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이문열의 『시인』에 나타난 탈영토화 양상 = A study on the de-territorialization in Lee Mun-Yeol's novel The Poet / 곽상인 1

목차 1

국문초록 1

1. 서론 2

2. 계열화와 영토화에 저항하는 노마드적 여정 6

3. 탈영토화로서의 리좀적 사유와 '0'의 세계 12

4. 결론 20

참고문헌 22

Abstracts 2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문열의 『시인』에 나타난 탈영토화 양상 = A study on the de-territorialization in Lee Mun-Yeol's novel The Poet 곽상인 p.85-109

보기
추사가 한글편지에 나타난 남성들의 살림참여 양상 = Participation aspect of men's housekeeping in the Hangul letters of the Chusa family 정창권 p.53-84

보기
오장환의 초기 시에 드러나는 근대성과 내면의식 연구 = A study on the modernity and inner consciousness in the early poetry of Oh Jang-hwan 김지율 p.110-140

보기
해방기 서정주의 글쓰기에 나타난 정치적 욕망 = Seo Jeong-ju's writing and the political desire of the liberation period : focused on "Biography of General Kim Jwa-jin" and "Biography of Dr. Lee Seung-man" : 『김좌진 장군전』과 『이승만 박사전』을 중심으로 남기혁 p.141-180

보기
전주지역 판소리의 전승 과정과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transmission process and aspects of Pansori in Jeonju region : focusing on Jeonju Gwonbeon and Jeonju Gugak Institute : 전주권번과 전주국악원을 중심으로 백은철 p.23-52

보기
15·6세기 '者'系 形聲字 한자음에 나타난 상고한음의 영향 = The influence of old Chinese in 15·6 century Korea-Chinese's 'zhe' xiesheng : focusing on the initial's differentiation of ㄷ, ㅈ,ㅅ : 성모 'ㄷ, ㅅ, ㅈ'의 분화 과정을 중심으로 장천 p.1-22

보기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 교육 방안 제언 = A propose of modal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 around '-(eu)lkka ha-/bo-' used to mean conjecture and intention : 추측과 의도의 '-(으)ㄹ까 하-/보-' 중심으로 양지현 p.211-231

보기
해방기 '다른 공간'의 의미와 "세계시민"으로서의 연대 가능성 = The meaning of the 'other space' and possibility of a post-liberation period solidarity as "world citizen" : with focus on The New City and the Chorus of the Citizens : 『새로운 都市와 市民들의 合唱』을 중심으로 박은지 p.181-210

보기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문열, 「시인」, 미래문학, 1991. 미소장
2 이문열, 「시인」, 둥지, 1994. 미소장
3 이문열, 「시인」, 민음사, 2008. 미소장
4 이문열, 「아우와의 만남-이문열 중단편집5」, 민음사, 2016. 미소장
5 이문열, 「이문열 중단편전집 출간 기념 수상작 모음집」, 민음사, 2016. 미소장
6 권유리야, 「이문열 소설과 이데올로기」, 국학자료원, 2009. 미소장
7 김경수, 「부조리한 세계와 소설의 주인공」, 김윤식 외, 「이문열론」, 삼인행, 1991. 미소장
8 김명인, 「한 허무주의자의 길찾기」, 김윤식 외, 「이문열론」, 삼인행, 1991. 미소장
9 김미옥, 「이문열 소설 연구-낭만성을 중심으로」, 성신여대 박사학위논문, 2005. 미소장
10 김성국, 「이문열과 아나키스트 자유주의」, 「사회와 이론」(제28집), 2016년 5월. 미소장
11 김욱동, 「이문열과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의 문학」, 「이문열」, 민음사, 1994. 미소장
12 김욱동, 「젊은 소설가의 초상」, 「이문열」, 민음사, 1994. 미소장
13 김일렬, 「근대적 예술가 정신과 중세적 예도사상」, 류철균 외, 「이문열」, 살림, 1993. 미소장
14 박일용, 「관념적 보수주의 이념의 서사적 구현」, 류철균 외, 「이문열」, 살림, 1993. 미소장
15 백승국, 「이문열의 소설 시인의 정념 기호학적 분석」, 「한국학연구」(19), 2003년 11월. 미소장
16 오세영, 「문학과 그 이해」, 국학자료원, 2003. 미소장
17 유종호, 「능란한 이야기 솜씨와 관념적 경향」, 김윤식 외 「이문열론」, 삼인행, 1991. 미소장
18 유종호, 「어느 시인의 초상」, 이태동, 「이문열-현대문학의 새로운 해석9」, 서강대출판부, 1996. 미소장
19 이남호, 「낭만이 거부된 세계의 원형적 모습」, 「문학의 위족(2)」, 민음사, 1990. 미소장
20 이동하, 「낭만적 상상력의 세계 인식」, 「집없는 시대의 문학」, 정음사, 1985. 미소장
21 이동하, 「설화의 세계와 소설의 세계, 이문열의 「시인」」, 이문열, 「시인」, 둥지, 1994. 미소장
22 이득재, 「가족주의는 야만이다」, 소나무, 2001. 미소장
23 이태동, 「자아의 문학과 우의적 미학」, 「이문열」,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6. 미소장
24 이진경, 「노마디즘(1-2)」, 휴머니스트, 2002. 미소장
25 자크 아탈리, 이효숙 옮김, 「호모 노마드, 유목하는 인간」, 웅진닷컴, 2005. 미소장
26 질 들뢰즈, 김상환 김재인 옮김,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미소장
27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김재인 옮김,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미소장
28 이문열의 '시인'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29 허경진, 「동시품휘보와 허균의 과체시」, 「열상 고전연구」(제14권), 200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