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1939년 8월, 다솔사(경남, 사천)에서 1주일간 열린 특별 법회에 대한 성격을 종합적으로 다룬 글이다. 그 법회에 참가한 한일 양국의 승려들은 불교사상에 대한 토론을 치열하게 전개하였다. 식민지 통치가 구현되던 시절, 식민지국과 피식민지국의 승려들이 함께 모여 학술행사를 벌였다는 특별한 성격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이 법회에 대한 연구는 일체 없었다.

그런데 지금부터 10여 년전, 다솔사 및 해인사의 주지와 제헌 국회의원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인 최범술의 항일, 친일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바로 그때, 최범술의 독립운동에 대한 정체성의 논란이 대두되었는데 이 법회의 성격이 그 논란의 초점이 되었다. 법회가 순수 학술행사이었다는 주장, 친일 성격의 행사이었다는 주장이 정면으로 대립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이 법회의 개요,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마침내 필자는 행사 직전, 다솔사에서 서울의 선학원으로 보낸 법회의 개요를 전한 공문을 최근에 입수하였다. 이런 배경하에서 본 고찰은 새롭게 발굴한 자료(공문)를 집중 분석한 글이다. 구체적인 서술은 기왕의 논란의 성격, 법회의 개요, 법회의 성격을 다루었다. 이 글의 내용을 통하여 독립운동가인 최범술, 동양사상가인 김범부의 성격이 더욱 조명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일제하 경상남도 오지의 사찰인 다솔사에서 있었던 한일 불교문화 행사도 새롭게 인식되길 바란다.

This review comprehensively covered the personality of for a week Buddhist memorial performs held in August 1939 at Dasolsa(다솔사 ; Sacheon in Gyeongnam). The Buddhist monks of both countries participated in the Buddhist memorial service. Despite the special character of the monks of the colonial countries and the colonies gathered together in the days of the colonial rule, there was no study of the Buddhist monk.

However, about ten years ago, the issue of anti-Japanese and anti-prostitution of Choi Bumsul(최범술),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served as prime minister of Dasolsa and Haeinsa and a member of the Constituent Assembly, emerged. At that very moment, the debate about identit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Choi Bumsul emerged, and the nature of this conference became the focus of controversy. The claim that the law was a pure academic event, and that it was an event of a pro-Japanese nature, was in direct opposition.

So I collected the data to understand the outline and nature of this memorial. Finally, I recently obtained an official letter to the confer- ence session from Dasolsa to Seoul's Sahakwon(선학원) just before the event. Under these backgrounds, this review focuses on newly discovered data. The specific narrative covered the nature of the controversy, the outline of the memorial, and the nature of the memorial. I hope that the contents of this article will further illuminate the character of the independent activist Choi Bumsul and Kim Bumboo(김범부), a Dongyang-sa Temple merchant. And I hope that the cultural events of Korea - Japan Buddhism in Dasolsa, the temple of the corner in Gyeongsangnamdo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will be newly recogniz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日本の女流作家村田喜代子の作品から見た韓国 = From the works of Japanese female writer Murata Kiyoko Korea : especially on wedding culture of Korea and Japan : 特に韓日の婚礼文化を中心に 呉秉禹 p.361-392

蒼石 李埈의 현실인식과 그 대응방안 = Changseok Lee Jun's perceptions of reality and countermeasures 김원준 p.115-144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의 '마음'과 현대적 수용의 문제 = The up-to-date adaptation of <Tosan 12 songs> by Toegye LeeHwang 신연우 p.7-27

우계·율곡 사칠논변에 대한 윤리이론적 이해 = An ethical understanding on Ugye & Yulgok's four-seven debate : compromise of motivic and consequentic standpoint, and confrontation between consequentic standpoints : 동기론적·결과론적 관점의 절충과 결과론적 관점의 대립 이상린 p.53-89

다솔사 안거 법회(1939), 개요와 성격 = Memorial perform of Buddhism in Dasolsa(1939), outline and personality 김광식 p.163-184

제임스 레게가 이해한 맹자의 성선설 = James Legge who saw Mancius as Dong Zhongshu : 유교 성선설과 기독교 원죄설의 절충 가능성에 관한 논쟁 이주강 p.185-208

식민지 공공성과 3.1운동 = March 1st movement and the colonial publicness : focused on Eui-Am Son Byong-hi : 의암 손병희를 중심으로 야규 마코토 p.145-161

東洋思想에 含意된 正義에 대한 考察 = A study on the meaning of justice in oriental thought 성해준 p.209-232

왕양명의 초상과 폐병, 그리고 측달지심(惻怛之心)의 관련성 시론(試論) = The portrait of Wang Yang-ming, consumption, and empathy[Cedazhixin] 최재목 p.291-331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文字 敎育 一例 = The a case of enlightenment education in East Asia cultural sphere : pu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amjageyong(three-character-classic)』 : [삼자경]의 성립과 전개 한예원 p.333-359

韓⋅日 陽明學 비교연구의 목적과 의미, 그리고 그 방향성 =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comparative 'study of Yangming(陽明學)', and its direction 김용재 p.259-289

『중국 근대불교학의 탄생』에 대한 고찰 = Review on The Birth of Modern Buddhist Studies in China 조병활 p.393-416

순자는 왜 '성악'을 주장해야 했는가 = Why Xunzi had to argue that human nature is evil 이승률 p.233-257

조선유학의 도덕적 토대에 대한 이해 = Western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foundation of Choson Confucianism-centering around : 조선 유학과 근대 서양철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선진 p.91-114

생명종식어에 대한 한일언어문화 고찰 = A study on the death related words of linguistic culture of Korean and Japanese : with regard to the death of Toegye family : 퇴계 일가의 죽음과 관련하여 손경호 p.29-52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범부, 『화랑외사』, 이문출판사, 1981. 미소장
2 김동리, 『김동리 전집』 8권, 민음사, 1997. 미소장
3 김정숙, 『김동리의 삶과 문학』, 집문당, 1996. 미소장
4 범부연구회, 『범부 김정설 연구논문 자료집』, 선인, 2010. 미소장
5 정다운, 『범부 김정설의 풍류사상』, 선인, 2010. 미소장
6 효당연구회, 『효당 최범술문집』 1~3권, 민족사, 2013. 미소장
7 김광식, 「만해와 효당, 그리고 다솔사」, 『우리가 만난 한용운』, 참글세상, 2010. 미소장
8 김광식, 「卍黨과 효당 최범술」, 『민족불교의 이상과 현실』, 도피안사, 2007. 미소장
9 김광식, 「다솔사와 항일비밀결사 卍黨 - 한용운, 최범술, 김범부, 김동리 역사의 단면」, 『불교연구』 48, 2018. 미소장
10 김광식, 「이고경의 삶과 독립운동, 만당」, 『호국불교의 재조명』 7권,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2018. 미소장
11 김주현, 「김동리와 다솔사 체험」, 『어문학』 127집, 2015. 미소장
12 김상현, 「효당 최범술(1904~1979)의 독립운동」, 『동국사학』 40, 2004, pp.424~425. 미소장
13 김상현, 「효당 최범술의 생애와 사상」, 『효당 최범술 문집』 3권, 민족사, 2013. 미소장
14 최재목, 「효당(曉堂)과 다솔사(多率寺)의 김범부(金凡夫)」, 『만해학보』 17호, 20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