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에도시대에 고증이라는 지적, 학문적 작업을 통해 탄생한 고증수필에 대하여 그 특징과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에도시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고증수필을 그 내용에 기반 하여 「학문에 관한 고증수필」, 「예능, 놀이에 대한 고증수필」, 「에도 중심의 지역 풍속에 대한 고증수필」, 「중국과 일본을 비교한 고증수필」의 네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산토 교덴, 교쿠테이 바킨과 같은 에도시대 후기 대중 작가들이 집필한 고증수필은 상품성을 가진 서적으로 인식되었다. 풍속과 항담 등을 주로 고증한 그들의 고증수필은 작품 구상과 창작의 중심을 이루기도 한다. 즉 대중 작가들의 「창작을 위한 고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들의 고증 취미는 「고증만을 목적으로 한 고증수필」의 집필로 이어지며 상품으로 유통, 소비되며, 대중 독자들에게 오락적 성격의 서적과 같은 흥미와 재미를 주고 있다. 또한 개인의 고증이 아닌 문인 그룹에 의한 공동의 고증 작업을 통하여 고증 대상과 고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공동체의 지적 작업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에도시대 고증수필로 평가받아 온 작품들의 개략적 내용을 정리, 분류하여 고증수필의 성격과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증수필이라는 장르에 대한 정확한 개념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고증수필의 전체적인 특징과 그 의미부터 살펴보았다. 유학자, 국학자와 같은 전문 지식인이 쓴 고증수필이 아닌 당시 게사쿠와 같은 대중적 읽을거리를 주로 집필했던 대중 작가들의 고증수필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대중 소설과 고증수필과의 관계, 고증을 통한 소설의 창작, 지적활동인 고증을 위한 고증 등에 대하여 그 의미를 찾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당시 서적의 간기를 통하여 고증수필에 대한 광고의 양상과 선전방법에 대하여도 논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오키나와코코로(沖縄の心)의 형성 및 변용과정 =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Okinawa Kokoro : the return to Japan : 오키나와의 일본 복귀 과정을 중심으로 김미영 p.361-386

근대 일본의 문인화(文人畵) 담론과 중국회화의 유입 = The discour[s]e on literati paintings in modern Japan and the importation of Chinese paintings 김용철 p.387-411

近代日本語の「-的」の近代韓国語における受容 = Acceptance of the modern Japanese Chinese suffix "-Teki (的)" in modern Korean : the principle of word formation : 「-的」の語構成の原理を中心に 金曘泳 p.227-253

대응규칙을 통한 일본한자음 학습법 = A learning method for sino-Japanese according to correspondence rules : the a (ㅏ) vowel of sino-Korean : ㅏ계열을 중심으로 하소정, 이경철 p.255-273

일본의 대지진과 재일조선인 = The great earthquake in Japan and Zainichi Koreans : independent voices critiquing Japanese society : 일본사회를 대상화하는 주체적인 목소리 김계자 p.145-168

『오토기보코(伽婢子)』의 전거(典據)자료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f the source book of Otogibouko : stories about Takeda Shingen : 다케다 신겐(武田信玄) 관련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박애화 p.169-202

에도시대의 고증수필 = Verification essays in the Edo period : a study of the meaning and profitability of verification essays : 고증수필의 의미와 상품성을 중심으로 김학순 p.203-226

일본의 안보화와 국가정체성 = Japan's securitization and national identity : a focus on the physical basis and idea basis : 물리적 기반과 관념기반을 중심으로 이화준, 최선아 p.323-360

일본 TV 와이드쇼와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양식 = Wide show and a new mode of communication in postwar Japanese TV 김성운 p.297-322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두자춘』 고찰 = A study on R. Akutagawa's Toshishun 하태후 p.5-34

엔도 슈사쿠 문학에 나타난 육체의 양상과 의미 = A study of the aspects and meaning of the body 안영신 p.35-55

と「新·いるかホテル」の比較を中心に"> 村上春樹『ダンス·ダンス·ダンス』における現実感覚 = The sense of reality in Haruki Murakami's Dance Dance Dance : a comparison of the "former Dolphin Hotel" and the "New Dolphin Hotel" : <旧·いるかホテル>と「新·いるかホテル」の比較を中心に 鄭秀鎮 p.57-84

일본 중세 군키(軍記)에 드러난 지역의식의 표상화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the expression of regional consciousness in the medieval Japan Kunki : perception of the Kansai bushi : 관서무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진현 p.85-114

在日朝鮮人の文学の立ち位置 = The position of Zainichi (Koreans in Japan) literature : the literary society and Lee Hoesung's Kinutawo Utsu Onna : 1970年前後の文壇と李恢成「砧をうつ女」 李承俊 p.115-143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 순절자의 무덤과 제향 연구 = Research on the tombs and sacrificial rites for the people who died defending Joseon in Namwon (南原) during the Jeongyu war (丁酉再亂) 박현규 p.275-295

참고문헌 (1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미진(2016) 「柳亭種彦の考証随筆と合巻-古俳諧の利用をめぐって-」「日本學硏究」 47집,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pp.243-263. 미소장
2 大高洋司(1995) 「文化七、八年の馬琴考証と読本-」「近世の説話」清文堂, p.388. 미소장
3 大高洋司(2003) 「「椿説弓張月」論-構想と考証-」「日本文学研究論文集成22 馬琴」若草書房, pp.132-154. 미소장
4 大曾根章介他5人編(1983)「随筆文学」明治書院. 미소장
5 後藤丹治(1958) 「椿説弓張月上」岩波書店, p.73. 미소장
6 考証随筆の意味するもの--柳亭種彦と曲亭馬琴 (文学とその周辺) 네이버 미소장
7 日本古典文学大辞典編集委員会編(1983-1985) 「日本古典文学大辞典第1巻-6巻」, 岩波書店. 미소장
8 日本随筆大成編輯部(1975) 「日本随筆大成」<第1期>1, 吉川弘文館, p.167. 미소장
9 日本随筆大成編輯部(1975) 「日本随筆大成」<第2期>19, 吉川弘文館, p.272. 미소장
10 野口武彦(1996) 「考証随筆の想像力」「文学界」文藝春秋, p.248. 미소장
11 三宅宏幸(2015) 「馬琴の考証と読本-「朝夷巡嶋記全伝」論」「近世文芸」102, 近世文学会, pp.15-29.  미소장
12 播本眞一(2005) 「馬琴と異国」「江戸文学」 ぺりかん社, p.152. 미소장