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미현, 우주영(2011) 놀이치료가 반응성애착장애아동의 놀이주제 변화와 자폐적 성향 감소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2(2), 231-258 |
미소장 |
2 |
강현주(2003) 부적응 유아에 대한 아동중심놀이치료 적용 사례연구.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김경희, 윤행란(2015) ADHD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 과정에 나타난 놀이주제 분석.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18(1), 57-72 |
미소장 |
4 |
김경희, 임맹자(2014)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 사례연구. 놀이치료연구, 17(3), 363-378. |
미소장 |
5 |
김광웅, 유미숙, 유재령(2004) 놀이치료학. 서울:학지사. |
미소장 |
6 |
김광웅, 김화란(2006) 처음 만나는 놀이치료. 서울: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
미소장 |
7 |
김세영(2017) 적대적 반항장애를 동반한 ADHD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 사례연구: 놀이치료 단계에서의 놀이주제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지, 38(4), 103-115 |
미소장 |
8 |
김예주(2011) 국내 놀이치료의 연구동향과 효과-국내 학회지 게재논문(2000-2010)울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유숙, 박진희, 최지원(2010) 이혼가정의 아동.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0 |
류경숙(2016) 학령전기 소아암 아동의 질병경험에 관한 연구 : 놀이치료 주제분석과 체계적 돌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박현아, 유미숙(2018)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친인척 위탁아동에 대한 아동중심 놀이치료사례. 청소년시설환경, 16(3), 185-199 |
미소장 |
12 |
신숙재, 한정원(2000) 아동 중심 놀이치료의 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3(1), 49-57 |
미소장 |
13 |
아시아투데이(2019. 5. 26) 국민 10명 중 9명은 이혼·재혼도 수용 가능, http://www.asiatoday.co.kr/ view.php?key=20190526010016041 |
미소장 |
14 |
양혜원, 전명희, 김희수(2014) 부모 이혼에 대한 아동기 자녀의 경험-지역사회복지관 이혼가족 자녀 집단 프로그램 참여 아동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2(2), 173-204 |
미소장 |
15 |
우주영(2005) 성학대 피해 아동의 놀이치료 주제와 정신적 표상. 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이경숙, 강현주, 이선우(2005) 이혼후 편모양육 아동과 일반 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 가족지각, 문제행동, 성격.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5(1), 90-91 |
미소장 |
17 |
정미경(2011) 놀이치료에서 표현된 학령기 아동의 놀이유형과 주제-발달, 행동, 정서장애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정연옥(2007) 이혼가정자녀의 부모자녀관계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기공포, 상실지각, 자존감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주소희(2003) 부모이혼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이혼가정 자녀의 심리⸳행동적응문제와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2), 179-210. |
미소장 |
20 |
최기홍, 임민경, 이지혜, 이한나, 김태동(2013) 근거기반 실천과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251-270. |
미소장 |
21 |
최진현, 유미숙(2018) 놀이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불안장애 아동의 놀이주제 및 치료진보분석.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21(2), 209-244 |
미소장 |
22 |
통계청(2018) 인구동향조사,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op_hty&fbm=1&ie =utf8&query=%EC%A1%B0%EC%9D%B4%ED%98%BC%EC%9C%A8 |
미소장 |
23 |
Alexander, P. C.(2013) Relational trauma and disorganized attachment. J. D. Ford & C. A. Courtois(Eds.). 『Treating Complex Traumatic Stress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cientific foundation and therapeutic models』. NewYork:Guilford Press. |
미소장 |
24 |
Bettelheim, B.(1996) 옛이야기의 매력1. (김옥순, 주옥 공역), 서울:시공사. |
미소장 |
25 |
Boyan, S. B. & Termini, A. M.(2012) 이혼·별거 가정의 부모역할. (홍경자, 차영희, 최태산, 채유경 공역), 서울:학지사. |
미소장 |
26 |
The Efficacy of Play Therapy With Children: A Meta-Analytic Review of Treatment Outcomes  |
미소장 |
27 |
Hillmann, L. L.(2014) Underlying constructs in play therapy theme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aylor University, Waco, TX. |
미소장 |
28 |
Holmes, J.(2001) 존 볼비와 애착이론. (이경숙 역), 서울:학지사. |
미소장 |
29 |
Learning more about those who play in session: The National Play Therapy in Counseling Practices Project (Phase I).  |
미소장 |
30 |
Landreth, G.(2015) 놀이치료: 치료관계의 기술. (유미숙 역), 서울:학지사. |
미소장 |
31 |
A meta-analysis of play therapy outcomes  |
미소장 |
32 |
A Meta‐Analytic Review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Approaches  |
미소장 |
33 |
McWilliams, N.(2018) 정신분석적 진단: 성격구조의 이해. (이기련 역), 서울:학지사. |
미소장 |
34 |
Moustakas, C. E.(1953) Children in play therapy : A key to understanding normal and disturbed emotions. NewYork: McGraw-Hill book company. |
미소장 |
35 |
Ray, D.(2008) Evidence-based play therapy. Shaefer, C. & Kaduson, H.(Eds.). Contemporary Play 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York:Guilford Press. |
미소장 |
36 |
Ray, D.(2016) 고급놀이치료 (이은아김, 민성원 공역), 서울: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37 |
The role of play themes in non-directive play therapy.  |
미소장 |
38 |
Wallerstein, J. S., Lewis, J. M. & Blakeslee, S.(2000) The unexpected legacy of divorce : A 25 years landmark study. NewYork: Hyperion Books. |
미소장 |
39 |
Wallerstein, J. S. & Blakeslee, S.(2003) What about the kids?: Raising your children before, during, and after divorce. NewYork: Hyperion Books.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