소동파 『赤壁賦』의 문학세계 탐색」, 『제주문학』 35, 한국문인협회 제주도지회, 2001, 307∼329쪽. 미소장
44 曾棗莊, 「“赤壁何須問出處” - 中日韓的壁之遊」, 『中國典籍與文化』, 2010, 131∼137쪽. 미소장
45 許捲洙, 「蘇東坡詩文의 韓國的 受容, 嶺南中國語文學會」, 『中國語文學』 14, 1988, 49∼69쪽. 미소장
46 洪瑀欽, 「“擬把漢江當赤壁” - 韓國蘇軾硏究述略」, 曾棗莊 等 著, 『蘇軾硏究史』, 南京: 江蘇敎育出版社, , 2001, 571∼622쪽.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